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이규성
기사사진
[부동산 특집] GS건설, '영통역자이 프라시엘'

GS건설은 이달 중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서천동 일원에서 '영통역자이 프라시엘' 472가구를 선보일 예정이다. 전용면적별 분양가구수는 ▲84㎡A 201가구 ▲84㎡B 109가구 ▲84㎡ C 107가구 ▲84㎡ D 35가구 ▲100㎡ 20가구 규모다. '영통역자이 프라시엘'은 직주 근접, 교통, 생활 인프라 등 우수한 정주 여건을 갖추고 있다. 삼성전자 본사인 수원 삼성디지털시티와 삼성전자나노시티 기흥캠퍼스가 가까이 있어 통근이 편리한 곳에 위치해 있다. 삼성디지털시티는 삼성전자 계열사와 협력업체가 모여 산업벨트가 형성된 대규모 산업단지다. 교통여건으로 수인분당선 영통역을 걸어서 이용 가능하고, 2024년 개통 예정인 GTX-A 용인역도 이용 가능한 거리에 있다. 이와 함께 광역 버스정류장이 단지 인접해 있어 강남권 접근이 용이하다. 청명IC를 통한 용인서울고속도로, 경부고속도로를 통해 차량으로 서울 진입이 용이하다. 영통, 망포 생활권에 속해 단지 주변 편의 시설도 다양하게 누릴 수 있다. 홈플러스 수원영통점, 롯데마트 영통점이 도보권에 위치해 있고, 수원 프리미엄아울렛도 차량으로 이동 가능한 거리에 있다. 한림대학교 동탄성심병원, 아주대학교 병원 등 대형의료시설도 이용 가능하다. 또한, 기흥호수공원 둘레길, 수원어린이교통공원, 반달공원도 가까워 쾌적한 주거 환경을 갖추고 있다. 다양한 특화 설계도 돋보인다. 전 가구를 남향 위주 4베이 판상형 구조로 설계했으며, 3면 발코니(일부 타입 제외) 등을 적용했다. 또한 단지 내 입주민 편의를 위한 커뮤니티센터 '클럽 자이안'에는 스카이라운지, 피트니스클럽, 골프연습장 등 다양한 커뮤니티시설도 들어설 계획이다. GS건설 분양관계자는 "주거 선호도가 높은 영통·망포 생활권 단지에 단지 주변 신규아파트 공급이 부족해 분양 전부터 관심이 많다"며 "수요자들의 기대가 높은 단지인 만큼 지역을 대표하는 단지가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입주는 오는 2026년 하반기 예정이며, 견본주택은 용인시 수지구 동천동 동천역 인근에 마련된다.(1660-0478)

2023-12-20 09:54:19 이규성 기자
내년 표준주택 공시가 0.57%·표준지 1.1%↑

전국 땅값과 단독주택 가격의 기준이 되는 표준지·표준주택 공시가격이 내년에 각각 1.1%, 0.57% 오른다. 올해 표준지와 표준 단독주택 공시가는 2009년 이후 14년 만에 처음으로 하락했지만 내년에는 소폭 오르는 것. 따라서 내년 보유세(재산세+종합부동산세) 부담은 크지 않을 전망이다. 상승폭이 크지 않아서다. 서울 한남동·이태원동·방배동 등 전국 표준 단독주택 공시가 상위 10곳의 내년 보유세는 올해 대비 1~4% 가량 오를 전망이다. 20일 국토교통부는 내년 1월 1일 기준으로 조사·산정한 전국 표준지·표준 단독주택 공시가격을 공개하고 소유자 열람 및 의견청취 절차를 내년 1월 8일까지 진행한다고 밝혔다. 표준지 공시지가는 감정평가사가, 표준 단독주택 공시가는 한국부동산원이 산정, 지자체가 이를 토대로 개별지와 개별 단독주택 공시가를 매긴다. 국토부에 따르면 내년 전국 표준지 공시가(58만 필지)는 올해 대비 1.1% 오른다. 이는 지난 10년간 가장 낮은 변동률(절대값 기준)이다. 표준지 공시지가는 2015~2020년 매년 4~6% 수준으로 상승하다가 부동산 급등기였던 2021년에는 10.35%, 2022년에는 10.17% 상승한 바 있다. 내년 표준 단독주택 공시가(25만호)는 올해 대비 0.57% 오른다. 이는 주택공시 제도가 도입된 2005년 이래 가장 낮은 변동률이다. 표준 단독주택 공시가 역시 올해 5.95% 떨어져 2009년 이후 처음으로 하락한 바 있으며 내년은 소폭 반등하는 것이다. 다만 최근 10년 간 변동폭인 4~9% 수준 보다는 낮다. 내년 적용한 현실화율은 2020년과 동일한 표준지 65.5%, 표준주택 53.6%다. 표준지 공시지가를 시도별로 살펴보면 세종이 1.59%로 가장 큰 폭으로 오르고 경기(1.35%), 대전(1.24%), 서울(1.21%), 광주(1.16%)가 뒤를 이었다. 상승폭이 낮은 시도는 전북 (0.21%), 울산 (0.21%), 전남(0.36%), 부산 (0.53%) 등이며 제주만 0.45% 하락했다. 전국의 표준지 공시지가는 1㎡당 23만2146원, 서울은 670만5657원으로 집계됐다. 표준 단독주택은 서울이 1.17%로 가장 큰 폭으로 오르고 뒤이어 경기(1.05%), 세종(0.91%), 광주 (0.79%), 인천 (0.58%) 순이었다. 하락한 곳은 제주(-0.74%), 경남 (-0.66%), 울산 (-0.63%), 대구 (-0.49%), 부산 (-0.47%) 등이다. 전국 표준 단독주택 평균 가격은 1억6662만 원이며 서울은 6억1932만 원으로 나타났다. 내년 표준지 공시지가(안)과 표준주택 공시가격(안)은 '부동산 공시가격알리미'와 해당 표준지 및 표준주택이 소재한 시·군·구청 민원실에서 20일부터 열람할 수 있으며 의견이 있는 경우에는 내년 1월 8일까지 의견서를 제출하면 된다. 의견청취 절차가 마무리된 내년 표준지 공시지가(안)과 표준주택 공시가격(안)은 중앙부동산가격공시위원회 심의를 거쳐 내년 1월 25일 공시할 예정이다. /이규성기자 peace@metroseoul.co.kr

