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이국명
기사사진
[메트로 과테말라]언론인 암살 사건 또 발생···치안부재에 국민들 분노

중남미 국가 과테말라가 언론인 암살 사건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 17일 메트로 과테말라에 따르면 과테말라 최대 신문사인 프렌사 리브레의 다닐로 로페스 기자와 라디오 채널 라디오 누에보 문도의 페데리코 살라사르가 남부 도시 마사테낭고의 공원에서 암살당한 채 지난 10일 발견됐다. 로페스 기자는 최근 도시 관료들의 부정부패와 공적 자금 투명성 문제에 대한 탐사 기사를 보도하면서 협박에 시달려온 것으로 알려졌다. 앙헬 멘데스 프렌사 리브레 편집장은 "2000년대 이후 발생한 열네 번째 언론인 암살 사건"이라며 "마사테낭고의 시공무원 두 명이 로페즈 기자를 끊임없이 협박해 왔다"고 말했다. 로페스 기자의 가족들도 "현직 국회의원인 전직 시장 훌리오 후아레스도 협박에 가담했다"고 밝혔다. 과테말라 국민들도 분노하고 있다. 정부 청사 등에는 '아이디어에는 아이디어로 맞서야 한다. 폭력이 아니라'라는 손간판을 들고 시위에 나서는 시민들이 갈수록 늘어나고 있다. 한 시민은 "지난해에만 1300만 과테말라 인구 중 6000여명이 살인 사건으로 목숨을 잃었다"며 "치안을 개선해 관광 국가로 거듭나겠다는 오토 페레스 몰리나 대통령의 약속은 물거품이 되고 있다"고 분통을 터트렸다. /정리=이국명기자

2015-03-18 15:20:10 이국명 기자
기사사진
'모바일 퍼스트'에서 '모바일 온리' 시대로…페북 모바일 결제 진출·IE 퇴장

"나는 이 금융 서비스가 우리 비즈니스에 매우 큰 공헌을 할 것이라고 확고히 믿고 있습니다. 우리가 할 일은 이 '머니 메이커(money maker)'가 수익을 얻도록 돕는 것 뿐입니다". 지난 1월 페이스북 창업가 마크 저커버그가 투자자들에게 공언한 모바일 결제 서비스가 드디어 모습을 드러냈다. 페이스북은 17일(현지시간) 자사 메신저 서비스에 페이스북 이용자들끼리 돈을 주고 받을 수 있는 기능을 탑재한다고 밝혔다. 탄탄한 SNS 플랫폼을 바탕으로 모바일 사업을 확장한 셈이다. 페이스북 메신저 송금 서비스는 몇 달 후 미국부터 적용될 예정이며 미국 은행이 발행한 비자·마스터 직불카드만 사용이 가능하다. 페이스북 메신저의 송금 기능을 이용해 친구에게 돈을 부치려면 친구와 메시지 대화를 시작한 후 '$' 아이콘을 눌러 원하는 송금 금액을 기입하면 된다. 이후 우측 상단에 있는 '송금' 버튼을 클릭, 본인 직불카드 번호를 입력하면 송금이 완료된다. 서비스 이용료는 무료며 한번 입력한 직불카드 번호를 재입력 없이 계속 사용할 수 있다. 친구가 페이스북 메신저를 통해 송금된 돈을 받으려면 메시지 대화 창을 연 후 메시지에 나온 '카드 추가' 버튼을 눌러 본인 직불카드 번호를 입력하면 된다. ◆ '인터넷 익스플로러' 불명예 퇴장 페이스북이 모바일로 사업 상승세에 올라 선 반면 마이크로소프트(MS)는 절치부심하고 있다. 인터넷 브라우저 대명사로 군림한 인터넷 익스프로러(IE)가 하락하는 점유율과 모바일 도태 속에 결국 불명예 퇴장하기 때문이다. 이날 미국 현지 IT 전문 매체들은 MS가 윈도 10에 탑재될 신규 브라우저 명칭에 IE를 빼기로 했다고 일제히 보도했다. MS는 IE 대신 '프로젝트 스파르탄'이란 가칭을 붙여 디지털 시대에 더욱 경쟁력있는 브라우저를 지향한다는 방침이다. 새 술은 새 부대에 담는다는 말처럼 MS가 윈도 10으로 PC시대 전성기를 모바일 시대에서도 구현할지 관심을 모으게 됐다.

