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 지선 개표] 교육감 선거 오전 1시 기준 '확실 6'·'유력 7'·'경합 4'
조희연 서울시교육감 후보가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일인 1일 오후 서울 서대문구 선거사무소에서 방송 3사 출구조사 결과를 지켜보며 박수치고 있다. / 뉴시스 전국 17개 시도교육감 선거 개표가 진행 중인 가운데, 2일 오전 1시 기준으로 6곳의 후보가 '당선 확실' 7곳의 후보가 '당선 유력', 4곳의 후보가 '경합'을 벌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선거통계시스템에 따르면 2일 1시 기준으로 당선이 확실한 곳은 충북, 대구, 광주, 전남, 경북, 제주이고 유력한 곳은 서울, 경기, 울산, 전북, 강원, 대전, 세종이다. 아직 경합을 벌이고 있는 곳은 인천, 부산, 경남, 충남이다. 서울교육감 선거에선 3선에 도전하는 진보 성향 조희연 후보가 40.84%, 보수 성향의 박선영·조전혁 후보가 각각 24%, 19.94%의 득표율을 기록하고 있다. 개표율은 24.79%다. 개표율 40.87%를 기록한 경기교육감 선거에선 지난 대선 때 윤석열 대통령을 도왔던 보수 성향 임태희 후보가 55.80%의 득표율으로 44.19%를 얻은 진보 성향 성기선 후보에 앞서 당선이 유력하다. 인천교육감 선거(개표율 46.40%)는 재선에 도전하는 진보 성향 도성훈 후보가 41.20%, 보수 후보 단일화에 성공한 최계운 후보가 39.50%로 접전을 벌이고 있다. 부산교육감 선거(개표율 52.62%)는 3선을 노리는 진보 성향 김석준 후보가 50.36%, 한국교총 회장 출신인 보수 성향 하윤수 후보가 49.63%의 득표율을 기록해 박빙 양상으로 흘러가고 있다. 역시 3선에 도전하는 진보 성향 박종훈 경남교육감 후보가 보수 단일화를 성사시킨 김상권 후보에 0.49%포인트 차로 접전을 벌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표율은 50.28%다. 울산교육감 선거에선 진보를 대표하는 노옥희 후보가 보수를 대표하는 김주흥 후보에 9.29%포인트 차이로 따돌리는 것으로 집계됐다. 개표율은 46.72%다. 부산·경남 교육감처럼 3선에 도전하는 후보와 보수 단일화에 성공한 후보가 맞붙은 충북교육감 선거도 현직 진보 성향 김병우 후보가 43.93%, 보수 성향 윤건영 후보가 56.06%를 얻어 윤 후보의 당선이 확실하다. 개표율은 60.45%다. 3선에 도전하는 현직 진보 성향 김지철 충남교육감 후보는 34.63%, 완벽한 중도·보수 단일화를 일궈내지 못한 이병학 후보는 27.49%의 득표율을 기록했다. 조영종 후보가 21.69%, 김영춘 후보가 16.17%의 득표율을 얻은 것으로 집계돼 표가 분산된 것으로 보인다. 개표율은 43.43%다. 개표율 46.37%의 대구교육감 선거는 재선에 도전하는 보수 성향 강은희 후보가 62.36%를 얻어, 37.63%로 집계된 보이는 진보 성향 엄창욱 후보를 따돌리고 당선이 확실하다. 광주교육감 선거는 중도 성향 이정선 후보가 민주·진보 성향 박혜자 후보를 12.62%포인트 차로 앞서 당선이 확실하다. 개표율은 44.58%다. 전북교육감 선거는 서거석 후보는 천호성 후보와 4.03%포인트 차로 접전을 벌이고 있다. 전남교육감 선거에선 김대중 후보가 장석웅 후보와 9.21%포인트 차로 앞서 당선이 확실하다. 두 선거의 개표율은 각각 59.90%, 65.22%다. 경북교육감 선거(개표율 44.13%)에선 보수 성향 임종식 후보가 또 다른 보수 성향 마숙자 후보에 크게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고 똑같이 강원교육감 선거(개표율 36.04%)에선 신경호 후보가 30.70%를 얻어 당선이 유력하다. 대전교육감 선거(개표율 26.84)에선 중도·보수 성향 설동호 후보가 진보 성향 성광진 후보에, 세종교육감 선거(개표율 41.05%)에선 진보 성향 최교진 후보가 보수 성향 강미애 후보에, 제주교육감 선거(개표율 72.53%)는 보수 성향의 김광수 후보가 진보 성향 이석문 후보에 각각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