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김재웅
기사사진
[오늘의 운세] 2025년 03월 04일 화요일

[오늘의 운세] 2025년 03월 04일 화요일 [쥐띠] 36년 좋은 운세가 거침없이 들어온다. 48년 남들보다 앞서 나가는 것이 불편. 60년 부모님의 안부를 챙겨야 하는 날. 72년 돌다리도 두드리고 아는 길도 물어서 가야 실수가 없다. 84년 가까운 사람과의 불화를 조심. [소띠] 37년 좋은 재물취득의 정보를 얻는다. 49년 고생 끝에 낙이 오고 운이 열린다. 61년 기회가 주어져도 망설이다가 놓칠 수 있으니 결단이 필요. 73년 병도 약도 다 제 할 탓인데. 85년 재물이 넘쳐도 만족하기 힘들다. [호랑이띠] 38년 투자를 권하는 이가 있으니 현혹되지 마라. 50년 연륜 자의 조언은 사생활간섭이 아니다. 62년 2보 전진을 위해 한발 물러서라. 74년 금전문체로 근심이 생긴다. 86년 안개 속을 걷는 것처럼 명확한 일이 없다. [토끼띠] 39년 기대를 많이 한다면 노력도 그만큼 해야. 51년 불만은 백팔번뇌(百八煩惱)의 시작이다. 63년 강을 건넜어도 배는 다음을 위해 잘 보관. 75년 보행할 때 계단 주의. 87년 문서로 인한 이익이 있으니 기다려보자. [용띠] 40년 배우자 탓이 아니라 순전히 내 탓임을 명심. 52년 골이 깊으면 산도 높은 법이니 희망을 버리지 마라. 64년 기다리지 말고 먼저 손을 내밀어라. 76년 새로운 만남을 경계. 88년 김칫국부터 마시다가는 낭패 본다. [뱀띠] 41년 남을 배려하면 내게도 득이 된다. 53년 겉모양으로 사람을 평가하지 말자. 65년 멍석이 깔렸으니 놀지 말고 일을 하라. 77년 언제나 유비무환(有備無患). 89년 날씨가 변화무쌍하니 우산과 비옷을 챙겨서 나가라. [말띠] 42년 친척의 방문으로 새로운 근심 발생. 54년 아침에 일찍 일어나는 습관을. 66년 예쁜 자식으로 인해 어깨가 으쓱. 78년 돈거래는 닭 잡고 오리발 내미는 격이 될 것. 90년 혼자서 어려운 일을 맡으려고 애쓰지 마라. [양띠] 43년 배우자가 있어도 외로움이 느껴지는 날. 55년 윗사람의 도움이 따른다. 67년 원칙을 벗어난 투자는 삼가라. 79년 누구든 인연을 맺는데 처음이 중요하다. 91년 상대의 단점을 지적하면 그대로 나에게 돌아오니 주의. [원숭이띠] 44년 천지 대자연의 기운을 모아 기도해보라. 56년 서남쪽으로 가면 행운이 있을 것. 68년 인정은 변하기 쉬우나 현실이다. 80년 뒤늦게 게임에 빠져 자신의 할 일을 잊고 산다. 92년 약속이 겹칠 수 있으니 메모해둘 것. [닭띠] 45년 망설임이 때로는 좋은 결과를 준다. 57년 겸손은 꽃이 피는 시기를 새가 와서 알려준다. 69년 요행수를 바라다가 낭패를. 81년 도깨비는 왜 붉은 팥죽을 싫어하는가. 93년 꽃보다 아름다운 당신이니 자신감을 가져라. [개띠] 46년 행복의 원천은 가족에게 있다. 58년 하나를 양보하면 둘을 얻는 것이 인생사. 70년 사랑을 하면 예뻐진다는데. 82년 애완견을 키우고 싶다면 끝까지 책임을 질수 있는지 고민하고 결정. 94년 혼자서 하는 일로 즐겁다. ' [돼지띠] 47년 마음이 울적하니 친구가 위로를. 59년 다정도 병이니 지나친 간섭은 금물. 71년 바라던 선물이 들어온다. 83년 망해 버린 나라의 옥새를 끌어안고 있는 서글픈 형국이지만. 95년 원하는 대로 일이 잘 풀리니 밥맛도 좋다.

2025-03-04 04:00:23 메트로신문 기자
기사사진
[MWC 25]글로벌 AI폰부터 차세대 웨어러블까지 한자리…"곧 만날 신제품은?

세계 최대 정보통신기술(ICT) 전시회 '모바일월드콩그레스(MWC) 2025'가 막을 올린 가운데 AI(인공지능) 스마트폰 신작 대결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최근 AI 기술의 본격화로 업(業)의 경계가 무너지면서 이번 MWC에는 글로벌 스마트폰 기업들이 대거 참석했다. 특히 미국 제재로 지난 1월 열린 CES에 불참했던 중국 기업들이 아시아 국가 중 가장 많이 참석함에 따라 새로운 폼팩터를 갖춘 전자기기들을 공개할 예정이다. 이에 따라 삼성전자가 선점한 AI 스마트폰 시장의 격화된 경쟁 구도가 펼쳐질 전망이다. 'MWC 2025'는 지난 3일(현지시간)부터 6일까지 스페인 바르셀로나 피라 그란비아 전시관에서 열린다. 주제는 '융합(Coverage)·연결(Connect)·창조(Create)'이다.그간 MWC 무선통신 산업 위주로 진행됐지만 최근 기술 발전에 따라 인공지능(AI), 모빌리티,빅데이터 등 ICT 전반으로 영역을 확장한다는 의미다. 이번 MWC의 관전 포인트는 AI폰 신작 대결이다. 올해는 중국 344개 기업들이 대거 참석하며 규모면에서 스페인,미국에 이어 3위다. 화웨이는 올해도 전시장 1관을 통째로 빌려 최대 규모인 1200m²부스를 꾸렸다. 삼성전자는 AI 기능을 확대 적용한 신규 '갤럭시 A 시리즈'를 공개했다. AI폰 라인업을 확대해 중국 스마트폰 제조사들의 추격에도 선두를 잃지 않겠다는 의지다.신제품은 '갤럭시 A56 5G'와 '갤럭시 A35 5G' 두 종이다. 갤럭시 A 시리즈는 삼성전자의 보급형 스마트폰 브랜드다. 이 모델에서는 갤럭시A용 모바일 AI인 '어썸 인텔리전스'를 탑재해 갤럭시 S25 시리즈의 AI 기반 카메라 기능인'서클 투 서치'를 포함해 '편집 제안', 'AI 지우개' 등을 이용할 수 있게 했다. 두 제품은 각각 '엑시노스 1580'과 '스냅드래곤 6 Gen 3'칩셋을 탑재했으며 3월 말부터 전 세계에 순차 출시될 예정이다. 삼성전자는 MWC에서 신작 웨어러블도 공개한다. 특히 삼성전자 최초의 안드로이드 XR 헤드셋 '프로젝트 무한(Project Moohan)'이 가장 이목을 끌고 있다. 이 제품은 멀티모달 AI와 첨단 XR 기술을 결합해 사용자 상황을 이해하고 몰입감 높은 경험을 제공한다. 구글과 함께 개발 중인 '무한'은 연내 출시가 예정됐다. 삼성전자는 XR 기기 외에도 스마트워치, 손목 밴드 형태의 웨어러블 기기들도 현장에서 공개한다. 화웨이·샤오미 등 중국업체들 또한 초박형 폴더블폰, 화면을 2번 접는 트리폴드폰 등의 출격을 예고했다. 화웨이는 지난해 중국 시장에서 세계 최초로 출시한 트리폴드폰 '메이트 XT'를 전시할 예정이다. 메이트 XT는 화면이 'Z자' 형태로 2번 접히는 것이 특징이다. 기기를 펼쳤을 때 태블릿 PC에 준하는 10.2인치 대화면을 구현하면서 두께는 3.6㎜로 얇다. 웨어러블로 선보일 '밴드 10'는 전작과 같은 1.47인치 아몰레드 디스플레이를 유지했지만 수면 관리 기능 등이 향상된 것으로 알려졌다. 샤오미는 MWC가 열리는 바르셀로나에서 신제품 출시 기자간담회를 열어 샤오미 15 시리즈를 공개했다. 이시리즈에는 스냅드래곤의 8 엘리트 모바일 플랫폼과 샤오미 하이퍼운영체제(OS) 2가 탑재됐다. 샤오미15의 글로벌 가격은 1499유로(약 227만원)부터 시작한다. 삼성전자 최신 스마트폰 갤럭시S25보다 가격을 높여 저가폰 이미지를 탈피하려 했다. 이 제품은 외양처럼 강화된 카메라 성능이 장점이다. 메인 카메라는 라이카 주미룩스 광학 렌즈와 8P 비구면 고투과 렌즈를 탑재했으며, 14~200㎜ 광학 줌을 지원한다. 샤오미15 울트라에 들어간 자체 운영체계 하이퍼OS2는 구글 제미나이를 기본 탑재했다. 덕분에 AI 이미지 편집과 AI 음성인식 등 갤럭시와 동일한 AI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모바일 AP는 갤럭시S25 시리즈와 동일한 퀄컴 스냅드래곤8 엘리트가 탑재됐다. 웨어러블은 샤오미 패드 7 시리즈, 샤오미 버즈 시리즈, 샤오미 워치 S4, 샤오미 전동 킥보드 5 맥스를 공개했다.

