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김민지
기사사진
자동차株, 소비촉진 방안에 투자심리 개선되나?

자동차株, 소비촉진 방안에 투자심리 개선되나? "소비세 인하로 회복 " 전망 불구 주가는 하락 자동차주가 정부의 소비 부양책에 힘입어 상승 모멘텀(상승 동력)을 이어갈 것이란 장밋빛 전망이 나오고 있다. 정부는 지난 26일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자동차 등에 대한 개별소비세율을 5%에서 3.5%로 인하하는 등의 내용을 담은 소비 활성화 대책을 확정, 발표했다. 한시적으로 연말까지 자동차 적용 개별소비세를 30% 인하하면 개별소비세 뿐만 아니라 교육세와 부가가치세도 하락해 소비자 판매가격은 1.8% 내릴 것으로 관측됐다. 공장도가격 2000만원인 자동차는 43만원, 1500만원의 자동차는 32만원의 가격 인하 효과가 각각 기대된다. 이번 방안으로 그동안 악재에 짓눌린 자동차주의 투자심리도 풀릴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조수홍 NH투자증권 연구원은 "개별소비세 인하가 한시적으로 이뤄질 경우 선수요를 유발해 내수는 양호한 성장세가 지속될 전망"이라고 내다봤다. 조 연구원은 "개별소비세가 30% 인하될 경우 소비자 판매가격은 약 1.8% 하락한다"며 "9월 출시 예정인 아반떼, 스포티지 등이 정책 수혜를 입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판단했다. 현재 수출 환경은 그리 녹록치 못하다. 중국 경영환경 악화가 장기화 될 것으로 보이고, 러시아·브라질 등 이머징 마켓 위축도 부정적인 요인으로 꼽힌다. 그러나 조 연구원은 "최근 원/달러ㆍ원/유로 환율상승 및 신차효과 등이 수익성 악화요인을 상쇄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진단했다. 그는 "실적 개선의 정도는 완성차가 부품사 대비 더 클 것"이라며 "중국공장 가동률 하락으로 인해 부품기업의 외형 감소요인이 더 클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최근 환율 수혜 기대감도 한층 높아졌다. 이재일 신영증권 연구원은 "중국 리스크가 지난 두 달간 선반영 됐고, 위안화 약세로 인한 환율 수혜 기대감이 오히려 더 컸다"고 분석했다. 이 연구원은 "환율 상승은 완성차의 손익에 큰 영향을 미친다"면서 "원·달러 환율이 10원 상승할 경우 현대차 연간 1180억원, 기아차 연간 1190억원의 영업이익 상승 효과가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그는 "환율 상승 효과는 달러 결제 수출 금액에 직접적인 영향이 있다"면서 "수출 비중이 높은 기아차의 수혜폭이 더 클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러나 현대차 주가는 이날 2% 떨어졌고, 기아차도 0.51% 하락했다.

2015-08-27 17:02:56 김민지 기자
[마감시황] 코스피, 개인·기관 '사자'에 1900선 탈환

코스피, 개인·기관 '사자'에 1900선 탈환 코스피가 개인과 기관의 동반 매수세에 힘입어 1900선을 탈환했다. 27일 코스피지수는 전일대비 13.91포인트(0.73%) 오른 1908.00에 거래를 마쳤다. 중국 금융당국의 기준금리·지급준비율 동반 인하로 신흥국 증시가 안정을 되찾은데다 미국의 9월 금리 인상 전망이 약화되면서 투자자들의 경계심리가 다소 풀린 것으로 분석된다. 정부가 내놓은 개별소비세 인하 등 소비활성화 대책도 투자심리를 자극했다. 이날 외국인은 3470억원 어치를 내다팔았다. 개인과 기관은 각각 1912억원, 1190억원 상당을 사들였다. 시가총액 상위종목들은 등락은 엇갈렸다. 한국전력(0.71%), SK하이닉스(6.13%), 아모레퍼시픽(5.26%), 제일모직(6.80%), SK(2.91%) 등은 강세였고, 현대차(-2.00%), 현대모비스(-1.47%), 기아차(-0.51%) 등은 하락했다. 업종별로도 희비가 교차했다. 음식료품(2.00%), 섬유의복(6.00%), 화학(1.87%), 비금속광물(2.83%), 유통업(1.87%), 통신업(1.15%) 등은 올랐다. 반면 의약품(-0.76%), 철강금속(-0.80%), 기계(-0.54%), 운송장비(-0.99%), 운수창고(-0.80%), 증권(-1.40%) 등은 하락했다. 코스닥지수도 상승세를 나타냈다. 이날 코스닥지수는 6.27포인트(0.94%) 오른 673.71로 장을 마쳤다. 외국인이 400억원 상당을 팔고 개인은 135억원, 기관은 204억원 어치를 사들였다.

