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김현정
올해 G20 증시 '꼴찌' 러시아…코스피도 끝에서 두번째

올해 주요 20개국(G20) 증시 가운데 최근 심각한 경제 위기를 겪은 러시아가 가장 나쁜 성적을 올린 것으로 나타났다. 코스피도 러시아 다음으로 부진한 수익률을 기록했다. 28일 금융투자업계와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러시아 RTS지수는 연초부터 지난 26일까지 42.57% 폭락했다. 러시아 증시는 서방 제재와 국제 유가 급락에 따른 경제 위기의 여파로 크게 휘청였다. 코스피는 3.14% 하락하며 뒤를 이었다. 최근 헤알화 가치가 9년9개월 만의 최저치로 떨어지며 경제 불안을 겪는 브라질의 보베스파지수(-2.65%)도 코스피보다 선방했다. 20개국 중 러시아, 한국, 브라질, 영국 등 4개국 증시만 올 들어 마이너스 수익률을 기록했다. 그외 나머지 증시는 올해 플러스 수익률을 실현했다. 중국 상하이종합지수가 49.23%로 가장 많이 올랐고, 인도 센섹스지수(28.68%), 터키 BIST 100지수(25.29%) 등도 강세를 보였다. 이어 미국 스탠다드앤드푸어스(S&P)500지수(13.01%), 일본 토픽스지수(9.61%), 독일 DAX지수(3.87%) 등 선진국들도 대체로 호조를 나타냈다. 특히 경제 구조 등의 여러 측면에서 한국과 유사한 대만의 경우, 가권지수가 6.88% 상승하며 코스피와 뚜렷한 대조를 드러냈다. 증시 전문가들은 코스피가 글로벌 증시에서 극심한 부진을 나타낸 이유에 대해 삼성전자, 현대차 등 대장주들의 기업 이익이 감소하고 중국의 추격, 국제유가 급락 등이 발목을 잡은 것으로 분석했다.

2014-12-28 10:40:28 김현정 기자
기사사진
내년 증시 강타할 그레이스완은?

내년 글로벌 증시에서 꼭 알아야 할 10가지 리스크는 무엇일까? 다우지수가 사상 첫 1만8000선을 돌파하는 등 거침없는 강세장이 이어지고 있지만 그만큼 급락에 대한 투자자들의 불안도 높다. 월가 전문가들은 2015년 증시에서 복병으로 숨어있는 잠재 위험요소, 일명 '그레이스완(gray swan)' 10가지를 제시했다. 지난 2007년 증시 대폭락과 글로벌 금융위기를 예측했던 '블랙스완(black swan)'과 비슷한 개념이다. 다만 블랙스완이 극단적으로 예외적이어서 발생 가능성이 거의 없는 것처럼 보이지만 일단 발생하면 충격과 파급효과가 엄청난 사건을 일컫는 것과 달리, 그레이스완은 어느 정도 예측할 수 있는 사건을 지칭한다. 발생 후 파장이 크며 마땅한 해결책이 없다는 점에선 블랙스완 못지 않은 복병으로 여겨진다. 주요 외신에 따르면 내년 가장 우려되는 그레이스완은 미 연방준비제도(연준)의 정책 에러 가능성이다. 연준은 내년 기준금리 인상 시기를 놓고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상황에 봉착할 수 있다. 금리 인상을 너무 빨리 시행하면 경기 회복을 망칠 수 있고, 그렇다고 인상 시기를 늦추면 추후 인플레이션을 따라잡기 위해 공격적으로 금리 인상을 해야 할 궁지에 몰릴 딜레마에 빠졌다. 내년 국제 유가가 급반등세로 돌아설 가능성도 우려 요인이다. 공급 과잉과 수요 둔화 속에 반토막 난 국제 유가 가격이 갑자기 급등세로 돌아서면 충격이 클 것이란 전망이다. 리비아 등 정정불안이 심한 산유국에서 원유 수출 재중단과 같은 예기치 않은 사건이 벌어지면 최근 공급과잉 사태가 반전될 수 있다. 그리스발 유럽 위기가 재현될 가능성도 있다. 내년 초 그리스의 조기 총선에서 긴축 정책 반대, 유럽연합(EU) 탈퇴를 주장하는 정당인 시리자(급진좌파연합)가 집권할 경우, 추가 구제금융 협상이 무산되면서 디폴트를 맞을 우려가 제기됐다. 그 외에 사이버 전쟁과 금융시장 유동성 증발, 신흥국 외환위기, 우크라이나 전쟁 가능성, 에볼라 확산, 테러 위협, 중국과 일본간 영유권 분쟁 등이 내년 증시를 위협할 그레이스완으로 꼽혔다. 한편 러시아 위기가 향후 블랙스완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주장도 나와 눈길을 끈다. 데이비스 스탁맨 전 백악관 예산관리국(OMB) 국장은 이달 중순 매체 인터뷰를 통해 러시아발 지정학적 불안이 시장에 잠재적 충격을 줄 수 있다고 우려했다. 그는 "러시아로 인해 야기된 불안으로 미국 뉴욕증시가 수백포인트 이상 하락할 수 있다"며 "지난 2009년 초부터 생성된 자산버블이 터지기 직전 상황까지 와 있다"고 경고했다.