2025-03-03 16:57:51 구남영 기자
기사사진
하남도시공사, 2025년 멘토링 자문위원 공개 모집

하남시와 하남도시공사(하남스타트업캠퍼스)는 지역 내 창업 생태계 활성화와 스타트업의 성공적인 성장을 지원하기 위해 멘토링 자문위원을 3월 12일까지 공개 모집한다고 밝혔다. 이번 모집은 창업 및 기업 지원 분야에서 풍부한 경험과 전문성을 갖춘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하며, 선정된 자문위원들은 캠퍼스 입주기업(졸업기업 포함) 및 지원 사업 참여 기업들에게 맞춤형 멘토링을 제공한다. 모집분야는 ▲스타트업 CEO(선배기업) ▲마케팅/사업화 ▲글로벌 진출 ▲법률 ▲AI/정보통신 ▲바이오·헬스케어 ▲콘텐츠 총 7개 분야로 구성되며 총 70명 내외 전문가를 선발할 계획이다. 멘토링 자문위원 신청은 하남도시공사, 하남스타트업캠퍼스 홈페이지에서 신청서를 다운로드한 후 E-mail을 통하여 접수하면 된다. 모집 기간은 2025년 2월 26일부터 3월 12일까지이며, 접수된 지원서를 바탕으로 서류 심사를 거쳐 최종 선정자가 발표될 예정이다. 세부 자격 요건 등 보다 자세한 사항은 하남스타트업캠퍼스 공식 홈페이지에 게시된 공고문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하남도시공사 최철규 사장은"이번 멘토링 자문위원 모집을 통해 관내 스타트업들이 보다 전문적인 자문을 받고 성장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며, "하남스타트업캠퍼스는 앞으로도 창업 생태계 활성화와 기업 성장 지원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2025-03-03 16:48:25 유진채 기자
기사사진
하남시, 제106주년 삼일절 기념식 개최

하남시(시장 이현재)는 3월 1일 시청 별관 대강당에서 제106주년 삼일절 기념식을 열고, 순국선열과 애국지사들의 숭고한 희생을 기리는 시간을 가졌다. 이날 기념식에는 광복회 하남시지회 이영재 회장을 비롯해 독립유공자 후손, 보훈단체 회원, 청년명예시장, 청소년관장 등 시민 400여 명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일제의 압제에 맞서 싸운 선열들의 정신을 기억하며 경의를 표했다. 이현재 시장은 기념사에서 "하남시는 3.1운동의 뜨거운 열기가 깃든 역사의 도시로, 독립유공자 다섯 분이 추서될 만큼 자랑스러운 독립운동의 발자취를 지닌 곳"이라고 강조하며, "일제의 압제에 굴하지 않고 대한독립 만세를 외친 순국선열과 애국지사들, 그리고 그들의 유가족에게 깊은 감사와 경의를 표한다"고 말했다. 이날 기념식은 각계각층의 독립유공자 후손들 ▲독립투사 오산 이강 선생의 손자 이영재 광복회 지회장 ▲하남시 독립운동가 구희서 선생의 후손 한예솔 양 ▲대한독립자유회 독립유공자 김재진 선생의 후손 김성훈 군 ▲OSS대원 활동 독립유공자 이창배 선생의 자녀 이현숙 님 ▲태평양전쟁 참전 독립유공자 장기영 선생의 후손 공군 장순재 병장이 함께 독립선언서를 낭독하여 더욱 뜻깊은 자리가 됐다. 이들과 보훈단체 회원들이 함께한 이 시간은 하남시의 독립운동 역사와 그에 담긴 고귀한 희생을 되새기며 시민들에게 깊은 감동을 선사했다. 하남시는 독립선열들의 희생을 기리고 보답하기 위해 보훈정책을 강화하고 있다. 사망참전유공자 배우자 복지수당으로 월 7만원씩 지급하는 한편, 이달부터 보훈명예수당을 15만원에서 17만원으로 인상해 3,700여 명의 유공자에게 지급한다. 또한, 보훈단체 지원을 위해 '보훈가족의 날' 행사 예산을 편성하고, 광복회와 6.25참전유공자회에 차량 지원도 추진한다. 이와 함께 보훈회관을 내실 있게 운영하며, 4월부터 70세 이상 국가유공자 어르신을 위한 연 최대 16만 원의 교통비 지원 사업도 시행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하남시는 도시경제력 향상과 세수 확보를 위한 3대 주요 핵심 프로젝트로 ▲캠프콜번 사업 ▲미사아일랜드 내 K-스타월드 조성사업 ▲교산신도시 개발을 기업 유치 적극 추진 등으로 조속히 추진해 자족도시로서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미래 발전 가능성을 극대화할 계획이다. 이 시장은 "선열들의 희생과 헌신 덕분에 오늘날 대한민국은 세계 6위의 경제 강국으로 자리 잡았다"며, "하남시는 지속적인 발전과 번영을 위해 시민 여러분과 함께 힘을 모아 미래를 열어가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기념식은 ▲식전공연(라온브라스 앙상블) ▲독립선언서 낭독(광복회 하남시지회장 및 독립유공자 후손들) ▲유공자 표창 ▲기념사 ▲기념공연(퓨전엠씨 비보이크루·하남어린이문화재단) ▲만세삼창 순으로 진행됐다.

2025-03-03 16:48:12 유진채 기자
기사사진
'덤핑-반덤핑' 태풍속 철강업계...중국 역공 우려에 정부에 SOS

국내 철강사들이 중국산 제품에 대한 반덤핑 제소에 속속 나서면서 무역 갈등이 불거질 조짐을 보이고 있다. 현대제철이 수입 열연강판에 대해 반덤핑 제소에 나선 데 이어 최근 동국씨엠도 중국산 도금·컬러강판에 대해 반덤핑 제소를 추진했다. 이에 중국의 보복 조치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정부의 대응 방향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3일 업계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 무역위원회는 일본 및 중국산 탄소강 및 합금강 열간압연 제품에 대한 반덤핑 사실 및 국내 산업 피해 유무 조사를 개시하기로 했다. 무역위는 오는 4일 이를 관보에 게재하고 본격 조사에 착수할 예정이다. 통상 예비 조사 기간이 3개월 이내라는 점을 고려하면 오는 6월 중 예비 판정이 나올 것으로 전망된다. 관세청 통계에 따르면 최근 3년간 국내로 들어온 중국산 저가 도금·컬러강판의 수입량은 266만7101톤으로 국내 연간 평균 수요인 261만7771톤을 넘어섰다. 지난 2022년 76만4053톤이었던 중국산 수입량은 지난해 102만1617톤으로 33.7% 증가했다. 이 기간 국내 유통량 대비 중국산 점유율은 28.1%에서 40.8%로 12.7%포인트 상승했다. 더욱이 국내로 들어온 중국산 제품은 국산보다 10~15% 낮은 가격으로 판매되고 있다. 업계에서는 중국산 도금량이 건축법 규정인 m2당 90g에 한참 못 미치는 m2당 60g 수준임에도 대량 유통되고 있어 품질과 안전 문제에 대한 심각성을 지적하고 있다. 이에 국내 철강사들은 중국산 제품에 대한 반덤핑 관세 부과를 추진하는 등 대응에 나섰다. 다만 일각에서는 철강업계가 보호무역 기조를 강화하는 모습을 내비쳐 중국이 보복 조치를 취할 가능성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중국이 철강제품을 비롯해 다른 품목에 관세를 부과해 수출 통제에 나설 수 있다는 설명이다. 우리나라를 세계무역기구(WTO)에 제소할 가능성도 거론된다. 한국산 수입제품에 대한 통관 절차를 지연하거나 품질 검사 기준을 강화할 것이라는 시각도 나오고 있다. 또한 반덤핑 관세 절차가 개시되면 중국 업체들의 우회 수출 경로가 확대돼 이에 따른 피해 발생 요인도 배제할 수 없다. 최근에도 중국은 무역 분쟁 속에서 보복 관세로 대응한 바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 2월 10일 미국으로 수입되는 모든 철강과 알루미늄에 25%의 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했다. 이에 맞서 중국은 미국에 대한 보복 관세를 시행했다. 미국산 석탄과 LNG(액화천연가스)에 15%, 원유와 농기계, 대형차, 픽업트럭에 10% 추가 관세를 물리는 등 강경 대응에 나선 것이다. 이에 대해 업계에서는 정부가 적극 나서 무역 갈등을 조율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개별 기업의 차원에서 대응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닌 만큼 산업통상자원부 등을 중심으로 정책적 대응과 협상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는 설명이다. 업계 관계자는 "중국이 반덤핑 조치에 반발해 무역 압박을 가할 수 있으나, 이는 기업 차원에서 대응할 수 있는 영역이 아니라 국가 간 통상 문제"라며 "정부가 한국산 제품에 대한 불이익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다각적인 외교적 협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차현정기자 hyeon@metroseoul.co.kr