2015-08-27 17:01:45 김민지 기자
기사사진
유안타증권, ELS 3종 공모

유안타증권이 오는 28일까지 다양한 조건과 수익구조로 설계된 ELS 3종을 총 300억원 규모로 공모한다. ELS 3426호, 3427호는 만기 3년의 스텝다운 원금비보장형 상품이다. ELS 3426호는 KOSPI200지수, HSCEI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하며 각 최초기준가격(100%)의 90%(6,12개월), 85%(18,24개월), 80%(30,36개월) 이상인 경우 연6.80%의 수익률로 조기 또는 만기상환된다. 조기상환이 되지 않더라도 투자기간 동안 최초기준가격의 60%미만으로 한번이라도 하락한 적이 없는 경우 20.40%(연6.80%)의 수익률로 만기상환된다. ELS 3427호는 HSCEI지수, EUROSTOXX50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하며, 각 최초기준가격(100%)의 95%(3,6,9,12개월), 90%(15,18,21,24개월), 85%(27,30,33,36개월) 이상인 경우 연8.61%의 수익률로 조기 또는 만기상환된다. 조기상환이 되지 않더라도 투자기간 동안 최초기준가격의 55%미만으로 한번이라도 하락한 적이 없는 경우 25.83%(연8.61%)의 수익률로 만기상환된다. ELS 3428호는 만기 3년에 매 1개월마다 KOSPI200지수, HSCEI지수의 평가가격이 각 최초기준가격(100%)의 60%이상이기만 하면 매월 0.4175%(연5.01%)의 절대수익을 지급하는 쿠폰지급식 스텝다운 원금비보장형 상품이다. 또 매 6개월마다 기초자산의 평가가격이 각 최초기준가격(100%)의 90%(6,12개월), 85%(18,24개월), 80%(30,36개월)이상인 경우 조기 또는 만기상환된다. 조기상환이 되지 않더라도 투자기간 동안 최초기준가격의 60%미만으로 한번이라도 하락한 적이 없는 경우 총 누적수익 15.03%의 수익률로 만기상환된다. 최소가입금액은 100만원(100만원 단위)으로 유안타증권 전국 지점에서 청약할 수 있다.

2015-08-26 19:21:55 김민지 기자
기사사진
코스피 반등에도 외국인 매도세 지속될까?

코스피 반등에도 외국인 매도세 지속될까? 외국인 15일째 '셀 코리아'...시가총액 비중도 30% 밑으로 대형주 처분 두드러져...美 금리인상 앞두고 신흥국 자산 정리 국내 증시가 중국 증시 침체 속에서도 2거래일 연속 상승했지만, 외국인들은 이날도 순매도 행진을 이어갔다. 26일 코스피지수는 전거래일 대비 47.46포인트(2.57%) 오른 1894.09에 마감했다. 이로써 코스피는 1900선 회복을 눈앞에 두고 있다. 이날 상승률(2.57%)은 지난 2013년 7월 11일 2.93% 이후 코스피가 기록한 일일 최대 규모다. 그러나 외국인들은 이날도 5467억원 어치를 팔아치웠다. 지난 5일부터 26일까지 15거래일 연속 순매도로, 올 들어 최장 기간 순매도 기록을 새로 쓰고 있다. 특히 외국인들은 국내 대표 종목들을 대거 팔아치우고 있다. 외국인들이 가장 많이 판 종목은 'SK하이닉스'였다. 이 종목을 지난 5일부터 25일까지 5200억원 어치나 팔아치웠다. 이어 삼성전자(-3143억원), SK텔레콤(-1562억원), 아모레퍼시픽(-1227억원), POSCO(-944억원), LG생활건강(-848억원), 기아차(-835억원) 등도 대량 매도했다. 증시 전문가들은 "외국인이 한국 증시에서 매력을 느끼지 못하고 있다"면서 "미국의 금리 인상을 앞두고 통화가치가 떨어지고 있는 신흥국 자산을 일부 정리하는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국내 증시에서 외국인 투자자금이 썰물처럼 빠지면서 외국인의 시가총액 비중도 30% 밑으로 떨어졌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24일 기준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의 전체 시가총액 가운데 외국인의 보유 비중이 29.59%를 기록했다. 전체 시총 1313조7410억원 가운데 외국인 보유 금액은 388조7330억원이다. 유가증권시장에서 외국인이 보유한 시총 비중은 지난해말 대비 대형주와 중형주에서 각각 1.85%포인트, 1.71%포인트 하락했다. 소형주의 외국인 시총 비중은 0.26%포인트 줄었다. 코스닥시장에서는 우량기업 0.14%포인트, 벤처기업 1.28%포인트, 신성장기업부 0.50%포인트 등으로 감소했다. 외국인 시총 비중이 가장 많이 줄어든 업종은 기계로, 지난해말과 비교해 22.91%포인트 감소했다. 이어 음식료가 4.22%포인트, 운수창고와 서비스업은 각각 1.81%포인트, 1.52포인트 줄었다. 전문가들은 "외국인들의 매도 기조를 바꿀 수 있는 것은 중국 경제의 정상화에 따른 이머징 마켓의 회복세"라고 입을 모은다. 한요섭 KDB대우증권 연구원은 "비단 외국인들이 한국시장에서만 떠나는 것이 아니라 대부분의 이머징마켓에서 이탈하고 있다"면서 "이미 글로벌 이머징편드에서는 5~6조원의 자금이 빠진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중국 경기의 본격적인 회복세는 내년 상반기에나 이뤄질 전망"이라며 "최근 위안화 평가절하로 수출에서 플러스 반전을 기대해 볼 만하다"고 덧붙였다 배성진 현대증권 연구원은 "최근 국내 시장이 단기적인 낙폭 과대, 지정학적 리스크 감소 등으로 반등했다"며 "중국 증시의 변동성이 줄고, 외국인이 돌아설 때 지수가 안정화될 것"이라고 진단했다.

