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김현정
글로벌 모바일 호황 덕에 IT·게임주 잘나간다

中 대표 IT업체 알리바바 美상장 여파…네이버 등 관련주 급등 모바일게임도 줄줄이 증시 입성 글로벌 모바일콘텐츠 호황에 힘입어 국내 게임업체들이 속속 증시로 입성하고 있다. 게다가 일본과 중국 등지의 투자 유치가 이어지면서 이들 업체의 해외 진출 기대감이 그 어느 때보다도 높아졌다. 모바일 게임업체들은 잇따라 상장하거나 이를 준비 중이다. 먼저 '쿠키런'으로 잘 알려진 모바일 게임사 데브시스터즈가 다음 달 6일 코스닥에 상장한다. 시장에서는 데브시스터즈가 과거 '애니팡' 시리즈 인기에 힘입어 코스닥에 성공적으로 입성한 선데이토즈의 뒤를 이을 수 있을지에 주목한다. 다음달 6일 코스닥시장에 상장하는 데브시스터즈의 공모주식 수는 270만주이며 예상 시가총액은 4644억~5400억원 규모다. 이 회사는 지난해 4월 출시한 '쿠키런 포 카카오'와 '라인 쿠키런'이 국내 앱스토어 10위권을 유지하며 순항 중이다. 연내 '쿠키런2' 출시와 중국으로의 추가 해외 진출을 이루면 내년에도 실적 성장을 이룰 것으로 관측된다. 시장 전문가들은 데브시스터즈의 상장이 무난하게 진행될 것으로 내다봤다. 김동희 메리츠종금증권 연구원은 "캐시카우(현금창출원) 역할을 하는 '쿠키런' 콘텐츠에 기반해 계단식 성장을 하는 회사"라며 "과거 선데이토즈 상장시 '애니팡' 시리즈로 입증한 기업공개(IPO) 가치가 이번 데브시스터즈에서도 재현될 것으로 보인다"고 예상했다. 지난해 11월 우회상장으로 코스닥에 입성한 선데이토즈는 최근 주가가 공모가(4000원) 대비 5배 넘게 치솟은 상태다. 모바일 게임 열풍에 또 다른 모바일 게임사이자 '아이러브커피'로 유명한 파티게임즈 역시 코스닥 상장 절차를 밟고 있다. 이들 업체가 중국과 일본 등지의 해외 투자를 유치하는 점도 호재다. 데브시스터즈는 일본 소프트뱅크의 한국 계열사인 소프트뱅크벤처스의 투자를, 파티게임즈는 중국 대표 인터넷기업인 텐센트의 투자를 유치했다. 파티게임즈는 중국 전자상거래업체인 알리바바와 중국 진출 제휴도 체결해 기대감을 모으고 있다. 소프트뱅크와 알리바바로부터 투자를 유지해 일본 증시에 상장할 것이란 설이 계속 불거지는 네이버의 모바일 메신저 '라인'도 시장의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다. 네이버의 주가는 라인의 해외 상장설에 최근 6거래일간 13% 가까이 올랐다. 증시 전문가들은 알리바바가 지난 19일 미국 증시 사상 최대 규모의 상장으로 화려하게 데뷔하면서 알리바바로부터 투자를 유치한 업체들의 수혜 기대감이 더 커졌다고 판단했다. 조진호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글로벌 모바일 콘텐츠 업종이 호황을 보이면서 알리바바가 미국 증시에 입성했다"며 "이에 관련 국내 업체들의 해외 상장 기대감이 나타났고 모바일 콘텐츠의 절반을 차지하는 게임 업종에 대한 기대감도 높아졌다"고 말했다.