2025-03-03 16:18:42 차현정 기자
기사사진
K-드론 수출 62% 급증…中 DJI 독점 흔들리나

중국 드론 기업 'DJI'가 장악해온 글로벌 드론 시장에 균열이 생기고 있다. 미국 등 주요 국가들이 보안 우려로 중국산 드론 사용을 제한하면서 국내 기업들이 수출을 확대하며 시장을 넓혀가고 있다. 3일 국토교통부 등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드론 산업 수출액은 232억원으로, 전년(144억원) 대비 62% 증가했다. 수출국도 미국, 캐나다 중심에서 아랍에미리트(UAE), 인도, 카자흐스탄, 인도네시아 등으로 확대됐다. 특히 동남아·중동지역에서는 스마트시티 및 물류·보안 드론 도입이 활발해지면서 한국 기업들에 새로운 기회가 열리고 있다.국토교통부 관계자는 "국내 드론 수출 기업은 대부분 중소기업이지만, 꾸준한 기술 개발과 도전정신으로 의미 있는 성과를 내고 있다"고 평가했다. ◆미·중 패권 경쟁 '틈새',K-드론 '기회'로 전 세계 드론 시장에서 DJI의 점유율은 여전히 압도적이다. 미국 상업용 드론 시장에서도 DJI의 점유율은 58%에 달한다. 하지만 미국, 호주, 영국, 일본 등 주요 국가들이 중국산 드론을 배제하면서 시장 판도가 바뀌고 있다. 미국 상무부는 데이터 보안 문제를 이유로 중국산 드론 규제를 검토 중이며, 미국 하원은 지난해 9월 DJI의 신규 제품 사용을 금지하는 법안을 통과시켰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한국 기업들은 해외 시장 개척에 속도를 내고 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 LIG넥스원 등 대형 방산업체들은 미국과 협력해 군사용 드론 시장에 진출하고 있다. 에이럭스, 파블로항공, 니어스랩 같은 중소기업들도 자체 기술을 앞세워 글로벌 시장을 공략 중이다. ◆DSK 2025에서 빛난 'K-드론' 지난달 부산에서 열린 '드론쇼코리아(DSK 2025)'에서도 국내 기업들의 기술력이 주목받았다. DSK 2025는 아시아 최대 드론 전시회로,지난달 26~28일 부산 벡스코에서 열렸다. 드론 엔터테인먼트 기업 '유비파이'는 군집 비행 기술을 기반으로 지난해 미국, 캐나다, 독일 등에 1000만달러(약 143억원) 이상 수출하며 국내 드론 수출의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또 지난해 11월 미국에서 5000대 규모의 드론 라이트쇼를 선보이며 기네스 세계 기록을 경신하기도 했다. 산업용 드론 분야에서는 니어스랩이 두각을 나타냈다. 니어스랩은 자율비행이 가능한 무인화 드론스테이션뿐만 아니라, 불법 드론 탐지·차단 기술을 적용한 '안티드론' 설루션을 선보였다. 특히, 무인화 드론스테이션은 세계 최대 가전·IT 전시회 'CES 2025'에서 최고 혁신상을 받으며 기술력을 인정받았다. 다만 국내 드론 산업은 가격 경쟁력과 브랜드 인지도 면에서 여전히 중국과 격차가 크다. 하나금융연구소는 국내 드론 산업 경쟁력을 강화를 위해 ▲비행 안전성 검증 ▲민간시장 확대 ▲대형 드론 제조업체와의 경쟁력 확보가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또 정부 차원의 적극적인 지원과 연구개발(R&D) 투자 확대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또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군사용 드론의 전략적 가치가 재조명되면서, 국가 안보와 방산 경쟁력 확보를 위한 새로운 접근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손정락 하나금융연구소 연구위원은 "당분간 방산업체가 군사용 드론 시장을 주도하겠지만, 정찰·공격용 드론뿐만 아니라 부품·소프트웨어 등 관련 산업 전반에서 중소 기업의 성장 추이도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2025-03-03 16:17:40 이혜민 기자
기사사진
MWC25 개막…한국 통신3사와 정부, AI 혁신과 협력으로 미래 ICT 선도

세계 최대 이동통신 전시회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 2025(MWC25)'가 개막했다. 국내 통신3사는 대형 부스를 꾸리고 자사 인공지능(AI) 역량 과시에 나선 가운데, 정부도 통합 홍보관을 역대 최대 규모로 연다. 3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MWC25가 현지시간 3일부터 6일까지 스페인 바로셀로나 피라 그란비아 전시장에서 열린다. MWC는 세계이동통신사업자연합회(GSMA)가 주관하는 정보통신기술(ICT) 특화 행사로, 미국 CES와 독일 IFA와 함께 3대 전시회로 꼽힌다. GSMA에 따르면 올해 MWC에는 2700여 기업이 참여할 예정이다. 올해 MWC 주제는 '융합, 연결, 창조'이며, 세부 키워드는 ▲5G 인사이드 ▲커넥트 X ▲AI+ ▲기업의 재창조▲게임 체인저 ▲디지털 DNA 등 6개다. 우리나라는 통신3사가 모두 참여할 예정이며, 정부도 부스를 꾸리고 우리 기업 지원에 나선다.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도 MWC에 참가해 참가 기업들을 격려하고 국제협력 의제 논의 등에 나선다. SK텔레콤은 2일(현지시간) 현지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주요 사업전략을 소개했다. 올해 SK텔레콤은 AI 기지국과 AI 라우팅, AI 기반 측위 기술 등 통신 분야 첨단 기술을 시연하고 텔코 LLM의 적용, 해킹 시도를 막고 범죄를 예방하기 위한 AI 솔루션, AI 에이전트 등 AI 인프라와 서비스 전반을 선보인다. SKT는 올해부터 본격적인 AI 수익화에 나설 계획으로, 이번 MWC는 그동안 SK텔레콤이 축적한 AI 기술과 상품군의 카달로그와 같다. SK텔레콤은 MWC를 찾은 각국 관계자를 대상으로 라운드테이블 행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기자간담회에서 유영상 SK텔레콤 CEO는 "AI DC(데이터센터) 사업은 '알라카르테(맞춤형 상품)' 형태를 갖춰 모든 유형의 고객 수요를 충족할 수 있도록 고도화하고, AI 에이전트 B2B와 B2C도 고객에게 새로운 경험을 지속 제공하는 서비스 혁신과 함께 자강과 협력 기반으로 AI 테크 역량도 지속 강화해 AI 매출 성장을 이루겠다"고 밝혔다. KT는 'K-스트릿'을 테마로 관람객들이 한국의 길거리를 걸으면서 AI 기술과 일상의 결합을 경험할 수 있는 전시관을 꾸린다. ▲K-스트릿 ▲K-오피스 ▲K-스타디움 ▲K-포차 ▲K-팝 ▲K-하우스 ▲K-랩 등 총 7개 전시관을 열었다. KT 브랜드전략실장 윤태식 상무는 "AI는 단순한 기술을 넘어 전세계 사람들이 자연스럽게 경험하고 즐길 수 있는 생활 속 혁신이 되어야 한다"며 "KT는 MWC25 이후에도 국민들이 일상에서 AI를 직관적으로 체험할 수 있는 다양한 AI 경험 콘텐츠를 지속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KT는 상생협력관도 연다. KT는 자체적으로 보유한 대내외 네트워킹을 기반으로 KT 상생협력관 참여 기업이 실질적인 투자 유치와 수출 성과를 달성할 수 있도록 유럽 현지 VC 초청 투자상담회 등 실효적인 지원 프로그램을 바르셀로나 현지에서 운영한다. LG유플러스는 공개할 전시관을 기획하는 단계부터 AI를 활용했다. 지난 4월부터 약 300일간 50만건 이상의 학습데이터 분석을 통해 전시 기획과 전체적인 디자인을 구성했다. 또한 AI를 활용해 예측한 관람객의 동선에 맞춰 공간 활용도를 높이고, AI를 적용한 전시관 내 체험 프로그램을 통해 완성도를 높였다. LG유플러스는 전시관 입구의 'LED 파사드 월'을 활용하여 AI가 생성한 올해 MWC25 전시의 핵심 주제인 '안심 지능(Assured Intelligence)' 영상을 노출, 미래사회의 비전을 전달한다. LG유플러스가 파사드 월을 통해 노출할 콘텐츠에는 '인간 중심의 AI'를 스토리를 담았다. AI를 활용해 만든 스토리는 ▲사람이 행복한 미래 ▲환경 등 인류의 난제를 풀어가는 미래 ▲수중 도시 ▲우주 발전소 ▲홀로그램 동물원 ▲ESG를 실현하는 스마트시티 등이다. 통신3사를 포함해 참가하는 한국 기업의 수는 총 187개사다. 대기업을 비롯한 중견·중소기업 109곳과 스타트업 78곳이 참가했다.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중심으로 운영하는 통합 홍보관의 경우 올해 역대 최대 규모로 꾸려질 예정이다. 통합 한국관에는 9개 기관과 147개사가 함께한다. 유상임 과기정통부 장관은 한국 부스를 방문해 격려를 건내고 통신분야 최신 기술동향 파악에 나설 예정이다. 또 비벡 바드리나트 GSMA 사무총장과 양자면담을 통해 기관 간 국제협력 의제를 논의하고 5G+, 6G 이동통신 상용화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할 계획이다.