2014-12-28 09:04:10 김현정 기자
내년 주총 전자위임장 교부 허용·섀도보팅 3년 유예

내년부터 주주총회에서 전자적 시스템을 통한 위임장 용지의 교부를 할 수 있게 된다. 전자투표와 의결권 대리행사 권유를 한 회사에 한해 '섀도보팅' 제도를 오는 2017년 말까지 활용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 금융위원회는 26일 이런 내용을 골자로 한 새해부터 달라지는 금융제도를 소개했다. 우선 의결권 대리행사 권유자는 인터넷 홈페이지를 통해 위임장과 참고서류를 전자적으로 교부할 수 있게 된다. 지금까지 의결권 대리행사를 권유하기 위해 위임장 용지를 교부하려면 대면교부나 우편, 팩스, 이메일만 이용할 수 있었다. 상장법인의 합병가액을 산정할 때 적용받는 할인·할증 범위는 기준시가의 10% 범위에서 30% 범위 내로 확대된다. 다만 10%를 초과해 할인·할증이 이뤄지면 외부평가기관의 가격평가를 의무적으로 받아야 한다. 계열사 간 합병은 종전대로 10% 범위의 규정 적용이 유지된다. 상장법인이 주주의 주식매수청구권 행사를 위해 보유한 자기주식을 처분해야 하는 기한도 종전 3년 이내에서 5년으로 늘어난다. 당초 새해부터 사라질 예정으로 논란이 일었던 섀도보팅제는 시장혼란 등을 이유로 폐지가 3년간 유예됐다. 섀도보팅제는 의결정족수 미달로 주주총회가 무산되는 것을 막기 위해 발행사의 요청으로 예탁결제원이 불참한 주주들을 대신해 중립적으로 의결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한 제도다. 증권·선물사의 자기자본규제 산출체계도 바뀌게 됐다. 영업용순자본비율(NCR) 산출체계를 '필요유지자본 대비 순자본(영업용순자본-총위험액)'으로 변경해 NCR 유지를 위해 위험액 1억원 증가 시 1억원의 자본만 필요하도록 했다. 기존 NCR 산출체계에서는 분모에 총위험액이 분모에 반영됐다. 이에 따라 증권·선물사가 현 수준의 NCR 비율을 유지하려면 항상 위험액 증가분보다 많은 영업용순자본을 추가로 확보해야 했다. 금융투자업자의 퇴임 임원이나 퇴직 직원에 대한 퇴직자 상당(계속 재직했을 때 받았을 것으로 예상되는 제재) 통보의 대상을 현행 해임요구·면직요구에서 정직·감봉·문책 등 모든 제재 조치로 확대한다. 금융회사가 퇴직연금 운용 시 자사의 원리금 보장상품을 편입하는 한도는 내년 1월부터 50%에서 30%로 축소하고 내년 7월부터는 편입 자체가 아예 금지된다.

