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김현정
증권사들, 해외직구 열풍에 외국기업 리서치 '적극' 나서

박스권 국내 증시에 해외직구족 매년 증가 NH투자·하나대투 등 해외기업 본격 다뤄 안방에서 해외주식에 직접 투자하는 인구가 늘면서 증권사들은 글로벌 외국기업들의 리서치 활동에 적극 열을 올리고 있다. 주로 국내 대장주들과 글로벌 시장에서 선두를 다투거나 운용 상품에 편입된 해외 기업들이 주된 분석 대상이다. 후강퉁 시행으로 투자 문이 활짝 열린 중국 기업들도 집중적으로 다뤄지고 있다. NH투자증권은 최근 반도체·자동차·철강 업종 등을 중심으로 전체 업종별 글로벌 기업들 중에 국내 기업과 경쟁 관계에 있는 해외 업체에 대한 본격적인 리서치 활동을 시작했다. 이 증권사는 지난 20일에는 중국의 4차 베이비붐과 고령화 등의 수혜 종목으로 떠오를 중국 기업 8곳을 소개한 데 이어, 22일엔 미국 LED 칩·조명기기 업체인 크리(Cree)에 대한 보고서를 내놨다. 하나대투증권은 지난해 6월부터 글로벌 자산 리서치를 확대하기 위해 미국·유럽·일본 등지의 글로벌 기업들의 주가와 실적을 분석하는 시리즈를 선보이고 있다. 미국의 로봇 판매업체인 아이로봇을 시작으로 존슨앤존슨, 알코아, 인텔, 헤이와, 알리바바, 인테사 산파올로, 다임러 등 일본과 유럽 등지 대표 기업들을 골고루 다뤘다. 해외 기업의 리서치는 국내 증시가 박스권에 갇히면서 국내 시장의 업종별 대표 종목들의 주가를 예측할 목적으로도 활용된다. 미 기업 크리의 분석 보고서를 내놓은 김혜용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최근 3년간 크리와 서울반도체의 주가는 매우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며 "글로벌 투자자들이 LED 개별 종목보다 LED 조명산업적인 관점에서 투자 판단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실제로 코스닥 시가총액 13위의 서울반도체는 해외 동일 업종 기업(피어그룹)인 크리의 지난해 4분기 실적 호조 소식 등이 전해지면서 주가가 나흘째 올랐다. NH투자증권 관계자는 "전체 시장 측면에서 볼 때 해외 기업을 무시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기존 리서치 활동은 국내 법인 대상의 국내 시황을 중심으로 이뤄졌으나 차츰 글로벌 주식과 채권, 원자재 등으로 확대되는 모습이다. 하나대투증권 관계자는 "글로벌 고배당주나 해외 선진기업에 투자하는 상장지수펀드(ETF) 등 고객에게 판매하는 투자상품에 속하는 해외 기업들을 주로 분석한다"고 설명했다. 국내의 해외 주식 직구족은 후강퉁 시행으로 중국 투자길이 열리면서 더 늘어났다. 한국예탁결제원 증권정보 포탈(SEIBRO)에 따르면 지난 한해 예탁원을 통한 외화증권 결제금액은 376억9500만달러로 1년새 68.2% 급증했다. 이 금액은 지난 2010년 124억2000만달러에서 2011년 118억1000만달러로 주춤했다가 2012년 183억7900만달러, 2013년 224억600만달러 등 증가하는 추세다.

2015-01-22 15:23:49 김현정 기자
美 LED업체 크리, 긴 호흡으로 봐야 - NH투자

NH투자증권은 22일 미국 LED 칩·조명기기 업체인 크리(Cree)의 4분기 실적이 예상치를 웃돌았으나 본격적인 업황 회복을 기대하기엔 어려운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김혜용 연구원은 "크리의 지난해 4분기 매출액은 4억1300만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0.5% 감소했다"며 "이는 기존 가이던스와 시장 컨센서스에 부합하는 수준"이라고 말했다. 그는 "제품별로는 LED 칩을 포함하는 LED 제품 부문의 매출액이 1년새 29.3% 줄어들면서 부진했으나 LED 전구를 포함하는 라이트닝 제품 부문이 중국·미국의 LED 조명 수요 확대에 힘입어 32.5% 높은 성장세를 지속했다"고 분석했다. 김 연구원은 "다만 이번 실적 발표를 통해 본격적인 LED 업화의 회복 가능성은 발견하기에 어려웠다"며 "실내용 LED 전구 수요가 고성능보다 중간 정도의 성능 위주로 성장할 전망인 상황에서 중국 업체들의 가격 경쟁이 여전히 진행 중이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긴 호흡으로 봤을 때 실적과 주가는 저점을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단기적으로 회복 가능성이 높아보이지는 않지만 글로벌 투자자들이 LED 개별 종목보다 LED 조명산업 관점에서 판단하고 있는 것으로 보여 중장기적으로는 저점을 지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내다봤다.