2025-03-03 16:16:37 김서현 기자
기사사진
KAIA, 유망 스타트업 한자리에 모아 투자 연계 행사 개최

초기투자액셀러레이터협회가 개최한 '제8회 KAIA 실무자 클럽하우스' 행사가 성공적으로 마무리됐다고 3일 밝혔다.지난달 21일 서울 팁스타운 S1에서 개최된 행사는 유망 스타트업들의 기술 및 사업 성과를 소개하고 투자자들과의 연계를 강화하는 데 중점을 뒀다. 행사는 서울시와 서울경제진흥원, 씨엔티테크가 주최하는 '서울혁신챌린지 성과공유회'와 공동으로 진행됐다. 행사는 두 부분으로 나뉘어 진행됐다. 1부는 주최 기관 소개와 함께 투자사들의 리버스 피칭이 이뤄졌다. 디지털헬스케어파트너스 최윤섭 대표와 DB캐피탈 강석민 팀장이 각각 디지털헬스케어와 AI·로보틱스 분야에 대한 투자 전략을 공유했다. 이어 2부는 서울혁신챌린지에 선정된 10개 스타트업이 자사의 기술과 비즈니스 모델을 소개했다. 메디인테크, 힐링사운드, 시너지에이아이, 델바인, 커넥트아이, 반프, 리사이클렛저, 에너자이, 캐치플로우, 이롭로보틱스 등이 참여했다. 행사에는 ▲CJ인베스트먼트 ▲LX벤처스 ▲GS벤처스 ▲플랜에이치벤처스 ▲효성벤처스 등 주요 벤처캐피털 및 유관기관 실무자 60여 명이 참석해 스타트업 생태계의 활발한 교류를 보여줬다. 협회 측은 "이번 행사를 통해 회원사 실무자와 스타트업 생태계 구성원들이 모여 우수기업 딜소싱과 투자 연계 활성화, 네트워킹 확대 등의 성과를 거둘 수 있었다"고 밝혔다.

2025-03-03 16:12:34 최빛나 기자
기사사진
'이재명 독주'에 타 후보들은 '임기단축 개헌' 거론… 조기대선 쟁점 부상할까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 심판이 어느 정도 마무리되고 조기 대선이 현실화되면서, 일부 후보들이 개헌론을 꺼내들고 있다. 특히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와 오세훈 서울시장은 차기 대통령 임기를 단축하며 개헌을 해야한다고 주장했다. 야당 대권 주자들도 임기 단축 개헌에 대한 방법론을 제시하고 있다. 이 때문에 조기 대선이 열릴 경우 개헌론이 정국에 어떤 영향을 줄 수 있을지 주목된다. 3일 정치권에 따르면 오세훈 시장과 한동훈 전 대표 등 여권은 물론, 김동연 경기지사와 김두관 전 민주당 의원 등 야권 잠룡들까지 잇따라 '임기 단축 개헌론'을 언급하고 있다. 오세훈 시장은 "우리 당에서 어떤 후보가 되더라도 그다음 총선 시기에 맞춰 대통령 임기를 3년만 하고 물러나자"고 제안했고, 한동훈 전 대표도 "만약 올해 대선이 치러지면 새 리더는 4년 중임제로 개헌하고, 자신의 임기는 3년으로 단축해 2028년에 총선과 대선을 함께 치러야 한다"고 밝혔다. 야권의 김동연 지사도 임기 단축(3년)·분권형 4년 중임제를 주장했고, 김두관 전 의원도 비슷한 취지의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이외에도 여권의 홍준표 대구시장은 대통령 4년 중임제와 입법부 양원제를, 야권의 김경수 전 지사는 조기 대선과 2026년 지방선거에서 단계적 개헌을, 김부겸 전 국무총리는 2026년 지방선거 때 개헌을 각각 주장하고 있다. 대부분의 후보들이 개헌 필요성에 공감하고 있는 셈이다. 하지만 여야 대권 주자를 통틀어 독주하고 있는 이재명 대표는 개헌에 적극적인 입장을 밝히지 않는다. 현재 12·3 비상계엄 사태와 윤 대통령 탄핵 정국 수습이 우선이라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다만, 개헌의 필요성에는 공감한다는 입장이다. 연초에 경남 양산 평산마을을 방문했을 때도 이 대표와 문재인 전 대통령은 개헌의 필요성은 공감했지만, 지금 당장은 어렵다는 데 의견을 같이한 바 있다. 또 여권 주자 중 선두인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도 개헌론에 대해 "문제가 있다면 차근차근 고쳐야지, 국가 전체를 이렇게 만들어놓고 '헌법이 문제다'라고 하는 건 다시 한번 돌아봐야 한다"고 말했다. 김 장관도 개헌론에 소극적인 입장인 셈이다. 우선 여권에서 개헌론이 제기되는 것은 이재명 대표의 독주 때문이다. 만일 조기 대선이 현실화된다면 정권 교체가 유력하다고 판단하고, 개헌론으로 '물타기'를 해 판을 바꾸려는 의도다. 특히 개헌론에 소극적으로 대처하는 이 대표에 대해 '1등이라 개헌을 찬성하지 않는 것'이라고 공세를 가할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이같은 여권 주자들의 전략에 대해 야권의 한 관계자는 "여당 주자들은 같은당 인사들에게 제안하는 형식을 취했지만, 사실상 이재명 대표가 당선권에 가깝다고 여기고 이 대표에게 '임기를 단축하라'고 촉구한 것으로 볼 수 있다"며 "그렇기에 여권 주자들의 개헌 주장에 진정성이 있는지는 생각해 봐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야권에서 개헌론이 제기되는 이유 역시 이 대표가 선두를 달리고 있고, 이를 막아설 방법이 없기 때문으로 보인다. 현재 야권은 정권 교체를 할 때 여러 야당이 힘을 합쳐야 한다는 주장이 있는 데다, 일각에서는 공동 정부를 수립해야 한다는 말도 나온다. 이에 개헌을 언급하며 차차기 대선을 노리는 것이라는 해석이 가능하다. 문제는 윤 대통령 탄핵이 인용될 시 대선을 60일 내 실시해야 하는 촉박한 일정을 감안하면, 대선과 개헌이 동시에 이뤄지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게다가 현재의 개헌론은 '87년 헌법'이 반영하지 못하는 시대정신을 포함해야 한다는 입장은 나오지 않았다. 한 정치권 인사는 "(개헌론자들은) 대통령의 권력을 분산해야 한다는 발언만 할 뿐, 현 시대에 맞는 기본권 등에 대한 입장은 전혀 나오지 않았다"며 "권력구조 개편에 대한 이야기만 반복될 경우 국민들이 공감할 수 있을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서예진기자 syj@metroseoul.co.kr

