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이국명
기사사진
[메트로 홍콩] 시진핑 중국 주석 월급 62% 상승

시진핑 중국 주석의 월급이 62% 상승했다. 과거 중국 지도부가 낮은 임금을 고수해온 것과 다른 행보다. 21일 메트로 홍콩에 따르면 시진핑 주석의 월급이 7020위안(한화 약 122만원)에서 1만1385위안(약 198만원)으로 62% 증가했다. 이는 중앙정치국 상무위원으로서의 급여 기준에 따른 것이다. 시진핑 주석의 중앙정치국 상무위원 월급은 다른 여섯 명의 위원들과 같다. 모든 공무원들도 이번 임금 조정의 혜택을 받게 된다. 시진핑 주석은 중앙군사위원회 주석과 국가 주석을 겸하고 있어 두 종류의 월급을 더 받는다. 2012년 7월 기준 후진타오 전 주석의 군사위원회 주석 월급은 2만1119위안(약 368만원)이다. 중앙군사위원회 주석 임금은 국가공무원 임금제도에 따라 지불된다. 중국 국무원이 2006년 발표한 임금표에 따르면 후진타오 전 주석의 국가주석 월급은 3000위안(약 52만원)이다. 이에 근거해 시진핑 주석의 당·정·군 직위 임금이 모두 62% 상승했다면 총 월급은 약 5만위안(약 871만 원)이 된다. 과거 중국 지도부는 국민에게 봉사하는 이미지를 강조하기 위해 매우 낮은 임금을 고수해왔다. 1955년 군사위원회 주석이자 1급 행정직이던 마오쩌둥의 월급은 600위안(약 10만원), 정치국 위원으로 3급 행정직이던 덩샤오핑의 월급은 500위안(약 8만원)이었다. 다만 거주, 식비, 의료, 퇴직금은 별도로 지급됐다. 하지만 최근 시진핑 주석은 청렴한 공직사회를 위해 공무원의 처우 개선이 필요하다고 주장하면서 고위 공무원의 임금을 상향 조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오바마 미국 대통령의 연봉은 40만 달러(약 4억 3356만원), 월급은 약 3만3000달러(약 3576만원)로 시진핑 주석의 네 배다. 렁춘잉 홍콩행정장관의 연봉은 422만 홍콩달러(약 5억9000만원), 월급은 약 35만1666홍콩달러(약 5000만 원)로 시진핑 주석의 다섯 배가 넘는다. /정리=장윤희기자

2015-01-22 13:42:01 장윤희 기자
기사사진
[메트로 러시아]의족 싣고 3400m 정복한 의지의 사나이

두 번 큰 수술에도 도전 지속···바이애슬론·산악 선수로도 활동 중 장애를 딛고 해발 3000미터가 넘는 산을 정복한 '의지의 사나이'가 화제다. 메트로 모스크바는 노보시비르스크에 살고 있는 막심 쿠브리츠키가 최근 의족을 착용한 채 3400미터의 알타이 산을 정복했다고 2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쿠브리츠키는 몇 해 전 불의의 사고로 큰 수술을 받고 왼쪽 다리를 절단한 장애인이다. 조금만 무리를 하면 쇼크가 올 정도로 상태가 심각하다. 하지만 이같은 고난도 쿠브리츠키의 도전의지를 꺾지는 못했다. 그는 병원에서 퇴원하는 즉시 체력 단련을 시작했다. 쿠브리츠키는 "사고로 두 번의 큰 수술을 했지만 결국 다리를 절단하고 의족을 착용해야 했다"며 "하지만 모든 것이 끝났다는 생각은 한 번도 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노보시비르스크 첨단보조기제작 업체의 도움으로 등산에 적합한 특수 의족을 만들 수 있었다"며 "노보시비르스크 주 장애인 바이애슬론과 산악선수로도 활동 중"이라고 덧붙였다. 쿠브리츠키는 도전에 나설 때 안전 규칙을 철저히 지킨다. 매번 몸 상태를 체크하고 조심한다. 쿠브리츠키는 "알타이 시에 위치한 세베로 추이스크 산을 등반하기 전에 한 달 정도 여러 가지 준비를 했다"며 "장애인 선수에게 무리한 등반은 매우 위험한 일"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몸에 부담을 주지 않기 위해 무거운 배낭은 짊어지지 않는 등 최대한 의족이 다리에 부담을 주는 일을 피했다"고 말했다. 앞으로도 계속 새로운 도전을 계속할 것이라 말하는 쿠브리츠키의 소식을 접한 러시아 네티즌들의 반응도 뜨겁다. '러시아의 진정한 산악인' '의지의 사나이' '큰 용기에 박수를 보낸다'는 응원의 댓글이 쏟아지고 있다. /가리나 멜리 기자·정리 이국명기자