2023-12-20 08:34:44 이규성 기자
LH, 신흥3·태평3 순환정비 재개발사업 본격 추진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경기 성남 신흥3, 태평3구역이 지난 2월 정비구역으로 지정된 이후 6300세대 규모의 대단지로 변모하고 있다고 17일 밝혔다. 신흥3구역은 사업면적 15만3218㎡(4만6000평) 규모에 3418호가 건설되며, 태평3구역은 12만4989㎡(3만3000평) 규모에 2847호가 건설된다. 성남 원도심은 단독주택의 과도한 밀집, 소방차 진입 불가, 주차난 등 환경이 열악해 LH는 풍부한 순환정비방식 재개발사업 경험을 바탕으로 신속하고 투명하게 사업을 추진 중이다. 특히 순환정비방식을 적용, 사업구역 인근에 이주용 주택을 먼저 마련해 주민을 이주시킨 후 정비사업이 끝나면 원래 살던 사업구역으로 이주하게 돼 눈길을 끌고 있다. 게다가 LH가 보유한 임대주택을 순환용 이주단지로 제공, 원주민들이 기존 생활권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는 특징이 있어 원주민 재정착률이 50% 수준으로 높고 인근 전세난 및 주택가격 폭등 예방효과도 있다. LH는 두곳에 대해 오는 2025년말 사업시행인가를 거쳐 2031년 준공 및 입주를 목표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또 신흥3, 태평3구역과 함께 성남 원도심 재개발 2030-2단계로 사업 추진 중인 상대원3구역은 정비구역 지정을 추진하고 있다. 한편 LH는 성남 원도심 도시기능 회복과 노후 주거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지난 2006년부터 1~3단계에 걸쳐 정비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2단계 사업구역인 금광1구역(e편한세상 금빛 그랑메종)과 중1구역(신흥역 코오롱 하늘채 랜더스원)에서는 지난해 총 7731세대가 대규모 입주를 완료했으며 신흥2구역(산성역 자이푸르지오) 4774세대는 현재 입주 중이다. 특히 1, 2단계는 주민 및 시공사와의 갈등이 적었고 민간과의 공동사업으로 민간브랜드 적용, 고급자재 사용 등 주택품질을 높여 주민 만족도가 높다. 2030-1단계인 수진1·신흥1구역은 대우건설과 GS건설이 시공사로 선정됐으며 사업시행인가 신청을 준비 중이다. 오주헌 LH 공공주택사업본부장은 "고급자재 사용, A급 브랜드 적용 등으로 공공이 재개발사업에 참여하는 방식에 대해 지자체 및 주민들의 선호도가 높다"며 "성남 2030단계도 성공적으로 추진해 지역주민들에게 편리한 주거환경을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규성기자 peace@metroseoul.co.kr

2023-12-17 11:00:10 이규성 기자
국토부, 불법하도급 의심현장 883곳 단속

지난 1일부터 정부는 불법하도급 합동단속체계를 가동하고 불법하도급 의심현장 883개를 지자체에 통보해 현장 단속을 실시 중이다. 국토교통부는 이번 현장단속에는 165개 지자체와 5개 지방국토관리청이 참여하며 이달 31일까지 무자격 하도급, 전문공사 하도급 등 의심현장을 대상으로 추진할 것이라고 12일 밝햤다. 국토부는 올해 건설산업의 공정질서를 무너뜨리는 불법행위를 집중 단속하고 공공과 민간 총 957개 현장 중 242개 현장에서 불법하도급을 적발해 조치했다. 지난 10월 31일부터는 2만1647개 공공공사 현장을 대상으로 전수점검을 실시하고 있다. 불법하도급에 페이퍼컴퍼니(유령회사)가 악용되는 점을 주목, 국토부 및 산하기관 발주공사 690건을 대상으로 페이퍼컴퍼니 점검을 실시한 결과 15개 업체를 적발해 조치했다. 한편 국토부는 지난달 21일부터 3일간 85개 지자체 공무원 136명을 대상으로 불법하도급 단속의 절차와 방법 등 실무교육을 실시했다.이는 불법하도급 근절을 위해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가 협력하는 첫 번째 시도로 국토부는 앞으로도 상시적으로 건설현장을 모니터링해 불법하도급 의심현장을 매월 지자체에 통보하고 협력 단속함으로써 불법하도급을 뿌리 뽑는다는 계획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불법하도급 단속 시 가장 애매한 경우가 시공팀장의 근로자의 임금을 일괄 수령했으나 도급계약인지 여부가 불분명한 경우였다"며 "최근 고용노동부가 시공팀장 임금 일괄수령 시 근로기준법상 임금직접지급 의무 위반으로 강력히 처벌하겠다"고 말했다. /이규성기자 peace@metroseoul.co.kr