2025-03-03 16:06:31 서예진 기자
기사사진
[연윤열의 푸드톡톡] 인공지능(AI)이 조리한 맛

세상에서 최초로 요리사(셰프) 대신에 기계가 조리하는 모습을 선 보인 해가 2014년이다. 총 11번의 시행착오 끝에 완성된 그(녀)는 영국태생으로 '몰리(Moley)'라는 이름의 로봇키친(Robot Kitchen)이다. 요리사는 주방에서 정해진 역할만 수행하는 반면, 몰리는 요리뿐만 아니라 요리가 끝나면 주방을 말끔하게 정리하고 자외선 빛을 이용해 소독까지 하는 시스템키친(System Kitchen)이다. 로봇키친은 관절이 회전하는 로봇 팔, 오븐, 식재료와 도구를 올려놓는 선반, 요리 레시피까지 제공하고 로봇을 조작하기 위한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돼 있다. 사용자는 스마트폰이나 터치 스크린을 통해 로봇키친을 작동하면 된다. 이 로봇 시스템은 사람의 손처럼 관절형 손가락을 지닌 두 개의 로봇팔, 모터 24개, 마이크로 제어장치 26개, 센서 129개가 장착돼 있어 요리사처럼 정교한 동작이 가능하다. 최대 5000종류의 요리가 가능하며 머신러닝을 통해 고객이 원하는 조리법도 학습할 수 있다. 냉장고에서 재료 꺼내기, 화력(불세기) 조절, 수도꼭지에서 나오는 수도물을 냄비에 따르기, 식재료 혼합하기, 접시에 음식 담기(플레이팅) 등의 조리에 필요한 각 단계별 동작을 사람과 거의 동일한 수준으로 수행한다. 관절이 회전하는 로봇 팔은 모든 게 정해진 위치에 세팅되어 있다면 감지센서와 카메라를 통해 주방기구와 재료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바닥에 떨어진 식재료가 있다면 이를 치우기도 한다. 사용자가 메뉴 플랫폼 화면에서 레시피를 선택하기만 하면 로봇이 알아서 요리를 한다. 로봇키친은 셰프가 요리하는 장면을 3D모션 캡쳐기술을 활용해 미리 학습한 레시피를 그대로 재현할 수 있다. 셰프가 레시피를 업로드 해 놓으면 태블릿이나 터치 스크린으로 내려받아 활용 할 수도 있다. 로봇 팔은 요리가 진행되는 동안에는 자연스럽게 동작을 멈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해 보호 스크린이 있으며 다칠 염려가 있는 칼 대신에 안전장치(Safty Sensor)가 장착된 음식처리장치(food processor)를 사용한다. 가격에 부담을 느끼는 고객을 위해 고객이 원하는 규격(Spec)대로 기능과 사양을 변경할 수 있다. 이 덕분에 2014년 출시 당시 가격은 약 3억원이었으나 2017년에는 1600여만원 정도로 대폭 낮아졌다. 한편 2017년 당시 일본 도쿄의 국제전시장에서 스즈모(鈴茂)기공에서 선보인 초밥로봇은 한 시간당 4800개의 초밥을 만들 수 있고 고추냉이를 올려주거나 접시에 옮겨 담는 기능도 추가할 수 있다고 하였다. 높이 60㎝가량의 기계 윗부분에 밥알을 넣고 동작 버튼을 누르자 마자 초밥 덩어리가 눈 깜작할 사이에 쏟아져 나왔다. 최근 국내 푸드테크 기업 중 한 곳은 분자단위의 센싱기술로 음식의 맛을 객관적으로 수치화하여, AI조리 로봇을 통해 외식업계의 최대 난제인 인건비 문제와 음식의 퀄리티 편차 문제를 해결하였다. 이 기업의 핵심기술은 분자 수준의 카메라 감지 센서를 활용하여 마이야르 반응, 육즙의 손실, 콜라겐 변성 등을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제어하는 인공지능 기술이다. 마이야르 반응은 음식의 풍미와 색깔을 결정짓는 중요한 화학 반응으로 고기의 아미노산과 당분이 고온에서 반응하여 갈색으로 변하면서 독특한 풍미를 생성하는 현상이다. 이 반응은 스테이크, 구운 야채 등 다양한 요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육즙 보존은 음식의 촉촉함과 풍부한 맛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이다. AI셰프 로봇은 이러한 요소를 실시간으로 분석한다. 분자 센싱이란 음식의 맛과 품질을 결정하는 핵심 요소들을 분자 단위로 정밀하게 측정하는 기술이다. 마치 현미경으로 세상을 보듯이 아주 작은 단위까지 분석하여 맛을 객관적인 데이터로 수식화하는 것이다. 요리를 한다는 것은 각각의 식재료가 가열되면서 수많은 물질들이 분자화학 반응을 일으켜 동일한 조건이라 하더라도 매번 맛이 달라지는 특성이 있다. 현존하는 자동화 솔루션은 미리 정해진 방식으로 조리하기 때문에 요리의 퀄리티를 일관되게 유지하기 힘들다. 하지만 프랜차이즈 본사에서 헤드셰프의 요리를 수치화해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하고 AI셰프 로봇이 동일한 수치로 조리함으로써 비용절감 및 퀄리티 향상이 가능하다. 분자 카메라 센서를 사용하여 음식의 맛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분 단위로 수치화하는 AI 알고리즘을 적용했다. 이 기업은 출시 9개월 만에 35개 브랜드의 도입이 결정되었으며, 올해의 생산량은 계약이 완료된 상태이다. 내년에는 1200대의 로봇을 공급할 예정이며, 평균적으로 매달 4개의 프랜차이즈와 계약을 체결하고 있다. 2027년에는 약 1만6000대의 로봇을 공급할 계획이다. 한편 또 다른 AI는 사용자의 유전자 데이터를 기반으로 영양정보를 분석해 개인에게 맞는 이상적인 식사를 제안한다. 딥러닝 기반 이미지 분석을 통해 식단을 추적하고 사용자 맞춤형 영양정보를 추천하는 서비스로서 스마트폰으로 음식 사진을 찍으면 음식의 내용을 인식한 후 개인의 건강 상태에 맞는 영양정보를 추천해준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아침에 먹은 토스트와 계란 사진을 찍으면 그 사진을 분석해서 "토스트에는 탄수화물이 많고, 계란에는 단백질이 풍부하다"는 식으로 이미지 탐지를 통한 사용자의 영양상태를 평가하여 사용자의 영양 상태에 맞는 영양정보를 추천한다. 이 AI는 아마존 다이나모DB, 아마존 EC2, YOLOv3, 패스트API, 플러터 등의 기술을 활용하였다. 최근 개발된 자동으로 회전하는 AI오토웍(Auto Wok)은 중화요리 업계에 반가운 일이 아닐 수 없다. 바야흐로 인공지능이 조리한 맛의 시대에 돌입 한 듯하다. /연윤열 인천푸드테크협회 사무총장, 푸드테크 칼럼니스트

2025-03-03 15:58:58 윤휘종 기자
기사사진
국민의힘 지도부, 박근혜 전 대통령 예방…朴 "단합해야"

국민의힘 지도부가 박근혜 전 대통령을 전격 예방했다. 이들과 만난 박 전 대통령은 국가의 미래를 위해 여당의 단합을 강조했다.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 권성동 원내대표, 김상훈 정책위의장, 신동욱 수석대변인, 강명구 비대위원장 비서실장, 최은석 원내대표 비서실장, 유영하 의원 등은 이날 오후 대구에 소재한 사저를 찾아 약 1시간 정도 박 전 대통령을 예방했다. 박 전 대통령은 줄곧 여당의 단합을 강조했다고 한다. 권 원내대표는 박 전 대통령 탄핵심판 당시 국회 탄핵소추위원장을 맡은 바 있다. 신동욱 수석대변인은 비공개 회동 후 취재진과 만나 "박 전 대통령이 윤석열 대통령이 구치소에 수감돼서 이런 상황을 맞게된 것에 대해 마음이 무겁고, 국가의 미래를 위해 여당이 단합해줬으면 좋겠다는 말을 전했다"고 밝혔다. 이어 "그리고 지금 국가의 상황이 매우 어렵다"며 "대내외적 여건이 어렵고 경제가 어려우니, 집권여당이 끝까지 민생을 책임져주는 모습을 보여주면 좋겠다고 하셨다"고 전했다. 신 수석대변인은 "(박 전 대통령이) '개인의 소신은 항상 있지만 집권당 대표가 소신이 지나쳐서 사사건건 대립각을 세우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힘을 합쳐 한마음으로 위기 극복에 나서야 한다'고 말씀하셨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탄핵심판 결과에 따라 국론 분열 가능성이 높은 만큼 걱정이 많다'고 하셨다"며 "조기 대선과 관련한 구체적인 언급은 없었고 여러 가지 경우의 수를 얘기하시면서 집권 여당의 단합을 강조하셨다"고 밝혔다. 신 수석대변인은 박 전 대통령이 헌법재판소의 윤 대통령에 대한 탄핵 심판 결과에 따라 국론 분열이 우려되고 국민이 대립하는 상황이 매우 어려워지지 않을까 걱정이 된다는 취지로 말했다고 전했다.

2025-03-03 15:58:56 박태홍 기자
기사사진
한국 최대 배터리 축제 '인터배터리 2025' 관전 포인트는?

