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김현정
새해 돈 들어온 펀드는 '채권·연금'

펀드 환매행렬이 끊이지 않고 있는 가운데 새해 펀드 투자에는 안정적인 성향이 두드러졌다. 채권 투자 위주거나 연금용인 펀드에만 돈이 들어왔다. 7일 펀드평가사 제로인에 따르면 총 2768개 펀드 중에서 연초부터 지난 6일까지 자금이 100억원 이상 유입된 펀드는 9개에 불과했다. 가장 많은 1000억원의 자금이 들어온 펀드는 'NH-CA Allset모아모아30[채혼]'이었다. 이 상품은 펀드 포트폴리오에서 주식 비중을 최대 30%까지 한정하고 나머지는 채권에 투자하는 상품이다. 이어 'KB퇴직연금배당40자(채혼)C'에 444억원이 들어왔고 '한국밸류10년투자퇴직연금 1(채혼)'에 323억원, 'NH-CA Allset모아모아15[채혼]'에 300억원 등이 유입됐다. 100억원대 자금이 새로 들어온 상품으로는 각각 129억원씩 들어온 '미래에셋퇴직플랜자 1(채권)종류C'와 '한화단기국공채(채권) 종류C'가 있다. 또 'NH-CA Allset스마트베타+[주식]Class Ci'에 116억원, '신영퇴직연금배당채권자(채혼)C형'에 105억원, 'NH-CA Allset스마트인베스터5.0분할매수[주혼-재간접] Class C'에 100억원 순이었다. 모두 채권형이거나 채권 혼합형, 퇴직연금형 펀드라는 공통점이 있다. NH농협금융의 '올셋(Allset)펀드'가 절반에 육박한 4개를 차지한 점도 눈에 띈다. 올셋펀드는 NH-CA자산운용이 NH농협은행, NH투자증권과 공동 개발한 상품으로서 기존 투자성과가 좋은 펀드나 이를 토대로 만든 새 상품 총 6종이 포함된다. 박동우 NH-CA자산운용 리테일마케팅본부 팀장은 "저금리·저성장 시대를 맞아 그동안 공격적 주식투자를 많이 했던 투자자들의 니즈가 다양해지고 있다"며 "이를 충족할 수 있는 상품 라인업을 갖췄기 때문으로 풀이된다"고 말했다. 수년째 투자 수익률 부진에 따라 증시 상승시마다 환매 행렬이 쏟아져나오면서 펀드 투자 인구는 크게 줄어들었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말 기준 펀드 계좌 수는 1427만개로 지난 2008년 6월 2511만개로 정점을 찍은 이후 1084만개나 줄어들었다. 2008~2009년 금융위기를 겪으면서 수익률 부진에 빠져 2010년 1월 2000만개를 밑돌고서 계속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주식형 펀드의 위축이 두드러졌다. 2008년 말 140조원 규모이던 주식형펀드 설정액은 지난해 말 78조3000억원까지 쪼그라들었다. 반면 채권형으로의 자금 유입은 꾸준히 늘고 있다. 채권형 펀드의 계좌 수는 2009년 말 56만개 규모에서 지난해 11월 92만개로 증가했다. 당분간 이러한 추세는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이은영 KDB대우증권 연구원은 "올해 미국 주식시장 외에는 일본과 유럽 등지도 박스권 증시가 전망된다"며 당분간 글로벌 증시의 불확실성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2015-01-07 22:08:44 김현정 기자
K-OTC, 지난해 거래대금 27배·시총 25배 급성장

장외 주식시장인 K-OTC시장이 지난해 8월 개설 이후 거래대금은 약 27배, 시가총액은 약 25배 넘게 급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투자협회는 지난해 K-OTC시장의 하루 평균 거래대금이 약 23조9000억원으로 집계됐다고 7일 밝혔다. 이는 K-OTC시장의 전신인 프리보드 당시의 약 27배에 달하는 규모다. K-OTC시장의 하루 거래대금은 '대어급' 삼성SDS의 유가증권시장 상장을 앞둔 지난해 10월 29일 78억2000만원으로 최정점을 찍기도 했다. 평균 시가총액도 삼성SDS 상장일인 11월 14일 이전에는 평균 42조811억원, 이후에는 평균 12조7120억원으로 프리보드 당시보다 최소 25배 이상 급증했다. 거래 기업 수는 프리보드 당시 48개에서 지난해 말 117개로 늘었다. 시총 상위기업은 포스코건설(2조3000억원), 삼성메디슨(1조4000억원), 미래에셋생명(9024억원) 순이었다. 누적 거래대금 상위기업은 삼성SDS(총 889억8000만원), 삼성메디슨(711억5000만원), 퀀텀에너지(112억7000만원) 등으로 집계됐다. K-OTC시장은 기존 장외 주식시장의 한계로 지적되던 결제 불안정성과 가격 불확실성 등 비상장 주식거래의 폐단을 상당히 해결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금투협은 올해 지정기업을 대폭 늘리고 2부 호가 게시판을 개설하는 등 신규 투자 대상을 공급할 계획이다.