2023-12-12 14:33:50 이규성 기자
기사사진
[이규성의 전원에 산다] 특별하지 않아서 특별한 하루

3년만에 마을 대동회가 열렸다. 코로나로 멈췄던 시간이 다시 이어진 것이다. 마을 사람들의 얼굴에도 활기가 넘쳤다. 대동회는 마을 주민 전체가 모여 주요사항을 결정하는 총회다. 주말 오전 10시 마을 회관, 인삿말과 덕담이 오가고 사업보고 및 결산, 감사보고, 마을 회칙 안건 제출 등 회의가 순조롭게 이뤄졌다. 회칙 개정 관련에는 설전이 오갔다. 매번 이런 시간이면 진지하기만한 분위기가 낯설 지경이다. 각자의 의견을 들어보면 어느 누구도 틀린 말을 하는 경우가 없다. 다 맞는다. 어떤 때는 서로 다른 의견인데 다 맞을 수 있다는게 신기하기까지 하다. 그러면서도 결론에 도달한다는게 놀랍다. 문득 국회의원들을 데려다 대동회에 참여시켜도 좋을 듯 싶다. 아파트에 살던 날도 생각 났다. 아파트단지에선 반상회를 가졌다. 반상회에는 주로 부녀들이 많았고 아내가 참석했었다. 나도 두어번 함께 나가 인사도 나눴던 것 같다. 우린 신혼으로 어린 편인데다 처음 아파트 생활이라서 주로 듣고 분위기 파악에 열중했었다. 하지만 반상회에 다녀온 뒤로 주민들과 인사도 나눌 수 있어서 나름대로 의미가 있었다. 반상회는 한달에 한번. 동단위로 주민 끼리 안건, 제안 등을 토의하고 화합을 다지는 시간이다. 내가 살았던 곳은 서울 외곽도시 저층 주공아파트 단지로 지금은 재건축이 이뤄졌다. 당시 희안한 게 있었다. 15, 17, 19평형으로 이뤄진 단지내에서 같은 평형에 사는 주민들끼리만 서로 친했다. 아이들도 그랬다. 같은 동에서도 15평 주민이 17, 19평 주민과 그다지 어울리지는 않았다. 거꾸로 19평 주민이 17, 15평 주민과는 따로 놀았다. 그런 모습에 어느 날 아내에게 15평 혹은 19평 사는 주부 중에서 친한 사람이 있는지 물었다. 아내 역시 친한 사람은 17평 뿐이고 다른 평수의 사람은 없다고 했다. 그래서 왜 그걸 구분하고 사느냐고 물었더니 굳이 그런 적도 없고 그럴 이유가 없다고 대답했다. '그런데 왜 ?', '그냥 그렇게 됐다'고. 도무지 알 수 없는 노릇이지만 그런 칸막이는 아파트를 떠날 때도 여전했다. 여기서는 누구도 집 평수나 재산 정도로 친분이 나눠지거나 교류가 한정되는 경우는 보지 못했다. 그런 생각속에 회의가 이어지고 안건 토의가 이뤄졌다. 가장 큰 토의는 마을 땅 매매건, 아파트에서 마을 청소와 단지 가꾸기였던 걸 생각하면 차이가 컸다. 마을 주요 사업만해도 그렇다. 총무의 보고에 따르면 잣나무골 진입로 다리 신설, 창고 신축, 회관 주변 대형 화분 설치, 마을 일부 상하수도 설치, 마을 야유회, 하천 일부 복개 등등 생각 이상으로 많았다. 일부는 노인들이 자체적으로 수행한 것도 있고, 일부는 마을 예산을 투입하거나 지자체 사업 협력 등 다양한 방법으로 일을 처리했다. 그리고 가장 놀라웠던게 총회가 끝나고 주민 회식에 등장한 식사. 올해는 특별히 소머리국밥이 나왔다. 엊저녁부터 부녀회 두분이 회관 주방에서 소머리를 밤새 고왔다고 하니 감동하지 않을 수 없었다. 어디에서도 먹어본 적 없을 만큼 너무도 맛있었다. 소머리국밥은 전통도자기와 더불어 우리 지역의 명물이다. 국밥과 수육이 차려지고 막걸리 한 순배가 돌고 나자 주민들은 3년 만에 치뤄지는 총회가 어느 때보다도 즐겁다고 이구동성이었다. 회의하고 밥 같이 먹고, 웃고 떠들고. 연초 대보름을 기약하는 목소리도 많았다. 그날 회관앞에서 척사대회가 열린다. 윷놀이하며 장작불에 삼겹살을 구워먹으며 술도 나눈다. 기대된다. 단지 함께 모여 행복한 하루, 어울려 산다는게 실감나는 날이다.

