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김현정
기사사진
금감원, 국민은행에 '기관경고' 중징계 조치

금감원, 국민은행에 '기관경고' 중징계 조치 전·현직 임직원 68명 제재…횡령·부당대출 검사 결과 금융감독원이 국민은행에 중징계에 해당하는 '기관경고' 조치를 내리고 전·현직 임직원 68명에게도 제재를 통보했다. 금감원은 28일 국민주택채권 횡령사건과 도쿄지점 부당대출 사건의 부문검사 결과에 따라 이같이 조치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국민은행은 향후 해외 점포진출이 쉽지 않게 됐으며 해외채권 발행에서도 높은 차입금리를 부담하는 불이익을 받을 전망이다. 금감원은 국민주택채권 횡령에 연루된 직원들에 대해 6명 면직 등 총 51명에게 제재를 가했다. 동경지점에 대한 본점의 부실한 관리업무로는 18명을 징계했다. 검사결과, 국민주택채권 횡령사고와 관련해서는 2010년 3월부터 2013년 11월까지 본점 주택기금부 직원과 일부 영업점 직원이 공모해 위조채권을 이용해 1265회에 걸쳐 111억8600만원을 횡령한 것으로 드러났다. 일례로 주택기금부 직원은 3년 8개월동안 실물채권 없이 국민주택채권 2451매를 111억8600만원에 현금 상환하는 수법으로 88억300만원을 횡령했다. 경기도 일산 행신동직원 4명은 이에 동조한 뒤 그 대가로 최고 1억2000만원의 금품을 수수하기도 했다. 또 서울 강북지점 직원 9명은 현금상황에 개입하면서 임의의 3자 명의를 동원했다. 국민은행은 5000억원대의 부당대출 사건이 발생한 도쿄지점의 관리도 소홀했다. 도쿄지점에서 금품수수, 차명송금, 환치기, 사적 금전대차 등 비위행위가 반복적으로 이뤄졌지만 지점의 내부통제와 경영실태 관리를 하지 않았다. 전직 상임 감사는 2012년 11월 자체감사에서 신용등급 임의 상향, 담보가치 과대평가 등으로 여신이 과다하게 발생하는 등 규정에 위반한 사례를 발견하고도 감사보고서에 누락하고 감사위원회에 보고를 하지 않은 것으로 검사결과 나타났다. 검사에 참여한 금감원 검사 관계자는 "신뢰가 생명인 은행업의 임직원으로 도저히 발생할 수 없는 사건"이라며 고개를 저었다. /김현정기자 hjkim1@

2014-08-28 14:56:38 김현정 기자
금감원, 9월 말 미국 뉴욕서 '금융채용박람회' 개최

금융감독원 금융중심지지원센터는 국내 금융산업의 미래성장을 견인할 해외 우수 인재의 발굴 및 유치를 위해 다음달 27일부터 이틀간 미국 뉴욕에서 '2014 뉴욕금융채용박람회'를 개최한다고 28일 밝혔다. 뉴욕 쉐라톤 뉴욕타임스퀘어호텔에서 열리는 이번 행사에는 LG전자, 이랜드그룹, KB국민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 하나금융그룹, 우리투자증권, 삼성생명, 삼성화재, 현대라이프, 현대카드 등 국내 총 16개 기업이 참여한다. 채용대상은 해외 유수 대학·대학원 졸업(예정)자 또는 금융회사 경력자다. 회사별 채용정보는 채용박람회 홈페이지(www.fnhubkorea.kr/newyorkjobfair)에서 볼 수 있다. 참가 희망자는 이날부터 오는 9월 10일(뉴욕시간 기준)까지 홈페이지에서 사전 참가 등록을 하거나 행사 당일 현장신청하면 된다. 참여회사별로 상담부스를 설치해 운영하면서 채용절차 안내, 취업 상담 등을 실시하고 별도 인터뷰룸에서 심층면접을 진행할 예정이다. 사전신청을 한 구직자는 권역별 2개사를 선택한 뒤 이력서를 제출하면 행사 당일 면접가능 여부를 미리 안내받을 수 있다. 금융지원센터측은 "이번 행사에는 회사별 채용직종과 경력, 근무지 등을 구체적으로 안내해 우수 인력과 채용회사 간 효율적인 매칭이 가능하도록 행사를 구성했다"고 설명했다.

