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김현정
'日추가 양적완화에' 지난주 국내주식펀드 약세…日펀드 6% 급등

일본의 추가 양적완화로 국내주식펀드는 지난주에 이어 약세를 이어간 반면 해외주식펀드는 호조를 보였다. 펀드평가사 KG제로인이 7일 오전 공시된 기준가격으로 펀드 수익률을 조사한 결과, 전체 국내주식형펀드는 한 주간 1.20% 하락했다. 소유형 기준으로 모든 유형의 펀드가 하락했다. 중소형주식펀드가 -3.44%의 수익률로 가장 부진했고 일반주식펀드와 배당주식펀드가 각각 1.89%, 1.17% 내렸다. 대형주 비중이 높은 K200인덱스펀드도 -0.66%로 약세를 면치 못했다. 그외 일반주식혼합펀드와 일반채권혼합펀드는 각각 -0.72%, -0.70%의 수익률을 기록했다. 절대수익추구형 펀드인 채권알파와 공모주하이일펀드는 각각 0.11%, 0.08% 상승했다. 반면 시장중립형펀드는 0.65% 하락했다. 순자산액(클래스 합산) 100억원 이상, 운용기간 1개월 이상인 국내주식펀드 1675개 펀드 중 플러스 수익률을 달성한 펀드는 71개에 불과했다. 코스피 수익률을 웃돈 펀드는 620개였다. 바이오헬스케어 관련주식에 50%이상을 투자하는 '미래에셋TIGER삼성그룹상장지수(주식)' 펀드가 한 주간 3.00% 상승하며 성과 최상위에 자리했다. 뒤를 이어 동일 유형인 '삼성당신을위한삼성그룹밸류인덱스자 1[주식](A)', '한국투자삼성그룹적립식 2(주식)(A)' 등 삼성그룹주 펀드가 2% 이상의 성과를 기록하며 상위권을 점했다. 삼성그룹주 펀드가 성과 상위 10워권을 모두 석권했다. 반면 현대차그룹의 주가가 엔저와 삼성동 부지 낙찰, 미국에서의 연비관련 제재 등으로 인해 급락하면서 '우리현대차그룹과함께자 1[주식]A1' 펀드가 한 주간 -6.05%로 주간 성과 최하위를 기록했다. 이어 헬스케어 펀드인 '동부바이오헬스케어 1[주식]ClassA' 펀드와 'IBK중소형주코리아자[주식]C1' 펀드도 5% 이상 하락하면서 하위권에 머물렀다. ◆기관·외인 '사자'에 채권형펀드 상승 국내 채권시장은 미국 국채금리 하락과 더불어 일본의 추가 양적완화 시사 등으로 기관과 외국인이 국채선물 매수를 확대하면서 상승세를 지속했다. 채권금리가 전반적으로 하락한 가운데, 중기물의 하락폭이 상대적으로 컸다. 이에 채권펀드는 한 주간 0.20%의 수익률로 좋은 모습을 보였다. 소유형 가운데 중장기물 중심으로 운용하는 중기채권펀드가 0.29%의 수익률로 채권형펀드 중 가장 성과가 높았다. 이어 우량채권펀드와 일반채권펀드가 동일하게 0.22%의 수익률을 기록했다. 단기물 중심으로 운용하는 초단기채권과 MMF도 각각 0.08%, 0.04%의 수익률을 보였다. 한 주간 채권형펀드 모든 유형이 양호한 성과를 냈다. 순자산액(클래스 합산) 100억원 이상, 운용기간 1개월 이상인 180개 국내채권형 펀드 가운데 모든 펀드가 플러스 성과를 기록했다. 11개 펀드를 제외한 모든 펀드가 KIS채권지수(1년 종합) 수익률을 웃돈 것으로 집계됐다. 한 주간 채권 듀레이션이 상대적으로 긴 펀드들이 주간 성과 상위권의 대부분을 차지했다. 'KIS KTB 10Y Index(KIS 10년 국고채 지수)'의 2배를 추종하는 '우리KOSEF10년국고채레버리지상장지수[채권-파생]' 펀드가 0.72%의 수익률로 주간 성과 1위를 기록했다. 이어 'KB스타막강국공채자(채권)C' 펀드, 'NH-CA국채10년인덱스자[채권]Class A' 펀드가 각각 0.39%의 수익률을 기록하며 상위권을 차지했다. 반면 단기물에 투자하는 '미래에셋TIGER유동자금상장지수(채권)', '한국투자KINDEX단기자금상장지수(채권)' 펀드 및 '하나UBS 4[어음]'펀드가 동일하게 0.05%의 수익률을 기록하며 성과 최하위에 자리했다. 다음으로 '삼성KODEX단기채권상장지수[채권]' 펀드, 'KB KStar단기통안채상장지수(채권)' 등 초단기채권 펀드가 각각 0.07%의 수익률로 주간 성과 하위권을 차지했다. ◆해외주식펀드 유럽 추가 경기부양 기대감과 미 고용지표 호조에 상승 지난주 글로벌 증시는 유럽중앙은행(ECB)의 추가 경기 부양 기대감과 미국 고용 지표 호조에 투자심리가 살아났다. 특히 일본중앙은행(BOJ)이 추가 양적완화를 결정하면서 유럽이 추가 대책을 내놓을 것이란 기대감이 커졌다. 지난 한 주간 해외주식펀드 수익률은 1.34%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일본의 엔저 약세가 최고치를 달하면서 일본주식펀드의 수익률은 직전주의 두 배인 6.60%로 가장 성과가 높았다. BOJ의 추가 양적완화 결정으로 엔화 약세가 2008년 연초 이후 최고 수준에 도달했고 일본 증시도 상승 탄력을 받았다. 반면 자금이 선진국으로 유입되자 프론티어마켓주식펀드는 -1.07% 수익률을 기록했다. 해외주식형 소유형 기준으로 프론티어마켓주식펀드와 기초소재섹터펀드를 제외한 모든 유형이 플러스 성과를 냈다. 해외주식혼합형 펀드는 1.38%, 해외채권혼합형 펀드는 0.71% 수익률을 나타냈다. 커머더티형 펀드는 기초소재섹터의 부진으로 4.02% 수익률로 하락했다. 섹터별로는 금융섹터펀드가 4.25%로 가장 높은 성과를 거뒀다. 그외 인도주식펀드는 5.52% 상승했다. 일본 양적완화 결정의 수혜를 고스란히 받으면서 인도 증시는 연중 최고치를 경신했다. 브라질주식펀드도 상승세로 돌아서 4.39%의 수익률을 기록했다. 유럽주식펀드는 유로존 경제지표 부진에도 불구, ECB의 추가 양적완화 가능성에 2.47% 상승했다. 북미주식펀드는 다우지수와 S&P500;지수가 연일 사상최고치를 갈아치우면서 2.09% 올랐다. 지난달 미국 ISM 제조업지수와 ADP 민간 고용 지표가 예상치를 웃돌면서 다우지수는 올 들어 20번째 최고치 신기록을 세웠다. 중국주식펀드는 0.55% 수익률로 전주에 이어 소폭 상승했다. 중국 국무원의 내수살리기 정책 조치와 홍콩 행정장관의 조속한 후강퉁 시행의지 발언, 일본 금융완화 등의 정책 호재에도 불구, 차익실현 매물이 쏟아져나오면서 상승폭을 제한했다. 러시아주식펀드는 0.12% 수익률을 기록했다. 우크라이나의 지정학적 우려에 러시아 증시가 나흘 연속 약세를 보이며 하락폭을 연일 크게 확대했다. 다만 러시아 상장지수펀드(ETF)에 석달 연속 자금 유입이 들어오며 지수 하단을 떠받쳤다.

