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산업일반

한국 최대 배터리 축제 '인터배터리 2025' 관전 포인트는?

지난해 개최된 '인터배터리(InterBattery) 2024'에 참석한 삼성 SDI, LG 에너지솔루션, SK 온 을 포함한 기업 대표 및 임원들이 기념촬영 하고 있다./ 손진영기자

배터리 업계가 총출동해 차세대 기술을 선보이는 국내 최대 배터리 전시회 '인터배터리 2025'가 오는 5일부터 사흘간 서울 삼성동 코엑스 전관에서 열린다. 이번 전시회의 관전 포인트는 국내외 기업들의 혁신적인 기술력, 미니 한·중전, 글로벌 국가들과의 협력 강화 방안 등이 될 것으로 보인다.

 

3일 업계에 따르면 올해 13회째인 '인터배터리 2025'에는 688개 배터리 기업이 2330개 부스를 설치하는 등 전년보다 참가 규모가 20% 이상(전시면적 기준) 늘어나, 역대 최대 규모이다. 이번 전시회의 첫번째 관전 포인트는 K-배터리 기업들의 캐즘(일시적 수요 정체) 극복책 마련이다.

 

◆K-배터리 초격차기술 한자리

 

LG에너지솔루션은 차세대 원통형 배터리라 불리는 '46시리즈'를 처음으로 공개한다. 46시리즈는 지름이 46㎜인 원통형 배터리로 기존 2170(지름 21㎜, 높이 70㎜) 배터리 대비 에너지와 출력을 최소 5배 이상 높여 차세대 배터리로 평가된다. 또한 자사 배터리가 탑재될 미 태양광 전기차 스타트업 '앱테라 모터스'의 태양광 모빌리티 차량도 전시한다.

 

삼성SDI는 최근 상품화 적용 검토를 완료한 '열 전파 차단(No-TP)' 기술을 선보인다. No-TP는 배터리 제품의 특정 셀에 문제가 발생했을 때 셀과 셀 사이에 설치한 안전 소재가 다른 셀로 열이 전파되는 것을 물리적으로 막아주는 기술이다. 삼성SDI만의 독자적인 열전파 성능 예측 프로그램(TPc)을 통해 제품 기획 단계에서부터 열전파 방지를 위한 최적의 구조 설계가 가능하다. 또한 '꿈의 배터리'로 불리는 전고체 배터리(ASB) 개발 현황도 소개할 예정이다.

 

SK온은 3대 배터리 폼팩터(형태)인 파우치형, 각형, 원통형을 모두 전시할 예정으로 원통형 실물 모형은 이번 행사에서 처음 공개할 예정이다. 최근 각광받고 있는 고전압 미드니켈 배터리도 공개한다. 미드니켈 배터리는 니켈·코발트·망간(NCM) 배터리에서 니켈 함량이 50~70%인 제품으로 가격 경쟁력이 높아 전기차 시장에서 주목받고 있다.

 

또한 SK엔무브와 함께 배터리 안전성 및 성능을 크게 개선하는 전기차용 '액침냉각' 기술'을 선보인다. 액침냉각은 절연성 냉각 플루이드를 배터리 팩 내부에 순환시켜 열을 효과적으로 방출하는 시스템이다. 급속충전 등 발열이 심한 상황에서 배터리 셀 온도를 일정 수준 이하로 유지하면 열 폭주 발생을 막을 수 있어 화재나 폭발 위험성이 크게 낮아 전기차시장에서 주목하고 있다.

 

한국배터리산업협회 관계자는 "이번 전시회 특징은 캐즘 극복을 위한 다양한 전략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다는 것"이라며 "최근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는 공급망을 강화하기 위한 기업의제품·기술과 부대행사에도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고 말했다.

 

박태성 한국배터리산업협회 상근부회장이 지난달 인터배터리 2025 사전 미디어 데이 및 어워즈에 참석해 환영사를 하고 있다./한국배터리산업협회

◆미니 한·중전 예고…글로벌 국가 협력 중요

 

이번 전시회에는 역대 가장 많은 해외 기업과 기관이 참가한다. '인터배터리 2025'에 참가하는 해외기업은 172개로 지난해(115개)대비?49.5% 늘어났다.

 

특히 세계 최대 전기차 업체이자 배터리 제조 2위인 중국 BYD, 글로벌 배터리 출하량 9위인 EVE에너지가 처음으로 참여해 미니 한·중전을 예고하고 있다.

 

글로벌 전기차 및 에너지저장장치(ESS) 배터리 시장에서 중국 업체들의 점유율은 무섭게 상승하고 있다.

 

지난해 기준 글로벌 전기차 및 에너지저장장치(ESS) 배터리 시장에서?점유율 10위권 내 중국 업체 6곳(CATL·BYD·CALB·EVE·고션·선와다)의 합산 점유율은 74%로 지난 2023년(63%)대비 11% 증가했다.

 

저가형 리튬인산철(LFP) 배터리의 빠른 확산을 무기로 글로벌시장을 장악하고 있는 가운데 이번 인터배터리 2025'에서도 BYD와 EVE는 LFP 배터리를 선보일 것으로 보인다.

 

미국과 유럽, 일본 등 주요국들도 이번 인터배터리에 참가해 우리나와 배터리 협력 강화 방안을 모색할 예정이다.

 

미국은 한국 배터리 업체 주요 고객사 중 하나다. 미·중 무역 갈등이 지속될 경우 글로벌 배터리 산업은 '지역 생산 및 공급망 다각화'로 전환 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미국 내 생산 시설 확충이나 현지 파트너십을 통해 시장 진출을 적극적으로 모색해야 한다. 인터배터리에 미 연방정부와 주정부·투자청이 참가하는 만큼 한·미 풀뿌리 배터리 협력을 더욱 강화할 것으로 보인다.

 

이밖에더 유럽지역 배터리 단체 RECHARGE와 주한노르웨이대사관, 네덜란드 정부, 독일 프라운호퍼 등이 인터배터리에 참가해 EU의 배터리 산업 현황과 배터리 정책 동향을 소개하고 일본 배터리 단체 BASC도 인터배터리를 찾아 한일 양국의 글로벌 배터리 규제 대응 전략을 공유할 예정이다.

 

전시회 1일차인 5일에는 배터리 전후방 산업 최신 동향을 논의하는 '더 배터리 컨퍼런스 2025'가 준비되어 있고, 2일차에는 '미국 배터리 포럼' 3일차에는 '한-독 배터리 세미나'와 '글로벌 배터리 광물 세미나'가 예정되어 있는 만큼 관련 업계의 관심이 높다.

 

박태성 한국배터리산업협회 상근부회장은 "인터배터리 2025는 배터리 캐즘, 중국저가 물량 공세 및 트럼프 2기 정부 출범 등 불확실한 대외 환경에 대응하기 위한 우리 배터리 기업의 극복 전략과 다가올 슈퍼사이클에대비하는 K-배터리의 기술 전략을 확인하는 자리가 될 것"이라며 "소개되는 최신 기술과 시장정보, 그리고 업계전문가와의 네트워킹이 새로운 기회와 도약을 모색하는 모든 기업에게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