2014-08-28 14:31:31 김현정 기자
투자자문사 분기실적 개선…순이익 10배 증가

투자자문회사들의 올 회계연도 1분기(2014.4∼6) 순이익 규모가 10배 증가하는 등 실적 개선을 이룬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 6월 말 현재 146개 투자자문회사의 1분기 순이익은 149억원으로 전년 같은 기간(14억원)보다 135억원(964.3%) 증가했다. 순이익 상위 10개사의 순이익은 158억원으로 전년 동기(123억원)보다 28.5% 증가했고 나머지 136개 중소형사들은 적자 규모가 109억원에서 9억원으로 100억원 줄었다. 일부 투자자문사에서 43억원의 성과보수가 발생하면서 상위 10개사 순익 증가에 영향을 줬다. 투자자문사의 자기자본이익률(ROE)은 10.1%로 1년새 1.0%보다 9.1%포인트 상승했다. 수수료 수익은 335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8.4%(52억원) 증가했고 판매·관리비는 290억원으로 7.6%(24억원) 감소했다. 고유재산을 증권 등에 투자해 얻은 이익은 126억원으로 121.1%(69억원) 늘었다. 증권투자수익이 106억원 줄어들었으나 증권투자손실이 175억원 더 크게 감소한 데 기인했다. 6월 말 현재 투자자문사들의 총 계약고(일임·자문)는 22조6000억원으로 지난해 6월 말보다 10.2% 늘었다. 상위 10개사의 영업규모는 7조600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2.0% 늘었고 영업규모 점유율도 34%로 작년보다 10%포인트 상승했다. 지난 6월 말 전업 투자자문사는 160개사로 지난해 6월 말보다 3개 늘었으나 임직원 숫자는 총 1309명으로 60명 줄었다. 겸업 투자자문사는 107개사로 2개 감소했다. 자산운용사 63곳, 증권사 37곳, 선물사 6곳, 은행 1곳으로 구성됐다.

2014-08-28 09:19:21 김현정 기자
정부 사적연금 활성화 대책, 증시 영향 미미 - 대신

대신증권은 28일 정부의 사적연금 활성화 대책이 주식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평가했다. 강승건 연구원은 "(우리 사회의) 노후소득 보장이 충분하지 않은 상황에서 퇴직연금 기능 확대를 통한 노후 소득보장 체계 보완은 의미있는 대책이라고 본다"며 "다만 제도 개선이란 근본적인 효과에 대해서는 기대할 수 있지만 이로 인해 주식시장으로 자금 유입이 크게 확대될 것이란 기대는 과도한 측면이 있다"고 설명했다. 강 연구원은 "전날 정부의 대책 발표 후 증권업종의 주가는 5.41% 상승해 코스피지수 상승률 0.33%를 크게 웃돌았다"며 "퇴직연금 적립금 증가와 퇴직연금 자산운용 규제 완화로 주식시장으로 자금 유입이 확대될 것이란 기대감이 작용했다"고 전했다. 그는 "그러나 확정기여형(DC)과 개인형 퇴직연금계좌(IRP)의 위험자산 투자비중이 1.7%로 매우 낮은 점을 감안하면 총 위험자산 투자한도가 기존 40%에서 70%로 확대된다고 해도 그 영향은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며 "확정급여형(DB)의 투자위원회 구성 및 투자원칙보고서 작성을 통해 현재 97.5%를 차지하는 원리금 보장상품 비중이 일부 축소될 수는 있겠지만 대부분의 가입자가 퇴직소득에 대해 수익률보다는 안정성을 추구하므로 주식시장에 유입되는 자금 규모는 크지 않을 것으로 판단한다"고 덧붙였다.

2014-08-28 09:04:24 김현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