2023-12-12 10:05:18 이규성 기자
기사사진
12월에 아파트 5만4012가구 쏟아진다

12월 중에 아파트 분양물량이 쏟아진다. 건설경기 악화로 연기됐던 물량이 많아서다. 수요자들은 분양가상한제 단지 가운데 개발호재가 있는 물량에 주목하고 있다. 6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이달 중 73곳, 5만4012가구(임대 포함)가 공급된다. 수도권에서는 34곳, 2만9116가구이며 지방은 ▲부산(4711가구) ▲전북(4531가구) ▲광주(4045가구) ▲충남(2980가구) ▲충북(2189가구) 순으로 분양물량이 많다. 계절적인 비수기임에도 불구하고 분양 물량이 한꺼번에 쏟아져 청약 기회는 많아졌다. 다만 최근 미달되는 단지들이 많아 선별적인 청약이 요구된다. 주목할 단지로 라인건설은 경기도 오산시 세교2지구 A3블록 '오산세교 파라곤' 68·84㎡ 1068가구를 선보인다. 세교2지구는 공공택지로서 분양가상한제가 적용되며 용인 반도체 국가산업단지 예정지역과 반경 10㎞ 내외에 위치해 있다. 이 밖에도 가장일반산업단지를 비롯해 다수의 산업단지가 인근에 위치해 있다. 오산 세교2지구는 3지구와 함께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의 배후 도시 역할을 하게 된다. 이 단지는 근린공원과 34만㎡의 대규모 물향기 수목원도 인접해 있는 등 오산 세교지구의 최중심에 위치한다. 올해 분양을 계획한 강남권 물량이 대부분 내년으로 일정을 미룬 가운데 GS건설은 서울 서초구 잠원동 신반포4지구에 분양가상한제 아파트 '신반포 메이플자이' 3307가구 중 162가구를 일반분양한다. 경부고속도로 입체화 등 미래 개발 호재도 꽤 있다. 현대엔지니어링과 DL이앤씨는 서울 송파구에서 '힐스테이트 e편한세상 문정' 1265가구 중 299가구에 대한 분양에 들어갔다. 인근 수서역세권, 복정역세권에 대규모 개발사업이 예정돼 있어 향후 높은 미래가치도 기대할 수 있다. 제일건설은 인천 서구 검단신도시에 분양가상한제 단지 '제일풍경채 검단 4차' 84·110㎡ 1048가구를 분양한다. 인천지하철 1호선 연장(2025년 예정) 신설역이 가깝고, 추진 중인 서울지하철 5호선 불로역이 들어설 경우 교통이 더 편리해진다. 대라수건설은 인천시 중구에서는 '운서역 대라수 어썸에듀' 84㎡ 311가구를 분양한다. 향후 제3연륙교(2025년 개통예정), 영종트램 및 9호선-공항철도 직결이 예정돼 있다. 김포와 부천종합운동장을 연결하는 GTX-D 노선을 인천공항과 영종도 등으로 확장하는 GTX-D Y자 노선 논의도 진행 중이다. /이규성기자 peace@metroseoul.co.kr

2023-12-06 09:17:24 이규성 기자
기사사진
'강동 프레스티지원' 무순위 경쟁률 1000대 1?

'줍줍' 행렬이 결국 1000대 1을 넘어서는 경쟁률을 기록해 화제다. DL이앤씨가 서울 강동구 천호3구역 주택재건축 사업을 통해 공급하는 'e편한세상 강동 프레스티지원'이 지난 4일 무순위 청약 결과 평균 360.4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무순위 청약에서 8가구 모집에 2883명이 접수했으며, 최고 경쟁률은 74㎡A2타입이 1가구 모집에 1017건이 접수, 1017대 1을 기록했다. 84㎡A2타입(295.2대 1)과 84㎡B타입(200대 1) 등도 높은 경쟁률을 기록했다. e편한세상 강동 프레스티지원의 무순위 청약 기록은 하반기에 청약접수를 진행한 서울권 무순위 단지(한국부동산원 청약홈 기준) 중 가장 높은 경쟁률이다. 이 단지는 앞서 지난 10월 말 진행한 1순위 청약에서만 1만1437건이 접수돼 평균 86대 1, 최고 595대 1(59㎡A)의 경쟁률로 올해 강동구에 분양된 5개 단지 중 최고 기록을 세운 바 있다. DL이앤씨도 크게 고무된 분위기다. 분양 관계자는 "e편한세상 브랜드 프리미엄 및 상품성, 천호뉴타운 미래가치 등을 두루 갖춘 만큼 일부 잔여 가구 대상으로 진행한 무순위 청약에서도 많은 호응을 보내준 것"이라고 말했다. e편한세상 강동 프레스티지원은 44~115㎡ 535가구 규모로 조성된다. 44~84㎡의 중소형 위주로 구성되며, 단지는 천호공원, 한강공원의 조망권(일부 세대)도 확보했다. 더불어 e편한세상만의 특화 조경인 '드포엠가든', 미세먼지 저감 시스템인 '스마트 클린&케어 솔루션', AI주차유도시스템 등이 적용되고, 법적 의무 설치 기준보다 2배 이상 많은 전기차 충전시설도 마련된다. e편한세상 강동 프레스티지원은 강남 4구인 강동구에서도 새로운 개발의 축이자 강동 관문의 중심 입지인 천호뉴타운 입지로 높은 미래가치를 누릴 수 있다. 여기에 지하철 5, 8호선 천호역 더블 역세권, 한강공원 도보권의 우수한 입지여건도 갖췄다. 입지 등에서 흥행요건이 많았던 게 무순위까지 화제를 불러온 이유다. 한편 DL이앤씨의 'e편한세상'이 올해 하반기 분양시장에서 연이어 '흥행가도'를 달리며 좋은 결과를 보이고 있는 점도 주목할 만 하다. 최근 인천 'e편한세상 영동국제도시 센텀베뉴' 무순위 청약에서 4가구 모집에 3039건이 접수돼 평균 759대 1의 높은 경쟁률을 기록한 바 있다. 앞서 인천 'e편한세상 검단 웰카운티'가 최고 35대 1의 경쟁률로 당시 올해 인천 최다 청약 접수 기록을 세웠다. 10월 '동탄레이크파크 자연& e편한세상'의 1순위 청약접수에서도 총 13만3042명이 몰려 올해 전국 최다 청약 접수 기록을 경신하기도 했다. /이규성기자 peace@metroseoul.co.kr