2015-03-18 15:19:49 장윤희 기자
기사사진
[Global Korea] Root industry training foreign labor force…permanent residency given after 5 years of working period

Expansion of community colleges to train foreign technical personnel who will be working in the root industry positioned in basic processing such as molding, coinage and welding. Department of Industrial commerce and resource is planning on expanding from 3 community colleges to 8 colleges in order to educate foreign technical personnel. The government has appointed 3 colleges (Choson Natural Science college, Gae Myung culture college and Choson college as root industry foreign technical personnel training colleges. 23 foreigner will enter this year and will be employed in the root industry by the second half of next year. They can employ trained and ready technical personnel with experience any time of the year. Those who have worked for more than 5 years are qualified to register for permanent residency nationality registration. Along with this, Department of Industry, National institute for National Education, Choson Natural Science college, Gae Myung culture college and Choson college hosted a briefing session on the 17th of this month at Seoul Jong-ro gu National institute for National Education. Around 200 foreign exchange students have participated who are currently studying in Korea. Each colleges presented their technical personnel employment support programs and bachelors program. /파고다어학원 영어회화 Chris Kim(김윤관) 강사 [글로벌 코리아]뿌리산업 외국인 인력 양성…5년 넘게 일하면 영주권 금형·주조·용접 등 제조업 기초공정을 담당하는 뿌리산업에 종사할 외국인 기술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전문대학을 확대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뿌리산업 외국인 기술인력 양성대학을 현재 3개에서 올 상반기 중 8개로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지난해 조선이공대, 계명문화대, 조선대 등 3개 대학을 뿌리산업 외국인 기술인력 양성대학으로 선정했다. 올해 외국인 23명이 입학해 내년 하반기부터 뿌리기업에 채용될 것으로 보인다. 이들을 고용한 뿌리기업은 지식과 경험을 갖춘 숙련 기술인력을 기간 제한없이 계속 고용할 수 있다. 외국인은 5년 이상 근무하면 영주권이나 국적 신청자격이 주어진다. 아울러 산업부와 국립국제교육원, 조선이공대, 계명문화대, 조선대는 공동으로 서울 종로구 국립국제교육원에서 입학설명회를 17일 열었다. 국내에서 어학연수 중인 외국인 학생 200여명이 참가했다. 설명회에서 양성 대학별로 뿌리산업 외국인 기술인력 고용지원 프로그램과 양성대학별 학사 프로그램에 대한 소개를 했다. [!{IMG::20150318000077.jpg::L::240::}!]