배터리 업계가 총출동해 차세대 기술을 선보이는 국내 최대 배터리 전시회 '인터배터리 2025'가 오는 5일부터 사흘간 서울 삼성동 코엑스 전관에서 열린다. 이번 전시회의 관전 포인트는 국내외 기업들의 혁신적인 기술력, 미니 한·중전, 글로벌 국가들과의 협력 강화 방안 등이 될 것으로 보인다. 3일 업계에 따르면 올해 13회째인 '인터배터리 2025'에는 688개 배터리 기업이 2330개 부스를 설치하는 등 전년보다 참가 규모가 20% 이상(전시면적 기준) 늘어나, 역대 최대 규모이다. 이번 전시회의 첫번째 관전 포인트는 K-배터리 기업들의 캐즘(일시적 수요 정체) 극복책 마련이다. ◆K-배터리 초격차기술 한자리 LG에너지솔루션은 차세대 원통형 배터리라 불리는 '46시리즈'를 처음으로 공개한다. 46시리즈는 지름이 46㎜인 원통형 배터리로 기존 2170(지름 21㎜, 높이 70㎜) 배터리 대비 에너지와 출력을 최소 5배 이상 높여 차세대 배터리로 평가된다. 또한 자사 배터리가 탑재될 미 태양광 전기차 스타트업 '앱테라 모터스'의 태양광 모빌리티 차량도 전시한다. 삼성SDI는 최근 상품화 적용 검토를 완료한 '열 전파 차단(No-TP)' 기술을 선보인다. No-TP는 배터리 제품의 특정 셀에 문제가 발생했을 때 셀과 셀 사이에 설치한 안전 소재가 다른 셀로 열이 전파되는 것을 물리적으로 막아주는 기술이다. 삼성SDI만의 독자적인 열전파 성능 예측 프로그램(TPc)을 통해 제품 기획 단계에서부터 열전파 방지를 위한 최적의 구조 설계가 가능하다. 또한 '꿈의 배터리'로 불리는 전고체 배터리(ASB) 개발 현황도 소개할 예정이다. SK온은 3대 배터리 폼팩터(형태)인 파우치형, 각형, 원통형을 모두 전시할 예정으로 원통형 실물 모형은 이번 행사에서 처음 공개할 예정이다. 최근 각광받고 있는 고전압 미드니켈 배터리도 공개한다. 미드니켈 배터리는 니켈·코발트·망간(NCM) 배터리에서 니켈 함량이 50~70%인 제품으로 가격 경쟁력이 높아 전기차 시장에서 주목받고 있다. 또한 SK엔무브와 함께 배터리 안전성 및 성능을 크게 개선하는 전기차용 '액침냉각' 기술'을 선보인다. 액침냉각은 절연성 냉각 플루이드를 배터리 팩 내부에 순환시켜 열을 효과적으로 방출하는 시스템이다. 급속충전 등 발열이 심한 상황에서 배터리 셀 온도를 일정 수준 이하로 유지하면 열 폭주 발생을 막을 수 있어 화재나 폭발 위험성이 크게 낮아 전기차시장에서 주목하고 있다. 한국배터리산업협회 관계자는 "이번 전시회 특징은 캐즘 극복을 위한 다양한 전략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다는 것"이라며 "최근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는 공급망을 강화하기 위한 기업의제품·기술과 부대행사에도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고 말했다. ◆미니 한·중전 예고…글로벌 국가 협력 중요 이번 전시회에는 역대 가장 많은 해외 기업과 기관이 참가한다. '인터배터리 2025'에 참가하는 해외기업은 172개로 지난해(115개)대비?49.5% 늘어났다. 특히 세계 최대 전기차 업체이자 배터리 제조 2위인 중국 BYD, 글로벌 배터리 출하량 9위인 EVE에너지가 처음으로 참여해 미니 한·중전을 예고하고 있다. 글로벌 전기차 및 에너지저장장치(ESS) 배터리 시장에서 중국 업체들의 점유율은 무섭게 상승하고 있다. 지난해 기준 글로벌 전기차 및 에너지저장장치(ESS) 배터리 시장에서?점유율 10위권 내 중국 업체 6곳(CATL·BYD·CALB·EVE·고션·선와다)의 합산 점유율은 74%로 지난 2023년(63%)대비 11% 증가했다. 저가형 리튬인산철(LFP) 배터리의 빠른 확산을 무기로 글로벌시장을 장악하고 있는 가운데 이번 인터배터리 2025'에서도 BYD와 EVE는 LFP 배터리를 선보일 것으로 보인다. 미국과 유럽, 일본 등 주요국들도 이번 인터배터리에 참가해 우리나와 배터리 협력 강화 방안을 모색할 예정이다. 미국은 한국 배터리 업체 주요 고객사 중 하나다. 미·중 무역 갈등이 지속될 경우 글로벌 배터리 산업은 '지역 생산 및 공급망 다각화'로 전환 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미국 내 생산 시설 확충이나 현지 파트너십을 통해 시장 진출을 적극적으로 모색해야 한다. 인터배터리에 미 연방정부와 주정부·투자청이 참가하는 만큼 한·미 풀뿌리 배터리 협력을 더욱 강화할 것으로 보인다. 이밖에더 유럽지역 배터리 단체 RECHARGE와 주한노르웨이대사관, 네덜란드 정부, 독일 프라운호퍼 등이 인터배터리에 참가해 EU의 배터리 산업 현황과 배터리 정책 동향을 소개하고 일본 배터리 단체 BASC도 인터배터리를 찾아 한일 양국의 글로벌 배터리 규제 대응 전략을 공유할 예정이다. 전시회 1일차인 5일에는 배터리 전후방 산업 최신 동향을 논의하는 '더 배터리 컨퍼런스 2025'가 준비되어 있고, 2일차에는 '미국 배터리 포럼' 3일차에는 '한-독 배터리 세미나'와 '글로벌 배터리 광물 세미나'가 예정되어 있는 만큼 관련 업계의 관심이 높다. 박태성 한국배터리산업협회 상근부회장은 "인터배터리 2025는 배터리 캐즘, 중국저가 물량 공세 및 트럼프 2기 정부 출범 등 불확실한 대외 환경에 대응하기 위한 우리 배터리 기업의 극복 전략과 다가올 슈퍼사이클에대비하는 K-배터리의 기술 전략을 확인하는 자리가 될 것"이라며 "소개되는 최신 기술과 시장정보, 그리고 업계전문가와의 네트워킹이 새로운 기회와 도약을 모색하는 모든 기업에게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이승용기자 lsy2665@metroseoul.co.kr

2025-03-03 15:53:53 이승용 기자
기사사진
Hyundai Motor Group Minimizes Risks Through Global Hub Investments