2023-12-05 14:52:21 이규성 기자
착공·분양 실적 회복...악성 미분양 증가세

전국 미분양 주택이 전월 대비 2.5% 줄었다. 그러나 준공후 미분양은 1만224가구로 증가했다. 정부의 주택공급 활성화 대책 발표 이후 착공·분양(승인)·준공(입주) 실적은 회복세가 뚜렷해졌다. 30일 국토교통부 '10월 주택 통계'에 따르면 전국 미분양 주택 수는 전월(5만9806가구) 대비 2.5%(1507가구) 감소한 5만8299가구다. 수도권은 7327가구로 전월(7672가구) 대비 4.5%(345가구), 지방은 5만972가구로 전월(5만2134가구) 대비 2.2%(1162가구) 줄었다. 규모별로는 85㎡ 초과 미분양은 7786가구로 전월(8201가구) 대비 5.1%, 85㎡ 이하는 5만513가구로 전월(5만1605가구) 대비 2.1% 줄었다. 반면 '악성 미분양'으로 불리는 준공후 미분양은 1만224가구로 전월(9513가구) 대비 7.5%(711가구) 증가했다. 다만 이는 10년 평균(1만4342가구, 2013년1월~2022년12월)의 71.3% 수준으로 나타났다. 10월 착공실적은 전국 1만5733가구로 전월(1만1970가구) 대비 31.4% 증가했다. 지역별로 수도권 착공은 6191가구로 전월 대비 63.9%, 지방은 9542가구로 전월 대비 16.5% 늘었다. 유형별로 아파트 착공은 1만2947가구로 전월 대비 43.3% 증가했지만 비(非)아파트는 2786가구로 전월 대비 5.1% 감소했다. 분양(승인)은 3만3407가구로 전월(1만4261가구) 대비 134.3% 증가했다. 유형별로 일반분양은 전월 대비 109.4%, 임대주택은 전월 대비 166.0%, 조합원분은 전월 대비 239.9% 늘었다. 준공실적은 준공은 1만9543가구로 전월(1만2358가구) 대비 58.1% 뛰었다. 수도권 준공은 1만5377가구로 전월 대비 190.9% 늘었고, 지방은 4166가구로 전월 대비 41.1% 감소했다. 유형별로 아파트 준공은 1만6729가구로 전월 대비 98.3% 증가했으나, 비(非)아파트는 2814가구로 전월 대비 28.2% 감소했다. 전국 주택 인허가는 1만8047가구를 기록했다. 10월 주택 매매량(신고일 기준)은 총 4만7799건으로 집계됐다. 전월(9월, 4만9448건) 대비 3.3% 감소했고, 전년 동월(2022년10월, 3만2173건) 대비 48.6% 증가했다. 수도권(1만9791건)은 전월 대비 13.0% 감소했지만 전년 동월 대비로는 63.5% 증가했다. 지방(2만8008건)은 전월 대비 4.9%, 전년 동월 대비로는 39.5% 늘었다. 유형별로 아파트(3만5454건)는 전월 대비 5.8% 감소한 반면 전년 동월 대비 90.9% 증가했다. 전월세 거래량(신고일 기준)은 총 21만449건으로 집계됐다. 전월(20만1476건) 대비 4.5%, 전년 동월(20만4403건) 대비 3.0% 증가했다. 수도권(14만3076건)은 전월 대비 3.5%, 전년 동월 대비 3.2% 증가했다. 지방(6만7373건)은 전월 대비 6.6%, 전년 동월 대비 2.4% 늘었다. 유형별로 아파트(11만217건)는 전월 대비 6.4%, 전년 동월 대비 7.5% 증가했다. /이규성기자 peace@metroseoul.co.kr

2023-11-30 09:16:55 이규성 기자
외국인 보유 국내 주택 54% '중국인'