2015-01-22 09:00:28 김현정 기자
풍년에 울상짓는 농산물펀드, 올해는 반등할까

6개월 수익률 '지지부진'에 투자적기 전망 무색 올해도 큰 폭 반등 어렵다는 전망 많아 농산물 펀드의 수익률이 작황 호조에 올해도 수년째 부진에서 탈피하기 어려울 것이란 전망이 많다. 지난해 하반기 엘니뇨(열대 태평양의 바닷물 온도가 올라가는 현상)로 농산물 가격이 오를 것이란 기대감이 일었지만 실제 풍년으로 수확량이 급증하면서 예상이 빗나갔다. 시장에서는 올해도 작황이 양호한 가운데 당분간 지지부진한 국면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21일 펀드평가사 제로인에 따르면 농산물 펀드 9개는 최근 6개월간 평균 7.67%의 손실을 봤다. '삼성KODEX콩선물(H)특별자산상장지수[콩-파생]'이 이 기간 -10.63%로 가장 낙폭이 컸고 '미래에셋TIGER농산물선물특별자산상장지수[농산물-파생]'과 '신한BNPP포커스농산물자 1[채권-파생](종류A1)' 등도 8~9%대 손실을 기록했다. 상대적으로 수익률이 양호한 펀드는 '미래에셋퇴직플랜농산물40안정형[채혼-재간접]'으로 최근 6개월간 -0.82%로 집계됐다. 농산물 펀드는 지난 2년여간 집중적인 수익률 부진을 겪고 있다. 지난해 상반기 농산물 펀드의 수익률이 하락을 거듭하면서 저가매수 기회라는 전망이 쏟아졌다. 시장 전문가들은 지난해 여름 가뭄과 폭우가 번갈아 나타나는 슈퍼 엘니뇨 현상이 발생하면서 농산물 가격이 급등할 것으로 예상했다. 그러나 실제로는 엘니뇨가 미미하게 발생하고 오히려 작황에 유리한 날씨가 이어지면서 풍년에 따른 수확량 급증으로 농산물 가격은 계속 하락했다. 다만 연초 수익률 개선이 나타나는 점은 긍정적이다. 이들 펀드 9개의 최근 1개월 수익률은 평균 -3.19%로 연초 들어 손실을 좁히는 양상이다. 강유진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세계 최대 곡물 생산국인 미국의 공급량이 많이 늘어난 가운데 지난해 10월 브라질과 아르헨티나 등지에서 가뭄 우려에 가격이 반등한 부분이 있다"고 설명했다. 그렇다고 농산물 펀드의 성과가 큰 폭으로 나아지긴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당분간은 지난해와 같은 지지부진한 국면이 지속될 것이란 시각이 지배적이다. 강 연구원은 "농산물 가격이 최근 4년래 최저치로 워낙 낮아진 상황이므로 추가 하락폭은 제한적일 것"이라면서 "전반적으로 경기가 둔화되는 상황에서 수요 우려도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올해 콩 가격이 관건으로 떠올랐다. 글로벌 콩 재고량이 역대 최대 수준으로 늘어나면서 침체를 면치 못할 가능성이 있다. 주요 외신에 따르면 해외 헤지펀드들은 잇따라 콩에 대한 전망치를 하향조정했다. 미국의 지난달 콩 수확량과 내수 비축량은 2006년 이래 최고치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김영일 대신증권 연구원은 "달러가 오르는 구간에 있으므로 농산물을 포함한 상품시장의 투자심리가 전반적으로 좋지는 않다"고 말했다.

