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당 기득권 타파' 외치는 제3지대 후보들...반등 계기 올까
'제3지대'에서 대선에 나서는 후보들이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 대선 후보의 높은 지지율을 가져와야 하는 숙제를 안고 있는 상황에서 연일 거대 양당을 '정치 기득권'이라고 표현하며 타파의 대상으로 삼고 있다. 이들은 아직 후보자를 정하지 않은 유권자의 비율이 높게 나타나는 상황에서, 거대 양당에 공세를 취해 반등의 계기를 마련하겠다는 전략이다. 뉴스1 의뢰로 엠퍼블릭리서치가 전국 거주 만 18세 이상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지난 7일부터 8일까지 실시한 제20대 대선 관련 여론조사(95% 신뢰수준, ±3.1%포인트, 응답률 17.0%, 자세한 사항은 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참조)에 따르면, 투표할 후보를 결정했다고 말한 응답은 51.5%, 투표할 후보를 결정하지 못했다는 응답은 47.5%로 조사됐다. 응답자를 정하지 못한 비율은 18세~29세(69.4%), 30대(68.3%)로 청년층에서 높게 나타났다.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는 연일 과학기술 행보를 거듭하며 양당 때리기에 나섰다. 대선 출마 이후 1호 공약을 과학기술 공약으로 발표한 안 후보는 의사 출신에 벤처 기업 '안랩'을 설립한 경험을 바탕으로 법조인 대선 후보와 차별점을 강조하고 있다. 안 대표는 10일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에 "과학기술과 외교가 한 몸인 시대에 국내용·내수용 법조인 대통령은 대한민국을 지킬 수 없다"며 날을 세웠다. 이날 AI 반도체 펩리스 기업 '모빌린트'을 방문하기도 한 안 후보는 "과학기술은 '먹고 사는 문제'가 아니라 '죽고 사는 문제'가 되고 있다"며 "기득권 양당의 후보들은 아무리 냉정하고 객관적으로 평가해봐도 우물 밖의 세상을 모르는 국내용·내수용 정치인"이라고 단언했다. 심상정 정의당 대선 후보는 정의당이 할 수 있는 이슈 선점에 앞장서고 있다. 대표적인 것이 특정 소수자 집단에 대한 차별을 막기 위한 차별금지법이다. 심 후보는 10일 차별금지법 연내 제정을 위한 도보행진에 참여했다. 이재명, 윤석열, 안철수 대선 후보는 차별금지법 관련 신중한 입장을 보이고 있다. 심 후보는 "이재명, 윤석열 후보, 두분 모두 차별금지법 제정을 다음에 하시려거든, 대통령도 다음에 하시길 바란다"며 "노무현 대통령 때부터 논의되어온 차별금지법 제정은 이젠 할 때가 됐다"고 촉구했다. 김동연 새로운물결 대선 후보는 이 후보에겐 "재정의 1도 모른다", 윤 후보에겐 "내 슬로건을 표절했다"며 공세의 수위를 높이고 있다. 다른 대선 후보에 대해 비판을 삼가던 김 전 부총리는 최근 목소리를 내는 모습이다. 김 후보는 10일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이재명 후보가 초과 세수를 활용하거나, 초과 세수를 이월해 재난지원금을 주자고 하는데, 그것은 경제 원칙에 맞지도 않는 꼼수"라고 밝혔다. 김 후보는 자신의 슬로건인 '기득권 공화국을 기회의 공화국'을 윤 후보가 대선 후보 수락 연설에서 "기득권의 나라를 기회의 나라를 만들겠다"고 했다면서 이는 표절이라고 말했다. 김 후보는 윤 후보에게 이를 검증할 토론을 제안한 바 있다. 박상철 경기대 정치전문대학원 교수는 아직 유권자가 누구를 뽑을 지 정하지 않았어도, 그들 중 대다수는 양당 후보에게 수렴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박 교수는 10일 본지와 통화에서 "제3지대 후보들 중 어떤 이는 그다음 자신의 정치를 위해 제3지대에 가 있거나, 당선이 안 돼도 자신의 존재감을 갖기 위한 차원일 뿐, 이번 선거는 양자 대결의 최대치라고 본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