외국인이 국내에 보유한 주택의 54%를 중국인이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올해 상반기에 늘어난 외국인 보유 주택의 66%는 중국인 소유였다. 국토교통부는 6월말 기준 외국인 주택·토지 보유 통계를 29일 발표했다. 외국인 주택 보유 통계를 공표한 것은 이번이 두 번째다. 윤석열정부가 '외국인의 투기성 주택거래 규제'를 국정과제로 제시하면서 올해부터 통계 공표가 시작됐다. 6월말 현재 국내에 주택을 소유한 외국인은 8만5358명으로 6개월 전보다 3732명(4.6%) 늘었다. 이들이 소유한 주택은 8만7223가구로 3711가구(4.4%) 증가했으며, 우리나라 전체 주택의 0.46% 수준이다. 국적별로는 중국인 보유 주택이 4만7327가구(54.3%)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또 중국인의 보유 주택은 6개월 전보다 2438가구 늘었다. 올해 상반기 증가한 외국인 보유 주택의 65.7%에 해당된다. 중국인 다음으로는 미국인(2만469가구·23.5%), 캐나다인(5959가구·6.8%), 대만인(3286가구·3.8%) 순이다. 경기도 소재 주택이 3만3168가구(38.0%)로 가장 많고, 서울 2만2286가구(25.6%), 인천 8477가구(9.7%)가 뒤를 이었다. 시군구별로는 경기 부천(4384가구), 안산 단원(2709가구), 시흥(2532가구), 평택(2500가구), 서울 강남구(2305가구) 순이었다. 외국인 주택 보유자의 93.4%가 1주택자였으며, 2주택 소유자는 5.2%(4398명), 3주택 소유자는 556명, 4주택 190명, 5주택 이상은 451명이었다. 외국인이 보유한 국내 토지 면적은 지난해 말 2억6472만㎡로 6개월 전보다 0.6% 증가했다. 이는 전체 국토 면적의 0.26%다. 보유 토지 공시지가는 총 33조246억원으로 작년 말보다 1.0% 늘었다. 외국인 보유 토지 면적은 2014∼2015년 높은 증가율을 보였으나 2016년 증가 폭이 둔화한 이후 지금까지 완만한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다. 미국인 보유 토지가 1억4168만㎡로 전체 외국인 보유 토지의 53.4%를 차지했으며, 중국인(7.8%), 유럽인(7.1%), 일본인(6.2%) 순이다.지역별로는 경기도 소재 토지가 외국인 보유 전체 토지 면적의 18.4%(4874만㎡)에 이어 전남(14.7%), 경북(14.0%) 순으로 나타났다. 토지 보유 외국인 중 55.8%는 교포, 외국 법인이 33.8%, 순수 외국인은 10.2%였다. 토지 용도별로는 임야·농지 등 기타 용지(67.6%)가 가장 많았고, 공장용지(22.2%), 레저용지(4.5%), 주거 용지(4.2%) 순이었다. 한편 국토부는 다음 달 외국인 주택 투기에 대한 2차 기획조사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이규성기자 peace@metroseoul.co.kr

2023-11-29 13:39:24 이규성 기자
기사사진
[이규성의 전원에 산다] 귀가길 가로등

마을 회관 앞, 막차에 내렸을 때 잣나무골이 환했다. 하루 열대도 안 되는 마을버스가 발이 된지 얼마 되지 않는다. 경전철이나 광역시내버스로 서울 등으로 오가고 있다. 마을버스가 아니고서는 택시를 불러야 한다. 그렇게 귀가하는 길, 산비탈을 따라 10여가구가 사는 잣나무골까지 1㎞ 남짓이다. 헌데 가로등이 열개는 넘는 듯 하다. 100m 정도 하나씩, 가운데쯤 두개가 켜져 온통 밝은 세상이다. 여느 때라면 '하루동안 고단했지. 무사히 돌아왔구나'라며 등대처럼 발길을 인도하는 가로등이 여간 반가웠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오늘은 그렇지 않다. 이런 산중에도 가로등을 밝혀야할 만큼 전기가 넘치는건 아닐텐데. 그런 생각이 앞선다. 가로등 빛에 왠 죄의식? 굳이 국민 세금 걱정인 것도 웃기긴 한다. 이런 감정을 갖는 이가 이 세상에 얼마나 된다고, 편의를 제공받는 자로서의 맘은 아닌 것 같다. 그래도 왜 이런 곳까지 불 밝힌 이유를 모르겠다. 어두어진 후 오가는 이도 없는, 굳이 여길 들어오는 이라면 다들 차 타고 오는데. 안전을 살필 이유는 아니다. 도난, 침입 등 범죄때문이라면 그 또한 설명이 되지 않는다. 내가 여기 온 이후로 주변 어디서도 도난, 침입 등의 불의한 사고가 벌어졌다는 얘기를 들은 적 없다. 이주 초기 나 또한 주변사람들로부터 그런 걱정을 여러 번 듣기는 했었다. 하지만 도시보다 범죄율이 더 낮다는 건 여러 지표에서도 나타난다. 심지어는 그런 일이 있다. 처음 전원생활이 궁금한 친구들이 주말마다 찾아와서 손님치레로 몇개월을 보내고선 어느 주말 집을 비웠었다. 그런데 그날 한 친구 가족이 하염없이 기다리다 모텔 신세를 지고 다음날 돌아갔었다. 핸드폰이 나오기 전 일이다. 그날 이후 집을 나서더라도 열쇠를 잠그지 않기로 했다. 그런 이라면 그냥 빈집에라도 들어가서 자고 가라고 문을 닫지 않는다. 누가 이곳까지 와서 무엇을 훔쳐가거나 침입하지 않을 것이라는 믿음 때문이다. 설령 여기까지 털러 온 자가 그냥 돌아갈 리도 만무하고. 물론 가져갈 것이라곤 TV나 냉장고, 침대, 책장 등 가구밖에 없다. 그게 돈이 될 리도 없다. 그러니 잠근다고 무슨 소용이란 말인가. '차라리 그게 가상한 걸로 치자. 그리고 가져다 잘 쓰든지'라는 생각에 맘이 편안해졌다. 전원살이에 두려울 것도 없었다. 어느 집이 전원에 담장을 쳐두는 경우도 없는 데다 그 정도는 안심하고 살아도 되는 세상이라는데 동의했다. 도시에서는 여러 침입자나 묻지마범죄 등으로 큰 뉴스가 되는 경우도 있기는 하지만 가상하다. 도둑질하러 산골짜기까지 침입할 정도라면. 그럼, 뭐 때문에? 이 산중에 여러 개의 가로등을 밤새 켜둔단 말인가. 안전? 보안? 그건 내게 있어 다 틀린 말이다. 여기 동네사람들에게도 마찬가지다. 그렇다면 누가 불을 켜두고 싶어하는건지? 잣나무골사람들 아니면 마을사람들, 혹시 정치인들. 도무지 모르겠다. 잣나무골을 오르면서 가로등이 없어 불편한 적은 없었다. 시골이 다 그렇지 않는가. 하여간 여러 개의 불빛 아래를 걸어 집에 도착해 가로등이 켜진 길을 내려다 봤다. 마을도 환하다. 가로등과 공장 불빛이 어우러져 흡사 도시스럽다고나 할까. 전원의 맛은 사라지고, 불편하기는 전원보다 더 하고. 가로등을 설치하고 켜는데도 어떤 이들의 노력, 의지가 들어가 있다면 불을 끄는데도 그만큼의 수고가 필요할 것 같다. 우선 마을 회의에 안건을 제출하고, 주민들의 합의가 필요하고, 시청에 의견 전달하고. 이 나라, 민주주의세상에서 어딘가 불편한 이면이다. 굳이 이의제기하기가 좀 튀는 사람같고. 그걸 감수하기란 싶지 않을 듯 싶다. 하여간 내가 사는 산중에도 밤마다 불빛이 환하다.