2014-12-26 19:01:49 김현정 기자
한번 신청으로 모든 금융마케팅 수신거부, 내년부터 정식 가동

단 한 번의 신청으로 전화·문자를 포함한 금융회사의 마케팅 목적 연락을 모두 수신거부할 수 있는 금융권 연락중지청구전화(두낫콜·Do-not-call)가 내년부터 정식 운영된다. 26일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새해부터 두낫콜을 포함해 여러 금융제도가 달라진다. 먼저 두낫콜은 지난 9월부터 이달까지 시범운영한 뒤 내년부터 공식 운영에 들어간다. 해당 홈페이지(www.donotcall.or.kr)에 신청하면 모든 금융사의 마케팅 연락이 간편하게 중단된다. 내년 3월부터는 ATM에서 마그네틱신용카드를 이용한 카드대출을 할 수 없다. 마그네틱신용카드의 위·변조 사고 등을 예방하기 위한 차원으로 IC신용카드만 사용가능하다. 보험금청구권이나 보험료 또는 환급금반환청구권 소멸시효는 기존 2년에서 3년으로 1년 늘어난다. 대출 만기 통지 시기는 빨라져 원칙적으로 만기 1개월 이전에 대출 만기도래 사실을 통지하고 고객의 대출연장 신청시 만기 7일 이전에 심사결과를 통지하기로 했다. 상속인 관련 서류는 은행마다 달라 번거롭다는 지적에 따라 공통 기준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은행 홈페이지에서 소액 상속예금과 금융거래조회 등 처리 절차도 안내한다. 납부자 자동이체 서비스는 소비자 선택권 확대를 위해 당일출금·당일입금이 가능한 예약이체 서비스를 신설하기로 했다.

2014-12-26 18:31:10 김현정 기자
[인사] 미래에셋증권

[인사] 미래에셋증권 ■전보 ◇부문대표 ▲WM부문 최경주(崔敬周) ▲기업RM1부문 이만희(李晩熙) ▲기업RM2부문 이만열(李滿烈) ▲투자솔루션부문 류혁선(柳奕善) ◇본부장 ▲모바일BIZ본부 윤성범(尹盛凡) ▲감사실 김종철(金鍾喆) ▲경영혁신본부 성필규(成泌奎) ◇팀장 ▲금융소비자보호팀 양승연(梁勝然) ▲스마트금융센터 김중석(金重錫) ▲리테일기획팀 김범규(金範圭) ▲스마트자산관리팀 양상철(楊相喆) ▲경영전략팀 강경탁(姜炅卓) ▲기금컨설팅팀 김우식(金祐湜) ◇지점장 ▲압구정지점 이광헌(李廣憲) ▲강남롯데지점 김상철(金尙徹) ▲전주지점 김현일(金賢一) ▲분당지점 강효식(姜孝植) ▲구의지점 전진희(全眞希) ▲WM센터원 이상호(李相鎬) ▲명동지점 신인기(申仁淇) ▲정자동지점 남희정(南希姃) ▲방배지점 김남영(金南榮) ▲강남구청지점 노정숙(盧貞淑) ▲평택지점 조준기(趙俊紀) ▲잠실지점 김기영(金起永) ▲원주지점 이병일(李炳一) ▲남인천지점 강현태(姜顯泰) ▲서초지점 양병한(梁柄漢) ▲청주지점 민혁기(閔赫基) ▲강서지점 최태현(崔泰鉉) ▲수유지점 김철훈(金徹勳) ▲천안지점 우재형(禹在炯) ▲남천동지점 박성배(朴成培) ▲수지지점 김영빈(金榮彬) ▲서초남지점 표성진(表城鎭) ▲부천지점 이소훈(李素勳) ▲제주지점 양상진(梁相珍) ◇브라질법인 ▲대표 이원찬(李元讚)

2014-12-26 16:40:34 김현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