2015-03-18 11:06:47 이국명 기자
기사사진
모바일 RPG '레이븐' TV 광고 봤어?…고품질 영상 무기·액션 실감

넷마블게임즈(대표 권영식)와 네이버(대표이사 사장 김상헌)가 지난 14일 선보인 초대형 모바일 액션 RPG(역할수행게임) '레이븐 with Naver'(개발사 에스티플레이)의 TV 광고가 화제다. 지난 12일 출시한 '레이븐'은 고품질 그래픽과 방대한 콘텐츠, 최고 수준의 액션성을 겸비한 블록버스터급 모바일 RPG로 최초 공개 당시부터 큰 기대를 모았다. 특히 넷마블과 네이버의 첫 번째 공동 마케팅 프로젝트로도 많은 관심을 받아왔다. 넷마블과 네이버는 '레이븐'의 강점인 다양한 종류의 무기와 무기들의 조합을 통한 강렬한 액션의 묘미를 전달하는데 초점을 맞춰 '무기' 편, '세계관' 편, '풀 3D' 영상 등 총 3가지 버전의 TV 광고를 제작했다. 이용자들은 '무기'편 광고를 통해 '레이븐'의 강점인 강력하고 미려한 디자인의 무기를 엿볼 수 있으며 '세계관'편을 통해 흥미진진한 게임 스토리를 살펴볼 수 있다. 또한 기존 게임 TV 광고에서 찾아보기 힘들었던 고 품질 '풀 3D' 영상 광고로 '레이븐'의 매력을 더욱 실감나게 감상할 수 있다. 박영재 넷마블 본부장은 "큰 기대 속에서 출시한 '레이븐'이 좋은 출발을 보여주고 있고 이번 광고에 힘입어 보다 가파른 상승세에 오를 것으로 예상한다"며 "안정적인 서비스에 만전을 기하고 다채로운 마케팅 활동을 적절하게 진행해 큰 성공을 일궈낼 것이다"고 전했다. '레이븐'과 관련한 세부 내용은 공식 카페(http://cafe.naver.com/mobileraven)와 넷마블 모바일 홈페이지(mobile.netmarble.net)에서 확인 가능하다. 한편 넷마블은 '레이븐'의 출시를 기념해 이달 중 게임을 시작하는 이용자 전원에게 각종 아이템 구입에 필요한 캐쉬를 지급하고, 공식 카페에서도 인증샷 이벤트, 등급 달성 이벤트 등을 진행해 문화상품권, 게임 내에서 사용하는 골드 등을 선물한다.

2015-03-17 14:04:45 이국명 기자
기사사진
스마트폰만 대고 현금 인출···'무카드 ATM' 미국서 확산

스마트폰으로 돈을 찾을 수 있는 현금자동입출금기(ATM)가 미국 내에서 확산되고 있다. 시카고 트리뷴·비즈타임즈 등 현지 언론에 따르면 BMO 해리스 은행은 16일(현지시간) 직불카드 등 카드를 투입하지 않고 스마트폰을 이용해 돈을 출금할 수 있는 ATM 750대를 도입했다. 카드를 이용해 ATM을 이용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카드 사기를 줄이기 위해서란 설명이다. '무카드 ATM'을 이용하면 카드를 ATM에 인식시키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카드 정보 등이 불법복제를 원천적으로 막을 수 있다. 스마트폰을 잃어버리거나 도둑맞아도 걱정없다. 원격으로 앱을 삭제해 거래를 불가능하게 만드는 것이 가능하다. 스마트폰과 ATM 간 주고받는 정보도 암호화돼 있으며 거래 종료 이후에는 메타 데이터가 사라지기 때문에 정보 유출 가능성도 거의 없다. 사용방법도 간단하다. 스마트폰에 모바일 뱅킹 앱을 설치한 후 찾을 금액을 입력하면 된다. ATM에 있는 메뉴 중 '모바일-캐시'를 누르고 스마트폰에 나타난 QR 코드를 인식시키면 ATM에서 돈이 나온다. 돈을 찾는 데 걸리는 시간도 짧다. 카드 삽입 방식 ATM의 거래에는 평균 45초가 걸리지만 무카드 ATM을 이용하면 3분의 1인 15초로 줄어든다. 이보다 앞서 시카고 지역과 위스콘신 주 남부에서 금융업을 하는 '윈트러스트 파이낸셜'도 지난해 8월부터 175개 ATM 전부를 카드 없이 거래할 수 있도록 했다. 로스앤젤레스에 있는 '시티 내셔널' 역시 지난해 6월에 카드 없는 ATM에 대한 테스트를 완료하고 도입을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2015-03-17 13:12:58 이국명 기자
기사사진
[메트로 칠레]"치안 불안해서 못 살겠다" '셀프 감옥' 시위 화제