2023-11-28 09:07:38 이규성 기자
기사사진
내년 집값 전망, '2년 만에 상승 전망 많아'

내년 집값에 대해 10명 중 3명이 상승할 것으로 전망했다. 부동산R114가 지난 1일부터 15일까지 전국 1167명을 대상으로 2024년 상반기 주택 시장 전망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10명 중 3명이 주택 매매 가격이 상승할 것이라고 응답했다. 직전 조사까지는 하락응답이 더 많았지만(하락 35%, 상승 24%) 이번 조사에서 상황이 역전(상승 30%, 하락 25%)됐다. 이처럼 상승 응답이 하락 답변을 앞지른 것은 2022년 상반기 전망 조사 이후 2년 만이다. 다만 보합에 대한 전망이 10명 중 4~5명 수준으로 가장 많은 답변을 차지, 상승과 하락 의견 자체는 직전 조사처럼 팽팽했다. 전·월세 등 임대차 가격에 대한 답변은 상승 전망이 하락 전망을 압도했다. 전세 가격은 상승 응답이 38.99%, 하락 응답이 15.60%로 상승이 2.5배 더 많았다. 월세 가격 전망도 상승 응답이 45.84%, 하락 응답이 8.23%로 5.6배나 더 많았다. 매매가격 상승과 관련해 '급격한 기준 금리 인상 기조 변화(30.42%)'를 주요 이유로 선택했다. 그 다음으로는 '핵심지역의 고가아파트 가격 상승(23.94%)'을 선택했다. 7월 이후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이 상승 반전된 가운데 강남권 고가지역이 거래량과 가격을 이끌고 있는 영향으로 해석된다. 그 다음으로는 ▲아파트 분양시장 활성화(11.83%) ▲급매물 위주로 실수요층 유입(11.27%) ▲재개발, 재건축 정비사업 활성화(7.61%) 등을 선택했다. 매매가격이 하락할 것이라고 전망한 응답자 2명 중 1명은 '경기 침체 가능성(47.14%)'을 이유로 선택했다. 그 다음 하락 요인으로 ▲대출 금리 인상 가능성(13.13%) ▲△이자 및 세금 부담으로 매도물량 증가(10.10%) ▲대출 규제로 매수세 약화(8.75%) ▲가격 부담감에 따른 거래 감소(7.41%) 등이 뒤를 이었다. 전세가격이 오른다고 응답한 455명 중 30.99%는 매수심리 위축으로 전세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그 다음으로는 ▲임대인의 월세 선호로 전세물건 공급 부족(20.66%) ▲청약(사전청약)을 위한 일시적 전세 거주 증가(17.14%) ▲△서울 등 일부 인기지역 입주물량 부족(15.82%) ▲월세가격 오름세에 전세가 상승 압력(8.57%) 등으로 나타났다. 전세가격 하락 전망을 선택한 경우는 '임대인의 임차보증금 반환(역전세) 리스크(32.97%)'를 주요 이유로 답했다. 그 다음으로는 ▲전세대출 이자 부담으로 월세시장 이탈(15.93%) ▲2020~2021년 전세가격 급등 부담감(14.84%) ▲갭투자 영향으로 전세매물 증가(12.64%) ▲일부 지역의 입주물량 증가(11.54%) 등이 전세가격 하락 이유로 선택됐다. 소비자들은 2024년 상반기 핵심 변수로 '국내외 경기회복 속도 등 대외 경제여건(19.71%)'과 '한국은행 기준금리 추가 인상 여부(17.31%)' 등을 선택했다. 한편 부동산R114 상·하반기 주택 시장 전망 설문조사는 매년 2회씩 진행되며, 2024년 상반기 조사는 2023년 11월 1일부터 15일까지 15일 동안 전국 1167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설문 조사의 표본 오차는 95%의 신뢰수준에 ±2.87%포인트다. /이규성기자 peace@metroseoul.co.kr