2015-01-21 14:57:13 김현정 기자
기사사진
동부증권, 21일부터 ELB·DLB·ELS 5종 판매

동부증권은 오는 23일까지 최고 연 3.12%의 수익을 추구하는 파생결합사채(ELB) 1종과 최고 연 9.4%의 수익을 추구하는 주가연계증권(ELS) 3종 등을 판매한다고 21일 밝혔다. 이번에 판매하는 상품은 원금보장 하이파이브 형태 ELB 1종과 원금보장 낙아웃업앤아웃콜 형태의 DLB 1종, 원금비보장 스텝다운 형태 ELS 3종으로 구성됐다. 이 중에서 '동부 세이프 제124회 파생결합사채(ELB)'는 KOSPI200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1년 만기 원금보장형 상품이다. 4개월 주기의 조기상환평가일 및 만기평가일에 기초자산의 종가가 최초기준가격의 101%(4,8,12개월)이상이면 연 3.12%의 수익이 지급된다. 만기평가일에 기초자산의 종가가 최초기준가격의 101% 미만인 경우 원금의 100%를 보장하는 원금보장형 상품이다. WTI최근월 선물을 기초자산으로 하는 '동부 세이프 제30회 기타파생결합사채(DLB)'는 1.5년 만기 원금보장형 상품이다. 평가기간 동안 기초자산이 종가기준으로 최초기준가격의 140%를 초과 상승한 적이 한 번이라도 있는 경우 2.00%의 수익을 지급한다. 또 평가기간 동안 기초자산이 최초기준가격의 140%을 초과해 상승한 적이 없고, 기초자산의 만기평가가격이 최초기준가격의 100% 초과 140% 이하에 있는 경우 해당 만기수익률만큼 수익을 지급한다. 이로써 최대 20.0%의 수익이 가능하다. 최초기준가격의 140%를 초과해 상승한 적이 없고, 기초자산의 만기평가가격이 최초기준가격의 100% 이하에 있는 경우에는 해당 원금의 102.0%을 지급하는 원금보장형 상품이다. KOSPI200 레버리지 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동부 해피플러스 주가연계증권(ELS) 제1497회'는 3년 만기 상품이다. 4개월 주기의 조기상환평가일 및 만기평가일에 기초자산의 조기상환평가가격 및 만기평가가격이 최초기준가격의 92%(4,8개월), 90%(12,16개월), 85%(20,24개월), 80%(28개월), 75%(32개월), 70%(36개월) 이상이면 원금과 연 7.47%의 수익이 지급된다. 만기평가일에 만기평가가격이 최초기준가격 대비 70% 이상인 경우 원금과 22.41%(연 7.47%)의 수익률이 지급된다. 다만 만기평가가격이 최초기준가격의 70% 미만시 하락률에 따라 원금 손실을 볼 수 있다. KOSPI200 지수와 HSCEI 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동부 해피플러스 주가연계증권(ELS) 제1498회'는 3년 만기 상품이다. 6개월 주기의 조기상환평가일 및 만기평가일에 기초자산의 조기상환평가가격 및 만기평가가격이 최초기준가격의 90%(6,12개월), 85%(18,24개월), 80%(30,36개월) 이상이면 연 7.00%의 수익이 지급된다. 최종만기일인 3년 시점에 상환조건이 충족되지 않을 경우에도 투자기간 동안 두 기초자산 모두 최초기준가격의 60% 미만으로 하락한 적이 없으면(종가기준) 21.0%(연 7.0%)의 수익이 지급된다. 다만 두 기초자산 중 하나라도 최초기준가격의 60% 미만으로 하락한 적이 한 번이라도 있는 경우(종가기준) 만기상환조건에 따라 손실을 볼 수 있다. KOSPI200 지수와 HSCEI 지수, EuroStoxx50 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동부 해피플러스 주가연계증권(ELS) 제1499회'는 3년 만기 상품이다. 6개월 주기의 조기상환평가일 및 만기평가일에 세 기초자산의 조기상환평가가격 및 만기평가가격이 모두 최초기준가격의 85%(6,12,18,24,30,36개월) 이상이면 연 9.40%의 수익이 지급된다. 최종만기일인 3년 시점에 상환조건이 충족되지 않을 경우에도 투자기간 동안 세 기초자산 모두 최초기준가격의 60%미만으로 하락한 적이 없으면(종가기준) 28.20%(연 9.40%)의 수익이 지급된다. 다만 세 기초자산 중 하나라도 최초기준가격의 60% 미만으로 하락한 적이 한 번이라도 있는 경우(종가기준) 만기상환조건에 따라 손실을 볼 수 있다.