칠레의 유명 휴양지 비냐 델 마르 시의 한 주민이 치안 불안정에 항의하는 의미로 자신의 집을 철조망으로 둘러 싸고 두문불출하는 시위를 벌여 화제다. 아름다운 해변가와 국제 음악 페스티벌로 잘 알려진 휴양도시 비냐 델 마르의 화려한 겉모습과는 달리, 도시의 주민들은 고질적인 치안 불안정에 고통 받고 있다. 유명 관광지들이 늘상 그러하듯이, 비냐 델 마르 역시 여행 성수기마다 들끓는 절도, 소매치기로 골머리를 앓는다. 미국 국무부의 해외 안전 자문 위원회(OSAC)에 의하면 칠레의 치안은 라틴아메리카 국가 중 매우 훌륭한 편에 속한다. 하지만 비냐 델 마르 지역은 특별히 겨울철(북반구의 여름에 해당)에 경범죄 관련 치안이 매우 위험한 지역으로 분류돼 있다. 도시의 북부 시우다드 하르딘 지역 4번 가에 사는 후안 이스키에르도는 더 이상 이러한 상황을 참을 수 없었다. 연속으로 무려 다섯 번의 절도를 당한 후 그는 집을 철조망으로 둘러쌌다. 정문에 "비냐 델 마르 최고의 보안을 자랑하는 감옥"이라는 푯말을 세웠다. 그 옆에는 "길거리보다 차라리 감옥이 마음이 놓인다. 이 도시에 인권이라는 것이 존재한다면 제발 나를 이 곳에서 꺼내주길"이라는 설명을 덧붙였다. 이스키에르도는 "우리집을 ㅤㄸㅓㅀ은 다섯 번 째 도둑이 체포된 지 며칠 만에 석방됐다"며 "도시의 사법 시스템 결함으로, 자신과 자신의 가족은 큰 고통을 겪었는데 정작 도둑은 제대로 된 죗값을 치르지 않고 있다"고 분통을 터뜨렸다. 이스키에르도는 현재 자신의 상황이 완전한 '죄수' 신분이며 '완전히 갇혀 있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칠레의 인권 시민단체들이 이 상황을 주의 깊게 대하고, 정부의 변화를 이끌어낼 것을 간절히 바란다. 이스키에르도의 이웃들도 "도시의 치안이 형편없는 수준이며 사법 시스템이 전혀 제대로 된 방식으로 작동하지 않는다"며 이스키에르도의 투쟁을 지지하고 있다. /정리 이국명기자

2015-03-17 10:13:49 이국명 기자
기사사진
[메트로 홍콩]'아이스버킷 챌린지' 달라진 것 없다···열기 식으며 또 다른 고통

루게릭 환자를 돕기 위한 '아이스버킷 챌린지' 열기가 급속히 식으며 환자들에게 또 다른 고통을 주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메트로 홍콩은 지난해 8월 인터뷰 했던 루게릭 환자 마이크(42)의 사례를 17일 전했다. 마이크(42)의 경우 아이스버킷 챌린지 열기가 한창이던 지난해 만해도 매주 친구들이 찾아왔다. 메트로 홍콩에 인터뷰기사가 실리면서 지인들의 방문도 줄을 이었다. 친구와 지인들의 병문안은 마이크를 웃게 만들었고 팔을 들을 수 있을 정도로 병세도 호전됐다. 하지만 반년이 지난 현재 가족들조차 방문이 뜸해지면서 마이크는 두 손이 떨리고 전신마비에 가까운 상태다. 특히 마이크는 유전자 검사 결과 루게릭병 진단이 오진이었던 것으로 밝혀져 안타까움을 더하고 있다. 그가 앓고 있는 질병은 더 희귀한 샌드호프병이었다. 담당의사는 "마이크의 신경계 이상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으며 발병 중기에 해당한다"며 "다행히 마이크는 독일 로스톡대학교 임상연구에 참여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치료비는 무료지만 독일에서 숙소와 간병인 비용을 마련해야 하는 어려움이 마이크에게는 남아있다. 하지만 마이크는 "앞에 불이 있어도 헤쳐 나가야 한다"며 치료의 의지를 보였다. /정리=이국명기자