2014-11-08 17:02:38 김현정 기자
기사사진
삼성SDS 주가 얼마나 오를까…"최고 50만원" 전망

삼성SDS의 공모주 청약이 마무리되면서 오는 14일 상장 후 주가에 시장의 관심이 쏠렸다. 일각에서는 최고 50만원까지 전망하는 한편, 시장의 기대감이 지나치게 높다며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7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증시 전문가들은 삼성SDS가 삼성 지배구조 개편 작업의 중심축에 있으며 실적 성장 가능성도 크므로 기업가치가 상승한다는 쪽에 무게를 실었다. 업계에서는 삼성SDS가 상속세 납부와 관련,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의 현금 확보 창구로 활용될 것으로 관측한다. 이로 인해 지배구조상 그룹 차원에서 삼성SDS의 주가가 올라야 할 당위성이 있다. 또 삼성SDS는 삼성전자와 삼성중공업, 삼성물산 등 그룹 계열사들과의 시스템통합작업(SI)과 외주 계약을 맺고 있어 이익구조가 안정적이다. 가령 삼성전자 물류의 50%를 삼성SDS가 담당하고 있다. 시장에서는 삼성SDS가 상장으로 조달한 자금으로 해외 시장에 진출한다는 계획에도 기대감을 표했다. 일부 증권사에서는 삼성SDS의 실적과 향후 성장 가능성만을 고려해도 6개월 후 주가가 현 장외가격과 비슷해질 수 있다고 전망한다. 증권사별로 제시하는 목표주가는 유안타증권이 최고가인 50만원을 제시했고 하이투자증권과 KTB투자증권이 각각 36만원, 35만원을 예상했다. 다만 일각에서는 우려의 시각도 드러냈다. 과거 2010년 삼성생명 공모 당시에도 주가 상승 기대감에 대거 투자자들이 몰렸지만 정작 상장 후 주가 흐름이 부진했던 사례를 떠올린다. 삼성SDS의 장외주가에 거품이 꼈거나 공모 청약이 과열됐을 가능성을 제기하는 것이다. 삼성그룹이 삼성SDS 주식을 재원으로 활용하기 위해 상장 직후 곧바로 매도 물량을 내놓을 수 있다는 주장도 나온다. 지난 5~6일 이틀간 진행된 삼성SDS의 공모주 청약에서 최종 청약 경쟁률은 134.19대 1로 세자릿 수를 기록했다. 청약 증거금으로는 15조5520억3010만원이 몰렸다. 과거 삼성생명 공모 당시의 마감 경쟁률인 40.60대 1을 크게 앞질렀으나 2010년 삼성생명의 최종 청약 증거금 규모(19조2216억원)엔 미치지 못했다. 그러나 1999년 공모한 KT&G(11조5746억원)와 2006년 만도(6조2067억원), 2007년 삼성카드(5조9570억원), 2006년 미래에셋증권(5조7987억원) 등의 청약 증거금 규모는 크게 웃돌았다.