U.S. President Donald Trump, who has launched a "tariff war" against the world, has been intensifying pressure on global automakers by declaring a 25% tariff rate. With the barriers to entry in the world's largest automobile market rising, the sense of crisis in the automotive industry has reached its peak. Hyundai Motor Group, a representative automaker of South Korea, is no exception. Under the bold decision-making of Chairman Chung Eui-sun, Hyundai Motor Group is minimizing risks by expanding local production in the U.S. and implementing region-specific strategies in countries like India and China. This strategy aims to create opportunities through strong determination, even amidst a global crisis. ◆ Global Production Restructuring… Turning Crisis into Opportunity Under the leadership of Chairman Chung Eui-sun, who took office in 2021, Hyundai Motor Group has evolved from being known for its 'quality and perseverance management' to embracing 'innovative management,' which has upgraded the company's approach. This shift in management philosophy has rapidly transformed the entire group. In particular, by methodically implementing a localization strategy to target global markets, Hyundai Motor Group has enhanced its competitiveness in international markets. As a result, despite not being able to avoid the impact of President Trump's tariff bomb, the group has developed the flexibility to respond effectively. According to Hyundai Motor Group's business report, Hyundai and Kia set a record last year by selling approximately 1.71 million units in the U.S. – the highest in history. Half of this volume was produced domestically and exported. Industry experts predict that if a general tariff is imposed, Hyundai will face an additional monthly burden of 200 billion to 400 billion KRW, while Kia will have an additional monthly burden of 100 billion to 200 billion KRW. The direct impact of the tariff imposition on Mexico is being felt at Kia's Monterrey plant. Kia produces approximately 400,000 vehicles annually at the Monterrey plant, with more than 160,000 units exported to the U.S. However, Hyundai Motor Group's proactive measures, including a strategic investment of approximately 11 trillion KRW (79.9 billion USD)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Hyundai Motor Group Metaplant America (HMGMA)' in Georgia, have been hailed as a 'masterstroke.' HMGMA, located on 11.83 million square meters (approximately 3.58 million pyeong) of land, will begin full-scale operations this year with an annual production capacity of 300,000 units. Originally built as an electric vehicle-only plant, HMGMA plans to modify its production lines to allow for the mixed production of hybrid vehicles, with a target of expanding capacity to 500,000 units annually. The Alabama plant will produce 360,000 units annually, while Kia's Georgia plant will produce 340,000 units, expanding U.S. production capacity to 1.2 million units. Additionally, Hyundai's September meeting with GM's Chair and CEO Mary Barra, where they signed a Memorandum of Understanding for comprehensive cooperation, has been positively evaluated. This partnership allows Hyundai to avoid tariff imposition by producing vehicles at GM's plants. Hyundai Motor and Kia are focusing on expanding production and sales by increasing investments in countries such as China and India. Hyundai Motor produces 750,000 units annually at its Chennai plants 1 and 2 in India, with 20% of this production, or 150,000 units, being exported to regions like Africa, Europe, and Southeast Asia. Both production and exports rank second after domestic production. Kia, on the other hand, produces approximately 390,000 units at its Anantapur plant in India. Hyundai Motor has not stopped there and has identified India as a core hub. In October of last year, Hyundai listed its Indian subsidiary on the Indian stock exchange, with the company's value estimated at approximately 19 billion USD (27.4 trillion KRW). The IPO raised 3.3 billion USD (about 4.7 trillion KRW), making it the largest IPO in Indian history. This is the first instance of Hyundai’s overseas subsidiary being listed, and the funds raised from the IPO will be focused on investments in the Indian region, aiming to develop it as a strategic export hub to target emerging markets. This success is attributed to the trust Hyundai has built with India, as Chairman Chung Eui-sun has met with Prime Minister Modi more than six times since 2015 to discuss business collaboration. Currently, Hyundai Motor Group is focused on increasing production capacity, including the construction of Hyundai's third plant in the Pune region, which will implement smart manufacturing systems. The Pune plant is scheduled for completion in the second half of this year and will start with a production scale of 170,000 units in Phase 1, with plans to expand to a total production capacity of 250,000 units by 2028. In China, Hyundai Motor has set a "selection and concentration" strategy and plans to gradually increase production in the long term. The company is particularly focusing on increasing the production share of eco-friendly vehicles at its Chinese plants to boost both domestic and export volumes. In 2016, Hyundai operated five plants in China, but after the "THAAD dispute," it faced sales difficulties and now only has two plants remaining (Beijing 2 and 3 plants, with an annual production capacity of 750,000 units). Hyundai is now focusing on expanding production at these remaining plants. In December of last year, Hyundai decided to invest 1.1 billion USD (approximately 1.6 trillion KRW) in its joint venture Beijing Hyundai with its Chinese partner Beijing Automotive Group (BAIC). Through this investment, Hyundai aims to introduce its first dedicated electric vehicle model in China this year and increase sales in the country to 400,000 units. Additionally, Hyundai has already expanded its export volume from zero in 2022 to over 45,000 units last year, and it plans to focus on further expanding its export markets. Kia also reduced its factories in China from three to two, but continues to operate them as production hubs for both local sales and future expansion into emerging markets. Last year, Kia's Chinese plants sold 170,317 units through overseas exports, accounting for 68.6% of its total sales (248,202 units). Vehicles such as the Pegas, Sonet, Seltos, and Sportage, produced at the Chinese plants, are being exported to regions including Latin America (Chile, Peru), Saudi Arabia, Vietnam, and the Philippines. SK Securities analyst Yoon Hyuk-jin stated, "Even if a 25% tariff is imposed, the expansion of production capacity and increased utilization rates at U.S. plants, along with the higher utilization rate at Kia's Mexican plant, can minimize the impact of the tariffs." However, he added, "To ensure production stability, employment security, and export competitiveness in Korea, it is crucial to make efforts to reduce tariffs as much as possible." Professor Kim Pil-su from Daelim University’s Department of Automotive Engineering noted, "Hyundai Motor Group is building a stable response system by increasing production in major global hubs," and added, "However, reducing reliance on the U.S. and expanding production bases to other countries will take some time." He also remarked, "A 25% tariff essentially means 'don't come to the U.S.,'" but he further pointed out, "President Trump is a negotiator aiming for an advantageous position, so this policy is unlikely to last long." ◆ Overcoming Crisis through 'Strategic Alliances'... Forging Future Mobility Technologies Hyundai Motor Group is further expanding its collaborations with global companies to secure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in areas such as eco-friendly and autonomous driving technologies, aiming to grow as a leading company in the future mobility market. First, Hyundai Motor Group garnered global attention by formalizing its collaboration with Samsung Electronics last month. On the 24th of last month, the two companies, the top two in South Korea, signed a "Strategic Business Agreement for Samsung SmartThings Pro-Kia PBV Business Collaboration" at the 'Kia EV Day' media event held at the Tarragona Arena in Spain. Kia decided to integrate Samsung Electronics' B2B customer-tailored solution, "SmartThings Pro," into its Purpose-Built Vehicle (PBV) business, which Kia has positioned as a new growth engine. Additionally, the two companies are pooling their efforts in building smart manufacturing solutions and collaborating on battery development. Hyundai Motor and Samsung SDI began collaborating on electric vehicle batteries in 2021, signed their first electric vehicle battery supply contract in 2023, and agreed to supply batteries for Hyundai's European electric vehicles starting in 2026 for a period of seven years. Recently, they have also expanded their cooperation to include batteries for robots. Hyundai Motor Group is accelerating its efforts to secure a leading position in the rapidly growing Software-Defined Vehicle (SDV) market. By next year, the group plans to complete the development of SDV test vehicles with autonomous driving as a core function, and then sequentially apply the technologies to mass-produced vehicles. Last month, Hyundai Motor Group entered into a partnership with Google to enhance its navigation and infotainment systems. Furthermore, earlier this year, the group formed a strategic partnership with NVIDIA to strengthen the application of AI in autonomous driving, SDVs, and robotics. Efforts to secure leadership in eco-friendly vehicle technologies are also ongoing. Last year, Chairman Chung Eui-sun met with Toyota Chairman Akio Toyoda to discuss strengthening cooperation in areas such as hydrogen and robotics between Japanese and Korean automakers. In October of last year, Hyundai Motor’s overseas subsidiary Boston Dynamics and Toyota's research institute, Toyota Research Institute (TRI), formed a partnership to develop AI-based humanoid robots, reflecting the growing collaborative atmosphere between the two companies. During this time, Chairman Chung stated regarding hydrogen collaboration with Toyota, "We are discussing hydrogen, and we aim to collaborate well together." Chairman Akio Toyoda also mentioned the possibility of further collaboration with Hyundai, saying, "We definitely need cooperation in the expansion of technologies and infrastructure related to carbon neutrality and the future of automobiles." In September of last year, Hyundai Motor Group signed a joint development agreement with GM, the largest automaker in the U.S., to collaborate on the development of passenger and commercial vehicles, as well as internal combustion, electric, and hydrogen vehicles. Hyundai Motor Group has announced that it will complete the final contract signing in the first quarter of this year. Chairman Chung Eui-sun's 'golden network' is also contributing to the group’s management in the global market. Last month, Chairman Chung had a two-hour golf meeting with Donald Trump Jr., the influential eldest son of U.S. President Donald Trump. This was likely not just a social meeting but a discussion closely tied to future business strategies. Chairman Chung is seeking to explore North American market opportunities through strengthened networks with the Trump administration. ◆ Leading Core Technologies: Hyundai Mobis... Securing Future Competitiveness Hyundai Mobis, a key subsidiary of Hyundai Motor Group, is focusing on securing core technologies for future mobility. This is aimed at ensuring not only the qualitative growth of Hyundai Motor Group but also securing stable demand sources in the unstable global market. Centered around its Mabuk Technology Research Center, Hyundai Mobis has 3,000 researchers working across six global R&D hubs (Mabuk, Uiwang, the U.S., Germany, China, and India), concentrating their efforts on securing key technologies in areas such as electrification and electronics. Based on these efforts, Hyundai Mobis has seen its sales nearly double in the past five years, reaching 60 trillion KRW. Despite challenges such as the COVID-19 pandemic and semiconductor supply issues, the company has maintained a steady annual sales growth of 17% in the 2020s, continuing to drive its progress. Hyundai Mobis is investing 2 trillion KRW in research and development (R&D) this year to secure core competencies in advanced technologies such as autonomous driving, electrification, infotainment, and connectivity. The goal is to differentiate product competitiveness and focus on diversifying its global customer base. This investment represents about a twofold increase compared to the 1.1 trillion KRW spent on R&D in 2021. In line with the increase in R&D spending, the number of R&D personnel has also been steadily growing. Hyundai Mobis' domestic and international R&D workforce, which was about 5,500 in 2020, grew by more than 30% to approximately 7,500 people last year. This expansion is directly tied to securing future competitiveness. From 2021, Hyundai Mobis has filed about 3,000 new patents in key future vehicle technologies such as electrification, autonomous driving, and connectivity over three years. These patents account for nearly 40% of the total 8,001 new patents filed by Hyundai Mobis in the past three years. Hyundai Mobis has ranked 6th in the global automotive parts industry for three consecutive years and has been named to the 'Most Admired Companies' list by the U.S. business magazine Fortune for two years in a row. ChatGPT를 사용하여 번역한 기사입니다.