2015-03-17 10:12:37 이국명 기자
기사사진
[글로벌코리아]한국이주여성인권센터, 활동가 세미나 개최

한국이주여성인권센터가 이주여성 활동가를 위한 세미나를 이달 말부터 정기적으로 연다. 세미나는 매월 두 차례 다양한 주제로 진행될 예정이다. 첫 세미나는 오는 20일 오후 6시30분 서울 종로구 센터 교육장에서 열린다. '외국인 보호소의 이주민 인권 상황'을 주제로 지난해 외국인 보호소 실태조사에 참여했던 김연주 변호사가 발표한다. 참석 희망자는 오는 18일까지 세미나에 참석하고 싶은 이유 등을 간단하게 작성해 이메일(kwmigrant@daum.net)로 신청하면 된다. 센터는 "이주여성 활동가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세미나를 마련했다"라며 "앞으로 이주여성의 인권 문제를 다양한 시각에서 다뤄볼 계획"이라고 전했다. 한편 센터는 한국어 방문 무료 교육 신청도 다음달 15일까지 받는다. 서울에 거주하는 이주여성 또는 국제결혼가정 자녀면 신청할 수 있다. 홈페이지(www.wmigrant.org)에서 신청서를 내려받아 작성해 이메일(wmigrant@naver.com)로 제출하면 된다. Korea Immigrated Women Human Rights Center hosting activist seminar Korea Immigrated Women Human Rights Center is planning to host seminars regularly for immigrated women activist starting at the end of this month. The seminar will be opened twice a month with variety of topics. The first seminar will be held at Seoul Jong-Ro gu center education hall on the 20th of this month at 6:30pm. The presenter will be Kim Hyun Ju lawyer who has given a presentation last year on "Immigrants' human rights status of foreigners' shelter" Anyone who hopes to participate can register through e-mail at kwmigrant@daum.net with a brief comment on the purpose of your visit. The center has stated that they are hosting this seminar to enforce and strengthen immigrated women activist and is planning on approaching problems regarding immigrated women human rights from a different point of view. On the other hand, Free Korean education visitation program will start receiving registration on the 15th of next month. All immigrated women living in Seoul or children of international marriage couple can register. You can download the registration form at www.wmigrant.org and sent it to wmigrant@naver.com. /파고다어학원 영어회화 Chris Kim(김윤관) 강사

2015-03-17 09:44:12 이국명 기자
기사사진
'피파 시즌' 돌아왔다···'피파 온라인 3 아디다스 챔피언십 2015' 만원관중

'피파 온라인 3 아디다스 챔피언십 2015'가 흥행신호탄을 쏘아 올렸다. 넥슨이 서비스하고 스피어헤드(Sperahead, 사장 이병재)가 개발한 온라인 축구게임 'EA SPORTS™ FIFA Online 3(이하 FIFA 온라인 3)'의 정규 e스포츠 리그 'EA SPORTS™ FIFA ONLINE 3 ADIDAS CHAMPIONSHIP 2015(이하 아디다스 챔피언십 2015)'가 첫 회부터 만원관중을 동원하며 순조롭게 출발했다. 14일 서울 서초구의 e스포츠 경기장 '넥슨 아레나'에서 열린 아디다스 챔피언십 2015 개막전에는 약 500여 명의 관객이 운집, 전층 좌석을 가득 메웠다. 이는 온라인에서 판매된 입장권 전량 매진의 성과다. 또, 개막전부터 디펜딩 챔피언 김정민, 인기 BJ 출신 김승섭 등 인지도 높은 실력파 간 빅매치 성사로 뜨거운 현장 열기가 이어졌다. 이날 열린 조별리그 1조 경기에서는 김승섭과 김정민이 나란히 1, 2위를 차지하며 8강에 올랐다. 리그에 첫 출전한 최현석은 신인의 패기와 공격적인 플레이로 맞섰지만, 대회 경험부족을 여실히 드러내며 전패로 탈락의 설움을 맛봤다. 빅매치로 주목 받았던 김승섭, 김정민의 대결에서는 김승섭이 환골탈태의 기량으로 시종일관 김정민을 압도했다. 김승섭은 측면돌파에서 크로스로 이어지는 연계 플레이로 김정민의 골망을 사정 없이 흔들었고, 이후 김정민의 거센 공격도 안정적으로 방어하며 스코어의 우세를 지켰다. 김승섭은 김정민, 최현석 모두에게 승리를 거두며 쾌조의 출발을 보였다. 반면, 김정민은 조 2위로 8강 진출은 성공했지만, 공수에서 모두 과제를 남겼다. 1조 1위로 조별리그를 통과한 김승섭은 "예상 못한 좋은 성적으로 조별리그를 통과하게 돼 기쁘다"며, "대회에 참가하기 위해 많은 연습을 한 만큼 앞으로는 BJ가 아닌 선수로서 더 멋진 모습 보여드리고 싶다"고 말했다. FIFA 온라인 3의 정규 e스포츠 리그 아디다스 챔피언십 2015에 대한 보다 자세한 정보는 FIFA 온라인 3 공식 홈페이지(fifaonline3.nexon.com)에서 확인할 수 있다.