2015-01-07 16:17:52 김현정 기자
지난해 ETF 시장 순자산총액 1.2% 성장

지난해 상장지수펀드(ETF) 시장 순자산총액이 1년새 1.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증시가 박스권에 갇힌 탓에 국내지수형 ETF 거래는 저조했으나 해외지수형 ETF가 상대적으로 활발하게 거래됐다. 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ETF 시장의 순자산총액은 19조6560억원으로 전년의 19조4217억원 대비 1.2% 늘어났다. 이 기간 국내지수형 ETF의 순자산총액은 2791억원(1.5%) 줄어들었지만 해외지수형 ETF가 5134억원(96.4%) 크게 증가했다. 합성 ETF도 2013년 5개 종목, 순자산총액 753억원에서 지난해 19종목, 2946억원으로 4배 가까이 성장했다. 해외지수형 ETF의 수익률이 국내지수형을 크게 앞질렀다. 지난해 연간 국내지수 ETF의 가중평균 수익률은 -6.3%인 반면 연간 해외지수 ETF의 가중평균 수익률은 36.2%로 집계됐다. ETF 시장의 지난해 일평균 거래대금은 6883억원으로 전년도 7925억원 대비 13.1% 감소했다. 지난해 국내 ETF 시장에 26개 종목이 새로 상장하면서 총 172개로 늘어났다. 이로써 일본(167개), 홍콩(122개), 중국(96개) 등을 제치고 아시아 지역 1위를 기록했다. 투자자별로는 지난해 개인의 거래비중이 32.0%로 가장 높았고 기관투자자(25.4%)와 외국인(24.1%) 순이었다. 상품 유형별로는 레버리지·인버스 ETF의 거래 비중이 55.2%(3796억원)로 가장 많았다.

2015-01-07 15:16:22 김현정 기자
기사사진
KDB대우증권, 최대 연 11.00% ELS 등 8종 상품 판매

KDB대우증권은 7일부터 ELS 7종, ELB 1종 등 8종의 상품을 총 400억원 규모로 판매한다고 밝혔다. 이 중에서 '제12196회 HSCEI-EuroStoxx50 하향계단식 조기상환형 ELS'는 만기 3년, 6개월 자동조기상환 상품이다. 6개월마다 자동조기상환 평가일에 모든 기초자산의 종가가 각 최초기준가격의 95%(6·12개월), 90%(18·24개월), 85%(30개월) 이상인 경우 연 11.00% 수익을 제공한다. 조기상환되지 않은 경우에도 모든 기초자산의 종가가 투자 기간 중 최초기준가격의 60% 미만으로 하락한 적이 없다면 만기에 연 11.00%의 수익을 지급한다. '제12197회 KOSPI200-HSCEI-EuroStoxx50 월수익지급식 조기상환형 ELS'는 3년 만기 상품이다. 매달 수익지급 평가일에 모든 기초자산의 종가가 각 최초기준가격의 60% 이상일 경우 연 7.50%의 월수익을 제공하고, 6개월마다 자동조기상환 평가일에 95%(6·12개월), 90%(18·24개월), 85%(30개월) 이상인 경우 원금을 지급한다. 조기상환되지 않은 경우에도 모든 기초자산의 종가가 투자 기간 중 최초기준가격의 60% 미만으로 하락한 적이 없다면 만기에 원금을 지급한다. 이 밖에 KOSPI200, 홍콩항셍중국기업지수(HSCEI), EuroStoxx50지수 및 S&P500;지수를 기초자산으로 3년 만기 연 4.00%에서 최대 연 8.50% 수익률의 하향계단식 조기상환형 상품들 및 원금보장 조기상환형 상품도 함께 판매한다. 이번 상품들은 오는 9일 오전 11시까지 최소 100만원부터 100만원 단위로 청약이 가능하다.