2015-01-22 13:41:33 이국명 기자
기사사진
미국도 교사 폭행 사건으로 부글부글···6세 어린이를 49m나 끌고 가

초등학교 여교사 폭행사건이 뒤늦게 알려져 미국 사회가 발칵 뒤집혔다. 특히 여섯 살 어린이를 폭행한 뒤 49미터나 끌고 간 혐의로 해고됐던 해당 교사가 최근 복직한 것으로 드러나 논란이 커질 전망이다. CNN은 20일(현지시간) 켄터키 주 불리트 카운티에 있는 브룩스 초등학교의 복도에서 있었던 여교사의 폭행 장면을 보도했다. 이 학교의 감시카메라가 잡은 화면에는 애쉴리 실라스가 복도 바닥에 앉아 버티는 어린이의 손목을 잡고 사무실까지 끌고 가는 모습이 잡혔다. 1학년 생으로 알려진 이 어린이가 끌려가는 동안 주위의 다른 교사와 학생들은 이 장면을 지켜만 봤다. 이 폭력은 지난해 10월 29일 발생했다. 학교 측은 폭력 행위에 대한 책임을 물어 교사를 곧바로 해고했다. 하지만 교사의 이의제기에 조사위원회는 해고 대신 7주 무급휴직으로 징계수위를 낮췄다. 학교 측은 실라스의 복직을 원하지 않지만 조사위원회의 결정인 만큼 어쩔 수 없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폭력을 당한 어린이 부모는 "당시 충격 때문에 아들이 ADHD(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 진단을 받았다"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한편 사건이 불거지자 불리트 카운티 검찰은 해당 교사를 4급 폭행 혐의를 적용해 기소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2015-01-21 11:39:34 이국명 기자
기사사진
장그래·안영이 말에도 귀 기울인다

닐슨·CJ헬로비전·로레알 등 신입의견 적극 반영 문화 눈길 "신입사원의 이야기를 알뜰하게 챙겨주는 오차장 같은 상사는 아마 없을거야." 직장인들의 회식자리에서는 아직도 이같은 한탄이 안주거리로 오르고 있다. 지난 연말에 끝난 드라마 '미생'의 여운이 안타까운 현실과 대비되며 아직도 강하게 남아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미 '오차장 같은 회사'를 만나 자신의 끼와 열정을 마음껏 발휘하는 신입사원들도 있다. 기발한 아이디어를 뽐내는 '장그래', 선배들도 부러워하는 실력의 소유자 '안영이'의 목소리를 적극 반영하는 회사들이 늘어나고 있다. ◆동호회도 죽다 살아나=여론조사업체인 닐슨코리아 직원들은 최근 한층 밝아진 사내문화에 만족하고 있다. 지난해 3월 다이내믹하고 즐거운 사내 문화를 만들기 위해 구성된 '뻔뻔(FUN FUN) 주니어 보드' 덕분이다. 각 사업부 9명의 특급 주니어 군단(사원~과장)으로 구성된 '뻔뻔 주니어 보드'는 대표이사와의 정기적 미팅을 통해 신세대 사원들의 생각을 직접 전달하고 있다. 회사의 정책 결정 과정에 관여하기도 한다. 특히 '뻔뻔(FUN FUN) 주니어 보드'는 사라질 위기에 처했던 동호회 문화도 살려냈다. 신입사원들의 의견을 적극 반영해 회사 지원금을 연 100만원으로 증액했다. 1개만 간신히 명맥을 유지하던 닐슨코리아의 동호회는 현재 5개까지 늘어났다. ◆신입 아이디어를 사업화=CJ헬로비전은 신입사원의 아이디어를 사업화한 서비스가 많은 것으로 유명하다. 시각장애인 텔레비전 시청 도우미 서비스 '이어드림'이 대표적이다. 신입사원 2명이 2013년 사내 공모대회에 출품해 대상을 받은 이 서비스는 시각장애인 스스로 방송채널과 주문형비디오(VoD), 화면해설방송 녹화(PVR)를 손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이밖에 실시간 방송과 VOD를 모바일 기기에서 볼 수 있는 서비스 '티빙'에 적용한 손가락 리모컨 서비스 '티빙 크래용'도 신입사원의 아이디어에서 개발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백화점 직원까지도 포용=일하기 좋은 직장으로 유명한 로레알코리아는 본사 직원들과 백화점 판매직원들 사이에 유대감이 돈독하다. 신입사원들의 제안으로 사내 커뮤니케이션 프로그램인 '메르시(자비) 캠페인'을 진행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캠페인은 매달 마지막 주 '메르시 위크(Merci Week)' 동안 개성 가득한 '메르시 액션'을 수행하도록 독려하는 방식이다. 매장 단위로 자유롭게 메르시 액션을 수행하고 인증샷을 공유한다. 1500명의 전 직원 중 1200명에 달하는 백화점 판매직원들도 이 캠페인을 통해 소속감을 높이고 본사 직원들과 동료애도 나누고 있다.

2015-01-20 16:19:44 이국명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