2015-03-16 16:38:17 이국명 기자
기사사진
TV, 이젠 스트리밍으로 본다…케이블TV·위성방송 급속 퇴조

스트리밍 서비스가 미국 방송 산업을 뒤흔들고 있다. 미디어 리서치 업체인 닐슨은 지난해 4분기 미국 내 최대 케이블TV 사업자인 컴캐스트의 초고속 인터넷 가입자(가구당 기준)가 37만5000 가구나 늘어 2200만 가구에 달했다고 15일(현지시간) 밝혔다. 같은 기간 케이블TV 가입자는 6000가구 증가에 그쳐 2240만 가구를 기록했다. 순증 가입자만 보면 인터넷이 케이블TV보다 6배 이상 많다. 이에 따라 올해 1분기 중에 인터넷 총 가입자 수가 케이블 TV 가입자를 앞지를 전망이다. 2위 사업자인 타임워너 케이블은 이미 초고속 인터넷 가입자 수가 케이블TV 가입자 수를 넘어섰다. 이는 '코드 커터'(Cord cutter·TV방송 대신 인터넷 방송을 시청하는 소비자)로 불리는 신세대 가입자들이 케이블TV·위성방송보다 스트리밍 시청을 선호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현재 미국 내에서는 넷플릭스, 아마존닷컴 프라임, 훌루 플러스가 스트리밍 서비스 시장을 놓고 각축을 벌이고 있다. 이들은 저렴한 시청료를 앞세워 케이블TV·위성방송 가입자를 유혹하고 있다. 채널 100개 이상 패키지로 판매되는 케이블TV·위성방송의 시청료는 월 80∼100달러(약 9만∼11만2000원)에 인데 반해 넷플릭스는 월 8.99달러(약 1만1000원)에 불과하다. ◆지상파·케이블 채널도 스트리밍 서비스 사정이 이렇다 보니 기존 지상파·케이블 채널도 스트리밍 서비스에 본격 나서고 있다. 미국 3대 지상파인 CBS 방송은 올해 초 스트리밍 서비스를 시작했다. NBC 방송을 소유한 NBC유니버설은 올해 하반기에 코미디 프로그램 중심의 유료 웹 비디오 서비스를 시작할 예정이다. 타임워너의 자회사인 영화 채널 HBO도 지난 9일 애플과 독점 파트너십을 맺고 'HBO 나우'라는 인터넷 전용 서비스를 출시한다고 밝혔다.