2014-11-07 09:11:48 김현정 기자
기사사진
삼성SDS 공모주 청약 최종경쟁률 134대 1…15조 몰려 '흥행 대박'

삼성SDS 공모주 청약 이틀째이자 마지막 날인 6일 최종 청약 경쟁률이 세자릿수를 기록했다. 상장 주관사인 한국투자증권에 따르면 이날 공모물량 121만9921주 모집에 1억6370만5580주의 청약이 접수돼 경쟁률이 134.19대 1로 나타났다. 청약 증거금으로는 지금까지 15조 5520억 3010만원이 몰렸다. 이번 공모에 대한 투자자들의 관심은 전례 없이 높았다. 이전까지 비슷한 규모의 공모에서 청약 경쟁률이 100대 1을 넘긴 경우는 찾아보기 어렵다. 2000년 이후 유가증권시장 기준 공모 규모가 컸던 상위 5개사(삼성생명·대한생명·롯데쇼핑·현대로템·우리금융지주) 중 가장 청약 경쟁률이 높았던 롯데쇼핑의 경쟁률이 77.04대 1이었다. 청약 증거금 규모로는 삼성생명 공모 사례에 이어 역대 2위를 차지했다. 삼성SDS는 과거 삼성생명 공모 당시의 마감 경쟁률인 40.60대 1을 크게 앞질렀으나 2010년 삼성생명의 최종 청약 증거금 규모(19조2216억원)엔 미치지 못했다. 그러나 1999년 공모한 KT&G(11조5746억원)와 2006년 만도(6조2067억원), 2007년 삼성카드(5조9570억원), 2006년 미래에셋증권(5조7987억원) 등의 청약 증거금 규모는 크게 웃돌았다. 증권사별로 신한금융투자의 경쟁률이 157.67대 1로 가장 높았고, 삼성증권(143.55대 1), 하나대투증권(140.39대 1), 한국투자증권(127.88대 1), 동부증권(102.75대 1) 순이었다. 한국투자증권에 1인당 최고 청약한도인 6만주(우대고객 기준·증거금 57억원)를 모두 청약한 투자자의 경우 약 469주를 가져가게 된다. 배정 주식수는 청약 주식수를 해당 증권사의 청약 경쟁률로 나눠 계산한다. 같은 증권사에 9500만원어치를 청약한 투자자는 7주를 배당받게 된다. 이번 공모에서 일반 투자자에게 배정되는 물량은 전체 공모주(609만9604주)의 20%였다. 공모가는 기관 투자자 대상 수요예측을 거쳐 19만원으로 확정됐다. 앞서 지난달 29∼30일 실시된 기관 수요예측 결과 경쟁률은 651.5대 1에 달했다. 투자자들은 5일부터 이틀간 상장 주관사인 한국투자증권을 비롯해 삼성증권, 신한금융투자, 하나대투증권, 동부증권 등 5개 증권사를 통해 공모주를 청약했다. 각 증권사에 배정된 물량은 한국투자증권이 65만8757주, 삼성증권이 45만1370주, 나머지 증권사가 각각 3만6598주였다. 한국투자증권의 최종 경쟁률은 127.88대 1로 집계됐다. 삼성SDS의 상장 예정일은 오는 14일이다.

2014-11-06 17:46:20 김현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