2015-01-21 10:39:09 김현정 기자
한국 시장, ECB 자산매입 효과 기대감 커져 - 대신

대신증권은 21일 유럽중앙은행(ECB)의 자산매입으로 한국 시장에서 지난 2012년 초와 같은 효과가 기대된다고 밝혔다. 오승훈 연구원은 "오는 22일 ECB 통화정책회의에서 전면적인 국채 매입을 선언할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유럽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며 "다만 늘 기대보다 실망이 컸던 유럽이기에 경계론도 만만치 않다"고 지적했다. 오 연구원은 "그러나 이번에는 좀 다르게 봐야 한다"며 "무엇보다 전면적인 국채 매입의 첫 발을 내딛었다는 데 후한 점수를 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회의 결과에 따라 일시적 마찰음도 발생하겠지만 그보다 국채 매입 선언 이후에 나타날 두 가지 긍정적 변화에 더 주목해야 한다"며 "먼저 3월을 기점으로 최근 2년간 감소했던 유럽의 유동성이 순증 국면에 진입할 것이 확실시되며 2012년 초 나타났던 자산매입에 따른 확산 효과도 재현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오 연구원은 "한국 시장에서 기대할 수 있는 것은 당시 확산 효과의 재현"이라며 "ECB의 5000억 유로 규모의 LTRO 대출 이후에 나타난 확산 효과가 한국 시장에서도 빠르게 나타난 바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이에 따라 2012년 1분기에는 유럽계 자금이 6조원에 육박하는 강한 순매수를 보였다"며 "국채 가격이 2012년 대비 비싸진 점을 감안하면 이번에는 당시보다 더 강한 확산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글로벌 시장 가운데 일드갭(Yield Gap·주식투자와 채권(국채)투자 간 기대 수익률 차이) 기준으로 채권보다 주식 매력이 높은 지역으로는 유럽과 아시아를 꼽았다.

2015-01-21 09:07:06 김현정 기자
코스피, 1900선 바닥치고 느리지만 반등 국면 - 키움

키움증권은 21일 코스피가 1900선 부근에서 바닥권을 형성하고 느리지만 반등 국면에 접어들 것으로 예상했다. 서명찬 연구원은 "시장이 이 수준에서 반등의 움직임을 보이고 있으나 여전히 그 강도는 세지 않다"며 "글로벌 경기의 회복 속도가 느려 깅기 회복과 경기 부양책의 양면성이 나타나면서 주식시장에 불확실 요소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서 연구원은 "이처럼 경기 지표들과 정책 요인들이 혼재될 때 시장 참여자들의 버팀목이 되는 건 펀더멘탈 지표"라며 "이를 토대로 볼 때 코스피 시장은 미래 펀더멘탈에 대한 낮아진 신뢰에도 불구, 하락 리스크보다는 상승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한다"고 분석했다. 그는 "현재 MSCI 기준 12월 선행 PER이 9.6배이며 PBR이 0.95배 수준, 당사가 컨센서스를 집계한 대형주 기준 PER도 9.3배로 크게 다르지 않다"며 "단순히 PER과 PBR 수치뿐만 아니라 EPS 증가율로 보더라도 글로벌 국가 대비 저평가 상태에 있다"고 지적했다. 서 연구원은 "물론 추정치 신뢰가 낮아져 있고 과거 경험으로 볼 때 추정치 감익이 예상된다"며 "그러나 단순히 밸류에이션 숫자 자체보다는 그 추이와 수준을 함께 생각하면 현 수준에서 추가 하락할 리스크는 제한적이라는 판단"이라고 덧붙였다.

2015-01-21 09:06:45 김현정 기자
코스닥 시총 154조 돌파…사상최고

코스닥 시장의 시가총액이 154조원을 넘어서며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한국거래소는 20일 코스닥 시총이 154조2000억원으로 전년 143조1000억원보다 11조원(7.8%) 증가했다고 밝혔다. 올 들어 코스닥 시총은 지수 상승과 함께 연초 크게 증가했다. 이날 코스닥지수는 이틀 연속 상승하며 582.27포인트로 올해 최고치 경신은 물론, 1년 8개월 만의 최고점을 찍었다. 이로써 직전 고점인 2013년 5월 29일 585.69를 경신했다. 코스닥 시총은 지수가 500선 안팎으로 횡보하던 2011~2013년 동안 100조~110조원 수준을 유지했다. 코스닥 지수가 540선으로 올라온 지난해에 시총이 143조원으로 늘고서 올 들어 580선을 탈환하자 154조원대에 진입했다. 특히 지난 2008년 금융위기 당시 지수가 330선대로 폭락했을 때와 비교하면 시총이 3.3배(108조원) 불어났다. 코스닥 시장의 하루평균 거래대금 역시 사상최고치를 기록했다. 일평균 거래대금은 2조6300억원으로 1년새 6600억원(33.5%) 증가했다. 일평균 거래량도 4억5500만주로 지난 2013년 3억9600만주 이후 최고치를 찍었다. 거래소 관계자는 "신규 상장기업이 줄줄이 입성한 동시에, 시총 규모가 큰 우량기업들이 성장하면서 시장 규모가 확대된 데 기인한다"고 말했다.

2015-01-20 17:35:06 김현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