2023-11-27 13:50:44 이규성 기자
기사사진
12월 올 최대물량 ...4만6272가구 일반 분양

오는 12월에는 올해 가장 많은 아파트 분양물량이 쏟아진다. 서울 강남권 주요 단지들은 일정을 미뤘지만 총선 등 국내·외에 굵직한 이벤트도 있어 연내 분양하려는 분위기다. 27일 리얼투데이에 따르면 12월 전국 66곳·5만9438가구(사전청약 및 임대 포함, 오피스텔 제외, 1순위 청약 기준) 중 일반분양 물량은 4만6272가구 규모다. 수도권 일반분양 물량은 2만5563가구(55.2%)며, 지방은 2만709가구(44.8%)다. 이는 11월 물량(2만5445가구) 대비 약 81.9%가 늘어난 수치다. 시도별로는 경기가 1만6079가구(22곳, 34.7%)로 압도적으로 많다. 이어 인천 6331가구(7곳, 13.7%), 광주 3944가구(3곳, 8.5%), 서울 3153가구(10곳, 6.8%) 등의 순이다. 리얼투데이 관계자는 "래미안 레벤투스 등 분양가 상한제가 적용되는 강남권 주요 분양 단지들이 내년으로 분양을 미뤘다"며 "국회의원 선거, 파리 올림픽 등 국내·외에 이슈될 만한 요소가 많아 분양을 앞당기려는 단지가 많다"고 말했다. 수도권 주요단지로 GS건설은 서울 성동구 용답동에 위치한 '청계리버뷰자이'(용답동 주택 재개발) 1670가구 중 59~84㎡ 797가구를 일반 분양한다. 지하철 5호선 답십리역, 2호선 신답역을 도보로 이용할 수 있다. 롯데건설은 경기 부천시 소사본동에서 '소사역 롯데캐슬 더 뉴엘' 59~132㎡, 983가구를 분양한다. 지하철 1호선과 서해선 환승역인 소사역을 도보로 이용할 수 있다. DK아시아(시행)는 인천 서구 왕길동 일원에 조성되는 '왕길역 로열파크씨티 푸르지오' 9~99㎡, 1500가구를 분양한다. 지방의 경우 HDC현대산업개발은 충남 서산시 석림동과 충북 청주시 흥덕구 가경동에서 '서산 센트럴 아이파크'84~116㎡, 410가구와 '청주 가경 아이파크 6단지' 84~116㎡, 946가구를 분양한다. 동일토건은 '청주 동일하이빌 파크레인 2단지' 84·114㎡, 800가구를 분양한다. 롯데건설은 부산 동래구 수안동에 위치한 '동래 롯데캐슬 시그니처' 65~84㎡, 870가구 중 164가구를 일반 분양한다. 도보권에 부산 지하철 1호선과 동해선 환승역인 교대역, 4호선 수안역, 동해선 동래역이 있다. /이규성기자 peace@metroseoul.co.kr

2023-11-27 09:31:31 이규성 기자
기사사진
[부동산 특집] 라인건설, '오산세교 파라곤'

라인건설이 이달 중 경기도 오산시 궐동 세교2지구 A3블록에 '오산세교 파라곤' 68·84㎡ 106가구를 분양한다. 단지가 들어서는 오산 세교2지구는 오산시 궐동·금암동·가장동·가수동 일대에 연면적 280만7000㎡, 수용인구 1만8000여가구 규모의 미니 신도시급 주거지로 조성된다. 북쪽으로는 오산세교1지구(323만5000㎡)와 동탄신도시, 남쪽으로는 고덕신도시와 인접해 있다. 특히 오산 세교2지구는 지구 내 대규모 물향기수목원, 필봉산 등 우수한 자연경관 요소가 두루 갖춰져 수도권 중남부의 전원형 최첨단 신도시를 표방한다. 지하철1호선, 경부고속도로, 수도권 제2순환도로와 연결돼 편리한 교통여건을 지녔고, 앞으로 GTX-C노선 등이 개통될 예정이다. 지구 인근에 가장산단, 화성정남산단, 동탄일반산단 등 대규모 산업단지가 위치한 데다 반경 15㎞ 이내에 삼성전자 반도체 캠퍼스와 최근 발표된 용인반도체 국가산업단지가 위치하고 있다. '오산세교 파라곤'은 오산 세교2지구의 학교, 교통, 녹지, 편의시설 등 풍부한 인프라를 누릴 수 있다. 초·중·고등학교 예정부지가 단지와 인접에 있다. 교통 환경으로는 지하철1호선 오산대역과 오산역(급행) 이용이 용이하고, 경부고속도로, 수도권 제2순환고속도로, 수도권 1호선, GTX-C, 오산~동탄~기흥을 연결하는 분당선 연장, 동탄 트램, 오산~용인고속도로 등도 추진 중에 있다. 대형마트, 극장, 대형병원 등 편의시설 이용도 용이하다. 근린공원과 34만㎡ 규모의 대규모 물향기 수목원도 단지와 가까이에 있다. 사업지 인근으로 운암뜰 AI시티 및 지곶일반산단 조성이 계획되어 있다. 또 삼성전자가 300조원을 투자해 경기 용인시에 조성하기로 한 세계 최대 규모의 삼성전자 반도체 클러스터가 사업지 반경 약 14㎞ 거리에 위치해 있다. 남향위주 판상형 설계로 지어지며, 3면 발코니(84㎡ 타입), 6.2M 광폭거실(일부타입) 등 와이드 공간 프리미엄을 누릴 수 있다. 브랜드 대단지 아파트 '오산세교 파라곤'은 공공택지에 조성되는 단지로 '분양가상한제'가 적용된다. 주택전시관은 경기도 오산시 세교동에 위치한다.

2023-11-22 10:40:11 이규성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