2015-01-07 12:53:59 김현정 기자
기사사진
NH농협금융, 대표상품 '올셋펀드' 가입행사 개최

NH농협금융은 7일 국내 1호 복합점포인 광화문NH금융PLUS+센터에서 '올셋(Allset) 펀드' 가입행사를 개최했다고 7일 밝혔다. 지난 2일 6종으로 출시된 이 펀드는 NH-CA자산운용이 NH농협은행·NH투자증권과 공동 개발한 NH농협금융의 대표 투자상품이다. 저금리, 저성장이란 상황에서 고객의 다양한 니즈를 충족할 수 있도록 만들어졌으며 '올셋'이란 단어의 '새로운 희망, 완벽한 준비'라는 뜻을 활용했다. 이날 행사에는 임종룡 NH농협금융지주 회장을 포함, 김주하 NH농협은행장과 김원규 NH투자증권 사장, 이태재 NH-CA자산운용 대표, VIP 고객 등이 참석해 해당 펀드에 가입했다. 임종룡 회장은 "이 펀드는 '자산운용의 명가'라는 NH농협금융의 이미지를 시장에 각인할 수 있는 핵심상품"이라며 "고객의 니즈를 충족시켜 NH농협금융의 고객기반을 공고히 하는 획기적인 매개체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NH농협금융은 향후 은행 예금이자에 플러스 알파를 추구하는 안정형 상품과 RQFII, 실버에이지, 글로벌인컴형 등 해외투자펀드 등도 추가로 선보일 예정이다. 한편 NH농협은행과 NH투자증권은 오는 3월 말까지 올셋펀드의 가입 고객을 대상으로 추첨을 통해 농산물상품권 등 다양한 경품을 지급한다.

2015-01-07 12:52:57 김현정 기자
도레이케미칼, 유가 하락으로 4분기 영업실적 견조 - 대우

KDB대우증권은 7일 도레이케미칼에 대해 유가 하락으로 4분기 영업 실적이 예상보다 견조할 것으로 전망했다. 박연주 연구원은 "유가 하락에 따른 원재료 비용 하락으로 원가가 빠르게 내려간 반면 판가는 점진적으로 하락했다"며 "이에 따라 4분기 실적이 개선될 것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박 연구원은 "필터·필름 등 기타 사업부는 전분기와 유사한 실적이 예상된다"며 "4분기 위로금 등 일회성 비용 약 40억원을 반영하더라도 영업이익은 102억원으로 당초 예상인 96억원보다 견조할 전망"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또 영업 외 광학필름 설비의 추가 상각비용 등 적자 사업부에 대한 구조조정 비용이 추가적으로 발생할 것"이라며 "일회성 비용은 약 50억원 수준으로 추정하며 이로 인해 향후 영업 실적은 개선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적자 사업부의 구조조정과 주력 부문인 필터·섬유의 확대로 오는 2016년까지 영업이익 810억원의 고성장을 기대했다. 박 연구원은 "필터·섬유 부문의 성장세도 지속될 전망"이라며 "필터의 경우 중국·인도 등 신흥국 국가의 정수기 수요 확대로 향후 연평균 10% 넘는 성장이 예상되며 섬유 부문도 산업용 단섬유(LM) 수요가 연 평균 8% 수준으로 꾸준히 늘어날 전망"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일반 화학업체와 달리 주력 제품이 과점 시장을 형성하고 있어 프리미엄이 있다"며 "지난해 실적 기준으로는 다소 밸류에이션 부담이 있으나 실적 성장이 가시화되면서 중기적으로 주가가 상승할 것으로 본다"고 덧붙였다.