2015-03-16 14:33:17 이국명 기자
기사사진
지식정보 공유 서비스 활성화된다…본엔젤스 '킨플'에 투자

지식 공유 서비스인 '킨플'이 강력한 우군을 만났다. 초기기업 전문 투자 벤처캐피털인 ㈜본엔젤스벤처파트너스(대표 장병규)는 지식정보 공유 플랫폼인 '킨포(KINFO, www.kinfo.co.kr)'를 서비스하는 ㈜스카이워크홀딩스(공동대표 권재륜, 김수림)에 3억원을 투자했다고 16일 밝혔다. 스카이워크홀딩스는 옥션, 잡코리아, 맥스무비 등의 기업 초기 경영 참여 및 한국기업투자, 위너스터디 대표를 역임한 권재륜 대표와, 작가·번역가이자 사진, 영상 전문 기업인 R2스튜디오와 D2스튜디오를 창업했던 김수림 대표가 지식 정보 공유의 공익적인 역할에 역점을 두고 공동 창업 했다. 스카이워크홀딩스가 준비중인 '킨포'는 디지털 콘텐츠 오픈 마켓으로, 직장인을 위한 국내외 기업보고서와 시장정보를 비롯, 법률/회계/세무 등 고급지식정보부터 리포트, 논문 등 교육용 학습자료까지 다양한 영역의 자료들을 제공한다. 특히 자신이 제작한 학습 및 정보자료뿐만 아니라 각종 문서작업용 서식, 템플릿, 이미지, 사진, 사운드, 동영상 등을 오픈마켓에 공개하고 거래할 수 있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또한 '킨포'는 자체적으로 콘텐츠를 제작해주는 '킨플(KINPLE)'을 운영하고 이를 통해 고객 요청 자료들도 제공할 예정이다. 스카이워크홀딩스의 권재륜 대표는 "개인이나 조직이 제작해 공개하지 않은 정보를 공유하고 수익을 창출 할 수 있다는 것은 새로운 인센티브의 탄생"이라며 "누구나 쉽게 자신의 지식을 공유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하고 지식 공유 산업 활성화에 기여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본엔젤스 강석흔 이사는 "각각의 부분적인 영역에서 거래되던 문서정보 시장을 종합적인 지식정보 서비스로 통합해 시장규모를 확대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공동대표의 사업 경험 및 콘텐츠 기획력과 더불어, 서비스 운영능력 등 실행력을 두루 갖췄다고 판단해 투자했다""고 전했다. 한편, 스카이워크홀딩스는 이달 24일까지 전국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킨플'을 모집 중에 있으며, 오는 21일 사업설명회를 열 계획이다. 선정된 '킨플'에는 기여도에 따른 성과금은 물론, 지식정보 콘텐츠와 전자책 제작 및 출판의 기회를 제공하고, 각계 각층의 유명인들의 강의를 듣고 만날 수 있는 '킨플 아카데미' 무료 수강권도 증정할 계획이다.

