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조선미
기사사진
홍콩, 우주 여행이 현실로

우주 여행은 더 이상 꿈이 아니다. 미국 등지에서 민간우주관광 기업이 등장하면서 우주 관광 시대가 열렸다. 최근 네덜란드의 한 우주 여행사가 홍콩에서 아시아 지부를 세운 뒤 아시아 각지에서도 우주 여행에 대한 반응이 뜨겁다. 지난 6월 네덜란드 우주여행회사 'SXC'는 미국 캘리포니아주 모하비 사막에 본부를 두고 있는 우주항공사 XCOR 에어로스페이스와 합병했다. 이후 SXC는 중국 시장에 진출, 홍콩에 아시아 지부를 설립했다. SXC 아시아 지부의 덩웨이셴 대표는 "XCOR이 개발한 신형 저궤도 우주선 링스(Lynx) 1호가 도입되면 이르면 2015년 말 우주여행을 할 수 있다"고 밝혔다. 최근 몇 달간 SXC 아시아는 대규모 홍보 행사를 연이어 진행하고 있다. 홍콩에서는 이미 두 명의 '우주 용사'가 9만 5000달러(약 9000만 원)에 달하는 우주여행 티켓을 구매했다. 덩웨이셴은 "각계 각층의 인사와 명함을 교환하며 우주여행을 소개했는 데 반응이 나쁘지 않았다. 다만 모두 안전 문제를 걱정했다"고 말했다. 그러나 그는 "우주선은 여러 차례 안전 테스트를 거쳤다"면서 "안전은 내가 책임질 수 있다"고 자신감을 드러냈다. 이어 "우주선은 과학적인 계산에 따라 황금비율로 제작된다. 최대 2명이 탑승 가능하고 비행 고도는 60㎞, 하루에 4바퀴 비행이 가능하다. 여정은 이륙부터 착륙까지 1시간, 5~6분 우주공간에 머무른다"고 설명했다. 한 우주 전문가는 이와 관련, "60㎞ 상공 비행은 저궤도 진입도 하지 않은 것"이라며 "우주 여행이 아니라 근거리 우주 체험"이라고 지적했다. 한편 SXC 아시아는 지난달 30일 마카오의 카지노 리조트 시티 오브 드림스에서 추첨으로 1달에 1장, 총 3장의 22만 달러(약 2억3000만 원) 최고가 티켓을 VIP 고객에게 증정하는 행사를 열었다. 홍콩 인기 여가수 덩쯔치는 이 행사에서 홍보대사로 임명됐다. 덩쯔치도 훈련을 받은 뒤 향후 우주여행에 참여할 것으로 알려졌다. /정리=조선미기자

2014-10-06 10:56:31 조선미 기자
홍콩 '풀뿌리 시위' 지도자 없지만 강하다!

홍콩의 '풀뿌리 시위'가 1일로 나흘째 이어지고 있다. 뉴욕타임스는 지도자가 이끌고 있는 것도 아닌데 시민이 뭉쳐 위력을 발휘하는 것이 놀랍다고 전했다. 이번 시위는 2017년 행정장관 선거 제도가 도화선이 됐다. 직선제 후보를 사실상 친중국 후보로 제한한 데 대한 반발로 학생들과 학자들이 시작했다. 홍콩 도심에서 민주주의를 외치는 목소리가 울려퍼지면서 참가자가 점점 늘었다. 특히 국경절(10월1일) 연휴를 맞아 각계각층 시민이 거리로 쏟아져 나왔다. 시위대는 렁춘잉 홍콩 행정장관의 즉각 사임을 주장하며 도심을 점거했다. 수백 명의 진압 경찰이 주요 도로를 봉쇄한 가운데 시위대의 행진이 계속됐지만 폭력 사태는 빚어지지 않았다. 시위는 질서정연하게 평화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시위에 참여한 대학생은 "이 시위에서 우리의 시민 의식과 민주적인 정부를 갖고 싶다는 의지를 보여주고 싶다"고 말했다. 그는 시위 장소 주변을 청소하며 "이런 청소는 작은 일이지만 모든 홍콩 시민이 가져야 하는 가치를 보여주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또한 시위대는 스마트폰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통해 시위를 안정적으로 이끌고 있다. 생수, 마스크, 우산 등 시위에 필요한 물품은 물론 응급치료 인력까지 모두 온라인을 통해 신속하게 끌어 모은다. 시위 소식은 SNS를 통해 실시간으로 세계 곳곳에 전해진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지도부 없는 시위가 얼마나 오래 가겠느냐며 회의적인 반응을 보였다. 조만간 시위 열기가 식으면 자연스럽게 해산될 것이라는 지적이다.

2014-10-01 17:50:47 조선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