2015-01-07 09:06:38 김현정 기자
기사사진
대신증권, ELS 7종·DLS 1종 출시

대신증권은 KOSPI200, HSCEI, NIKKEI225, EURO STOXX50, S&P500;, 금가격, 은가격, WIT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원금비보장형 주가연계증권(ELS) 7종, 원금비보장형 파생결합증권(DLS) 1종 등 총 8종의 상품을 오는 9일까지 나흘간 판매한다고 6일 밝혔다. 이 가은데 'Balance ELS 673호'는 KOSPI200과 HSCEI를 기초자산으로 조건 충족 시 연 7.1%의 수익을 지급하는 3년 만기 상품이고, 'Balance ELS 674호'는 KOSPI200과 NIKKEI225를 기초자산으로 조건 충족 시 연 8.6%의 수익을 지급하는 만기 1.5년짜리 상품이다. 'Balance ELS 675호'는 KOSPI200과 HSCEI, EURO STOXX50을 기초자산으로 조건 충족 시 매달 0.65%(연 7.8%)의 수익을 지급하는 3년 만기 상품이고, 'Balance ELS 676호'는 KOSPI200과 HSCEI, EURO STOXX50을 기초자산으로 조건 충족 시 연 8.1%의 수익을 지급하는 만기 3년짜리 상품이다. 'Balance ELS 677호'는 KOSPI200과 HSCEI, EURO STOXX50을 기초자산으로 조건 충족 시 연 6.1%의 수익을 지급하는 3년 만기 상품이고, 'Balance ELS 678호'는 KOSPI200과 HSCEI, EURO STOXX50을 기초자산으로 조건 충족 시 연 8.4%의 수익을 지급하는 만기 3년짜리 상품이다. 'Balance ELS 679호'는 S&P500;을 기초자산으로 조건 충족 시 연 4%의 수익을 지급하는 만기 151일짜리 상품이다. 'Balance DLS 171호'는 금가격, 은가격, WTI를 기초자산으로 조건 충족 시 연 9%의 수익을 지급하는 만기 3년짜리 상품이다. 최소 청약단위는 100만원이며 발행일은 오는 12일, 총 판매규모는 376억2600만원이다.

2015-01-06 16:44:28 김현정 기자
기사사진
유안타증권, 원금보장형 ELB·DLB 등 파생결합상품 6종 공모

유안타증권은 오는 9일까지 다양한 조건과 수익구조로 설계된 ELB 1종과 DLB 1종, ELS 4종을 총 356억원 규모로 공모한다고 6일 밝혔다. 이 중에서 'ELB 31호'는 KOSPI200지수를 기초자산으로 설계된 만기 1년 6개월의 원금보장형 상품이다. KOSPI200지수가 만기평가일까지 최초기준가격(100%)의 125%를 초과해 상승한 적이 있으면 2.5%를 지급하고, 125%를 초과해 상승한 적이 없고 만기평가가격이 최초기준가격(100%)의 125% 이하이면 최대 18.75%를 지급한다. 또 만기평가가격이 최초기준가격(100%) 이하일 경우에는 원금이 지급된다. 'DLB 33호'는 USDCNH(달러대비 역외 위안화 환율)을 기초자산으로 한 만기 1년의 원금보장형 상품이다. 만기시 USDCNH 환율이 최초기준환율 100% 이하이면 연 6.50%, 100% 초과하면 원금이 지급되는 상품이다. 'ELS 3266호'는 만기 4개월에 S&P500;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Stability 구조의 원금비보장형 상품이다. 기초자산의 종가가 전날에 비해 10%를 초과 하락하지 않으면 연 4%를 지급한다. 'ELS 3267~3268호'는 KOSPI200, HSCEI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만기 3년의 스텝다운 원금비보장형 상품이다. 'ELS 3267호'는 매 6개월마다 조건 충족 시 연 7.00%의 수익률로 조기 또는 만기상환되며, 조기상환이 되지 않더라도 투자기간 동안 최초기준가격의 60% 미만으로 한 번이라도 하락한 적이 없는 경우 21.00%(연7.00%)의 수익률로 만기상환된다. 'ELS 3268호'는 매 3개월마다 조건 충족 시 연 7.90%의 수익률로 조기 또는 만기상환되며, 조기상환이 되지 않더라도 투자기간 동안 최초기준가격의 60% 미만으로 한 번이라도 하락한 적이 없는 경우 23.70%(연7.90%)의 수익률로 만기상환된다. 'ELS 3269호'는 만기 3년에 매 1개월마다 KOSPI200, HSCEI 두 평가가격이 각 최초기준가격(100%)의 60% 이상이기만 하면 매달 0.54%(연6.48%)의 절대수익을 지급하는 쿠폰지급식 스텝다운 원금비보장형 상품이다. 또 매 6개월마다 기초자산의 평가가격이 각 최초기준가격(100%)의 95%(6,12개월), 90%(18,24개월), 85%(30,36개월) 이상인 경우 조기 또는 만기상환된다. 또 조기상환이 되지 않더라도 투자기간 동안 최초기준가격의 60% 미만으로 한 번이라도 하락한 적이 없는 경우 총 누적수익 19.44%의 수익률로 만기상환된다. 최소가입금액은 100만원(100만원 단위)다.

2015-01-06 16:43:30 김현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