2014-09-21 10:24:50 김현정 기자
지난주 해외주식펀드 수익률 -1.33%…러시아 -3.52%

한 주간 해외주식펀드의 수익률은 1% 넘는 낙폭을 기록했다. 유럽의 러시아에 대한 추가 제재가 발효되고 각국의 경제지표가 부진한 결과를 내놓은 것이 부담으로 작용했다. 펀드평가사 KG제로인이 지난 19일 오전 공시된 기준가격으로 펀드 수익률을 조사한 결과, 해외주식형펀드는 한 주간 1.33% 하락했다. 일본주식펀드는 전주보다 상승폭은 둔화했지만 유일하게 0.41% 올랐다. 지역별로는 러시아주식펀드가 -3.52%로 가장 부진했다. 우크라이나를 둘러싼 지정학적 우려가 확산되는 가운데 러시아 경제 제재 강화까지 겹치며 매수심리가 위축됐다. 8월 산업생산지표 부진 등 실물지표 악화도 악재로 악용했다. 유럽신흥국펀드와 글로벌신흥국주식펀드도 각각 -1.79%, -1.73%로 약세를 보였다. 중국주식펀드는 1.77% 하락했다. 실물지표 둔화에 이어 8월 외국인직접투자(FDI) 지표가 최근 4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는 소식이 부담을 줬다. 인도주식펀드도 -1.44%를 기록했고 중국과 인도 증시 약세에 아시아신흥국주식펀드도 1.44% 떨어졌다. 브라질주식펀드는 직전 주 큰 폭을 조정을 겼었다가 한 주간 -1.20%로 낙폭을 좁혔다. 최근 낙폭이 과도했다는 인식이 확산된 데다 무역수지 개선, 일부 대기업의 밸류에이션 매력이 부각됐다. 브라질을 포함한 남미신흥국주식펀드 역시 지난주 조정 후 반발 매수세가 유입되면서 0.94% 하락에 그쳤다. 유럽주식펀드는 스코틀랜드의 독립을 둘러싼 지정학적 리스크에 -0.14%로 마이너스 성과로 돌아섰다. 반면 북미주식펀드는 미 연방준비제도(Fed)의 저금리 기조 유지 소식에 0.29% 상승했다. 일본주식펀드는 전주보다 상승폭은 둔화했지만 유일하게 0.41% 올랐다. 달러화 대비 엔화 약세가 나타나면서 증시에 호재로 작용했다. 주 후반 미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결과 조기 금리인상 우려가 다소 완화한 것도 증시 강세를 이끌었다. 글로벌 증시와의 상관관계가 낮은 프론티어마켓주식펀드도 0.16% 상승했다. 섹터별로는 금융섹터가 0.91%로 유일하게 올랐다. 이에 반해 에너지섹터는 -1.07%로 가장 부진했고 멀티섹터와 기초소재섹터도 각각 -0.69%, -0.68% 하락했다. 소비재섹터와 헬스케어섹터도 각각 0.52%, 0.13% 각각 내렸다. 순자산액(클래스 합산) 100억원 이상, 운용기간 1개월 이상인 1228개 해외주식형펀드 중 164개가 플러스 성과를 냈다. 개별 펀드별로는 금융섹터에 투자하는 '삼성KODEX합성-미국금융상장지수[주식-파생]' 펀드가 1.70%로 가장 성과가 좋았다. 반면 러시아 증시 부진에 '신한BNPP봉쥬르러시아자(H)[주식](종류A 1)' 펀드가 -4.41%로 가장 저조한 성과를 냈다.

2014-09-20 08:48:32 김현정 기자
지난주 국내주식펀드 0.58% 상승…중소형 0.74%

지난주 국내주식펀드의 수익률은 미국의 저금리 유지 전망에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순매수가 이어지면서 소폭 올랐다. 현대차그룹의 한전부지 낙찰로 관련주가 급락했지만 주 중반 큰 폭으로 오르면서 전반적인 상승세를 나타났다. 펀드평가사 KG제로인이 지난 19일 오전 공시된 기준가격으로 펀드 수익률을 조사한 결과, 전체 국내주식형펀드는 한 주간 0.58% 상승했다. 소유형 기준 모든 펀드가 강세를 보인 가운데 중소형주식펀드가 0.74%로 가장 많이 올랐다. 이어 K200인덱스펀드가 0.73%로 뒤따랐고 배당주식펀드와 일반주식펀드도 각각 0.38%, 0.35%를 기록했다. 일반주식혼합펀드와 일반채권혼합펀드는 각각 0.25%, 0.29%의 성과를 냈다. 절대수익추구형은 채권알파펀드는 0.22% 올랐고 공모주하이일드펀드와 시장중립펀드는 각각 0.19%, 0.15% 상승했다. 순자산액(클래스 합산) 100억원 이상, 운용기간 1개월 이상인 국내주식펀드 1671개 중 1439개가 플러스 수익을 기록했고, 이 가운데 688개가 코스피지수 수익률을 웃돌았다. 개별 펀드로는 경기방어주지수를 추종하는 '한화ARIRANG경기방어주상장지수(주식)'펀드가 4.00%로 성과 최상위를 차지했다. 이어 '미래에셋TIGER경기방어상장지수(주식)' 펀드와 '이스트스프링업종일등 2[주식]클래스C'가 각각 2.91%, 2.77%로 뒤따랐다. 반면 현대차그룹의 주가 부진에 '대신GIANT현대차그룹 상장지수형[주식]' 펀드가 4.01% 하락해 가장 부진했다. 다음으로 '삼성KODEX자동차 상장지수[주식]' 펀드와 '미래에셋TIGER경기민감상장지수(주식)' 펀드가 각각 -3.22%, -2.59%로 집계됐다.

2014-09-20 08:47:50 김현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