2025-03-03 15:43:40 메트로신문 기자
기사사진
대선후보 선호도 조사, 이재명 46.3%-김문수 18.9%… 김문수·한동훈·홍준표 합쳐도 李 못넘어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변론기일이 종료되면서 본격적으로 조기 대선 국면에 접어드는 모양새다. 이런 가운데 여야 차기 대통령 선거(대선) 후보 선호도 조사에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가장 앞선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3일 나왔다. 또, 정권교체 여론도 과반에 달할 정도로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론조사 전문업체 리얼미터가 '에너지경제신문' 의뢰로 지난달 26~28일 차기 대선 후보 선호도 조사를 한 결과, 이재명 대표는 46.3%로 1위를 기록했다. 이어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 18.9%,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 6.9%, 홍준표 대구시장 6.8%, 오세훈 서울시장 5.1%의 지지도를 나타냈다. 그 뒤로는 유승민 전 국민의힘 의원 2.1%, 이낙연 전 국무총리 1.7%, 김동연 경기지사 1.4%, 김부겸 전 국무총리 1.3%, 김경수 전 경남지사 1.3% 순으로 집계됐다. 해당 조사에서 눈여겨볼 점은 보수 진영 대선주자 1~3위인 김문수 장관, 한동훈 전 대표, 홍준표 시장의 지지도를 합쳐도 32.6%로, 이재명 대표를 넘지 못한다는 것이다. 아울러 같은 조사에서 차기 대선 집권세력 선호도를 조사한 결과 '야권에 의한 정권교체' 의견은 55.1%로 과반에 달했다. '집권 여당의 정권 연장'이라는 응답은 39.0%로 집계됐다. 정권교체와 정권연장 응답의 격차가 16.1%포인트(p)로 크게 벌어졌다. 정당 지지도는 민주당 44.2%, 국민의힘 37.6%로 조사됐다. 민주당 지지도는 전주보다 3.1%포인트 오른 반면, 국민의힘은 5.1%포인트 하락해 양당 간 격차도 오차범위 밖으로 벌어졌다. 이같은 결과는 윤 대통령 탄핵심판이 어느 정도 마무리됐기 때문으로 보인다. 탄핵심판 변론기일이 진행되던 연초에는 극우를 중심으로 결집해 여당의 지지도가 오르는 상황도 있었다. 그러나 윤 대통령 탄핵심판 변론이 종료되면서, 조기 대선이 열릴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해져 여론도 변한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국민의힘 인사들이 극우 집회에 참석하고 헌법재판소를 비판하는 모습과 민주당의 '중도보수 정당' 정체성 언급 등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국민의힘 주요 인사들은 지난 1일 여의도에서 열린 탄핵 반대 집회에 대거 참석하는 등 극우 지지층에게 구애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 때문에 국민의힘이 현재 스탠스를 유지한다면 중도층의 마음이 돌아서 현재 여론 구도가 고착화될 수 있다는 예측이 나온다. 한편 이번 조사는 지난달 26~28일 3일간 전국 18세 이상 유권자 1506명을 대상으로 진행됐으며, 무선(100%) 자동응답 방식, 무작위생성 표집틀을 통한 임의 전화걸기 방법(RDD)으로 실시했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2.5%포인트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서예진기자 syj@metroseoul.co.kr

2025-03-03 15:42:19 서예진 기자
기사사진
자영업자·소상공인 한계 왔다...원금·이자 못 갚은 개인사업자 2년 만에 140% 급증

지속되는 경기 부진과 민간소비 위축으로 자영업자·소상공인들이 설 곳을 잃어가고 있다. 특히, 코로나19의 엔데믹화 이후 고금리 기조 속에 대출 원금과 이자 부담에 허덕이는데 장사가 되질 않는다. 이들 중 많은 이가 신용불량 및 폐업 위기에 내몰리고 있음을 각종 통계가 보여준다. 최근 신용평가사 나이스평가정보가 더불어민주당 이인영 의원에게 제출한 '개인사업자 채무 불이행자 현황' 자료에 따르면 개인사업자 가운데 금융채무 불이행자 수가 불과 2년 사이 갑절 이상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료에 따르면 3개월 이상 원리금 상환을 연체한 개인사업자 수는 지난 2022년 6만3031명이었다. 이후 2023년(11만4856명)에 10만 선을 넘어섰고 지난해 15만5060명까지 치솟았다. 2년 만에 146%나 늘어난 것이다. 같은 기간(2년간) 채무 불이행자들의 총 대출잔액도 11조2762억 원에서 30조7248억 원으로 170% 넘게 증가했다. 개인사업자 중 고령층의 채무 불이행이 특히 심각했다. 지난해 말 기준 60대이상 자영업자·소상공인의 금융기관 대출잔액은 372조4966억 원으로 1년 만에 24조7303억 원 증가했다. 같은 기간 20대이하(-1조9030억 원), 30대(-6조4589억 원), 40대(-12조9124억 원), 50대(-2조6843억 원) 등 다른 나이대에서 잔액이 줄어든 것과 대조를 보인다. 고령층 채무불이행자 수와 이들이 보유한 대출잔액 증가세도 가팔랐다. 지난 1년간 60대 이상 채무불이행자 수는 2만795명에서 3만1689명으로, 보유 대출금액도 5조1840억 원에서 7조8920억 원으로 각각 50% 넘게 급증했다. 고령층은 생계형으로 창업하는 경우가 많다. 상대적으로 수익성이 낮은 데다 '경기 침체'라는 직격탄을 맞으면서 타격이 가중된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 2020년 코로나19에 따른 경기 악화의 영향으로 빚을 더 떠안은 자영업자·소상공인이 많아졌다. 그러나 이후 정상화 과정에서 기준금리가 불과 1년 반(2021년 7월 0.5%→2023년 1월 3.5%) 사이에 3%포인트(p)나 인상됐고, 이자 부담을 버티지 못 하는 이들이 크게 늘어난 것이다. 게다가 민간소비 부진이 겹치면서 빚 상환 여력은 바닥을 치게 됐다. 통계청이 발표한 '2024년 연간 지역경제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소매판매(소비)는 1년 전보다 2.2% 감소했다. 2003년 신용불량대란 이래로 소비가 21년 사이 가장 큰 폭으로 줄어든 상황이다. 특히, 개인사업자 밀집지역으로 꼽히는 경기(-5.7%)와 인천(-5.0%)에선 감소 폭이 전국 평균을 크게 웃돌았다. 소매판매는 또 2022년부터 2024년까지 매년 줄었는데, 이 같은 3년 연속 감소세는 지난 1995년 관련 통계가 작성된 후 처음이다. 중소벤처기업부가 지난달 하순 공개한 '2023년 소상공인 실태조사' 보고서는 이들의 경영 지표가 전년(2022년)보다 악화했음을 보여준다. 벌어들인 돈은 감소한 반면 빚은 증가한 것. 2023년 기준 소상공인 기업체당 연 매출액은 1억9900만 원으로 2022년(2억3400만 원)보다 3500만 원 줄어들었다. 연간 영업이익 역시 2500만 원으로 2022년(3100만 원)에 비해 600만 원 줄었다. 이에 반해, 기업체 부채보유 비율은 60.9%으로 2022년(59.3%)보다 늘었고 기업체당 부채액도 1억9500만 원으로 2022년(1억8500만 원)보다 1000만 원 늘었다. 소상공인이 꼽은 경영애로(복수응답)는 경쟁심화(59.1%), 원재료비(42.1%), 상권쇠퇴(36.7%), 보증금·월세(25.6%), 최저임금(14.9%) 등으로 조사됐다. 이에 대해 중기부 관계자는 "2023년은 일상 회복이 진행됐음에도 불구하고, 부채 증가와 고금리·고물가 등으로 소상공인 경영여건이 여전히 녹록지 않았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소비심리는 이후 2024년에도 살아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12·3 사태로 인해 더욱 위축됐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가계의 월평균 지출 증가 폭(+2.5%)은 2021년 1분기(+1.6%) 이후 15분기 사이 가장 작은 수준에 머물렀다. 문제는 올해 전망 역시 밝지 않다는 것. 한국개발연구원(KDI)은 올해 민간소비가 작년보다 1.3% 늘어나는 데 그칠 것으로 봤다. 올해 1분기부터 금융당국과 은행권은 대출금 연체 및 폐업 위기에 처한 자영업자·소상공인을 대상으로 금융 지원을 준비 중이다. 25만 명을 대상으로 올해부터 연 7000억 원, 3년간 총 2조 원 상당의 지원을 실시한다고 발표한 바 있다. 금리를 낮춰주거나 최장 10년간 분할 상환할 수 있도록 채무조정을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또 사업을 정리한 후에도 남은 빚을 장기간에 걸쳐 낮은 금리로 갚을 수 있는 폐업자 저금리·장기 분할 상환 프로그램 등을 제공할 방침이다.

2025-03-03 15:32:15 김연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