2015-03-16 13:24:01 이국명 기자
기사사진
[글로벌코리아]서울시청 시민청 내달부터 월요일에도 운영

서울시가 다음 달부터 시청 지하에 자리한 시민청의 월요일 휴관제를 폐지해 1년 중 신정과 설·추석 당일을 제외하고 상시 개방한다. 시민청은 2013년 1월 개관한 이래 그동안 320만여 명, 하루 평균 5000명 이상이 찾았다. 시민 만족도도 94.2%로 집계됐다. 월요일 휴관제가 폐지되면 연간 휴관일은 기존 53일에서 3일로 대폭 줄어든다. 시는 시민 수요와 지하철 시청역, 을지로입구역과 연결된 통로로 시청에 들어오는 시민의 편의를 고려해 월요일에도 시민청을 개장하기로 하고 관련 조례를 개정했다. 시는 월요일 퇴근 시간 전후로 1호선 시청역 4번 출구와 시민청 입구 사이 분수공원에서 '활력 콘서트'를 여는 등 월요일 특화 프로그램도 운영할 계획이다. 시는 또 서울산업진흥원(SBA) 본사가 상암동으로 이전하고 비어 있는 강남 SBA컨벤션센터 건물 1∼2층에 '동남권역 제2시민청'을 8월 개관한다고 밝혔다. 시는 동남권역 시민청을 시작으로 앞으로 시내 곳곳의 빈 공공건물을 활용해 권역별 지역시민청을 조성할 계획이다. 이와함께 시민청에서 열리는 유료 행사를 무료로 이용하는 대상자를 외국인 주민, 다문화 가족, 새터민까지 확대하기로 했다. Seoul City Hall Citizen's office opens on Monday starting next month The citizen's office which is located below the city hall is going to abolish the closure policy and open all year long except on the Chinese New Year's day, Lunar New Year's day and Korean Thanksgiving Day. Ever since the opening of the citizen's office on January 2013, more than 5000 citizens visited a day which adds up to a total of 3.2 million people. Also, the satisfactory rate was reported to be 94.2%. If the Monday holiday system is to be abolished, the total number of holidays throughout the year decreases from 53 days to 3 days. Seoul has considered the fact that people would be able to enter the city hall more conveniently if the entrances connected to the City Hall station and Eul-Jiro Yipgu station are to be opened. Therefore, Seoul has decided to open the Citizen's office on Mondays. Seoul is also planning to start special programs like "Energy Concert" at the fountain park between the City Hall line number 1 exit number 4 and the citizen's office entrance on Mondays. Also, Seoul is planning to open the Second citizen's office in August at the SBA convention center 1,2 floor due to the relocation of the Seoul Business Administration headquarters. Starting with the South eastern region citizen's office, Seoul is planning on establish more citizen's office throughout the city in public buildings. Along with this, people participating in charged events of any kind will be expanded to foreign citizens, multi-cultural families and North Koreans. /파고다어학원 영어회화 Chris Kim(김윤관) 강사

2015-03-16 12:07:33 이국명 기자
기사사진
과거사 희석시키려 미 대학에 돈 푸는 일본

조지타운·MIT·컬럼비아대에 1500만 달러 투입 지난해 말 '미국 역사교과서 왜곡'을 시도하다 역풍에 휘말렸던 일본 정부가 이번에 미국 대학에 '마수'를 뻗히고 있다. '문화교류 증진'이라는 이름을 내걸고 유수 대학들에 1500만 달러(약 169억원)의 일본학 연구 자금을 투입할 것으로 알려졌다. 14일(현지시간) 워싱턴 외교소식통들에 따르면 미국 워싱턴DC의 조지타운 대학과 매사추세츠 주의 MIT 공대가 일본 정부로부터 각각 500만 달러의 자금을 받을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학 연구 목적으로 제공되는 이 자금은 오는 4월부터 시작되는 2015∼2016 회계연도 예산을 통해 배정될 것으로 보인다. 뉴욕의 컬럼비아 대학도 일본 정부로부터 2014∼2015 회계연도 예산에 배정된 500만 달러를 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이뿐만이 아니다. 일본 국제교류재단인 '재팬 파운데이션'은 미국을 비롯한 해외 6개 대학에 각각 20만 달러가량의 공공외교 자금을 배정할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내 역풍 가능성 커 이에대한 미국 내 시각은 곱지만은 않다. 순수한 공공외교 목적을 넘어 전쟁범죄와 군대 위안부 등 과거사를 '세탁'하려는 의도라는 시각이 대두되고 있기 때문이다. 한 외교소식통은 "일본 정부는 한국과 중국의 과거사 공세로 미국 내에서 일본에 대한 인식이 부정적으로 바뀌었다고 보고 미국 학계를 겨냥해 본격적으로 역사수정 움직임에 나서려는 것으로 보인다"며 "그러나 이는 순수한 공공외교 목적을 넘어서는 것이어서 또 다른 역풍을 일으킬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했다. 한편 일본은 지난해 말 뉴욕주재 총영사관을 통해 미국 맥그로힐 출판사에 위안부 관련 내용을 삭제해 달라고 요청했다가 거부당한 바 있다. 일본은 독일 출판사를 상대로도 중등 교육용 역사 교과서에 포함된 위안부 관련 기술을 수정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어 빈축을 사고 있다.

2015-03-15 16:28:55 이국명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