2015-08-26 19:18:40 김민지 기자
기사사진
코스피 반등 놓고 증권가 '갑론을박'

지금이 바닥 vs 더 떨어진다 국내 증시가 중국발 충격을 딛고 7거래일만에 반등에 성공한 가운데 지수가 바닥을 찍고 추가 상승할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25일 코스피지수는 전일대비 16.82포인트(0.92%) 오른 1846.63으로 마감했다. 이날 중국 증시는 나흘째 큰 폭으로 하락했지만 남북협상 타결 소식이 전해지며 투자심리가 개선됐다. 원·달러 환율도 하루만에 하락세로 전환했다. 다만 중국 증시 폭락세가 지속되면서 환율 하락폭은 크지 않았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거래일보다 3.7원 내린 1195.3원에 거래를 마쳤다. 다만 향후 코스피가 어떻게 움직일 것인가에 대해선 의견이 분분하다. 지수가 '지금 바닥을 쳤다'는 분석부터 '추가 하락 가능성을 열어둬야 한다'는 전망까지 제기되고 있다. 코스피지수는 지난 6일부터 장기 이동평균선(200일선)인 2010 밑으로 떨어졌다. 최근 상장사 실적 대비 주가 수준은 지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보다도 낮은 상황이다. 지수 급락의 주요 요인은 외국인들의 대량 매도세였다. 외국인 투자자는 유가증권시장에서 13거래일 연속 '팔자'를 보이면서 이달에 2조6000억원 넘게 순매도했다. 월간 기준 외국인 순매도액은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 위험이 불거진 지난 2013년 6월(5조원) 이후 가장 많다. 이 때문에 1900선 후반이던 코스피지수는 25일 현재 1840선까지 미끄러졌다. 이경수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향후 코스피 패턴은 'V'자 반등보다는 'W'자 형태의 패턴일 가능성이 커보인다"며 "현 시점에서는 추격 매도는 자제하되 현금 보유자라면 코스피가 1920선을 밑돌 때마다 주식 비중을 확대하는 대응이 적절하다"고 진단했다. 이현주 NH투자증권 연구원도 "코스피의 추가적인 하락은 제한적일 것"으로 내다봤다. 이 연구원은 "단기적으로 변동성이 커질 위험이 있어 지수 하단을 예측하기는 어렵지만, 이제는 매수 관점에서의 대응을 준비해야 할 때"라고 판단했다. 김영일 대신증권 연구원은 "중국 경기 우려가 커지고 있으나, 이번 하락장에선 아직 과거와 같은 시스템 리스크가 발견되지 않고 있다"면서 "중국 위험이 단기간에 커지지 않으면 통계적으로 코스피는 1700선 후반에서 기술적인 반등을 시작할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지난 2006년 이후 코스피가 15% 이상 하락한 시기는 미국 금융위기를 제외하고 4번 있었다. 두 차례 하락기엔 19% 내외의 낙폭을 기록했고, 나머지 두 차례 급락기에선 26% 내외의 하락률을 나타냈다. 과거 하락폭을 현재 기준으로 환산한 코스피는 1780과 1620이 된다. 또 코스피 하락률이 26%로 컸던 시기는 중국의 대규모 긴축과 유가가 급등한 2007년 11월, 유럽 위기와 미국 신용등급 강등 때인 2011년이었다. 김 연구원은 "코스피 주가순자산비율(PBR)은 0.89배로 유럽 위기가 불거진 2011년 하반기 이후 가장 낮다"면서 "PBR 하단 추정치인 0.85를 반영한 코스피는 1800이 되며 기술적으로 볼 때 하락 강도는 이번 주에 임계치에 도달할 것"이라고 관측했다. 그는 "코스피가 반등할 때 기술적인 낙폭과대주가 시선을 끌 것"이라며 화장품과 의류, 미디어와 교육, 건강관리 등의 업종을 낙폭과대업종으로 꼽았다. 반면 일각에서는 "추가적인 하향 조정 가능성을 열어둬야 한다"는 분석도 나온다. 김용구 삼성증권 연구원은 "현재 신흥시장에서의 자금 이탈 등을 감안하면 보수적으로 행동하는 것이 맞다"면서 "현금 비중을 늘리고 대형 가치주, 정보기술(IT), 배당주 등을 선별해 접근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2015-08-25 18:48:48 김민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