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전국 50곳, 3만9658가구 분양...월간 최다
올 7월 전국에서 50곳, 총 3만9658가구의 아파트가 나올 예정이다. 이는 지난달 1만3331가구의 약 3배에 달한다. 수도권 분양계획 물량은 올해 월간 최다 수준인 1만8625가구다. 4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미분양 우려가 상대적으로 큰 지방에서는 이보다 많은 2만1033가구가 예정돼 있다. 공사비 상승과 금융비용 부담 등으로 더 이상 분양 연기가 어려운 상황이다. 상반기 분양시장은 고금리와 경기부진, 자금조달 어려움, 미분양 리스크 등으로 위축된 흐름을 보였다. 올해 상반기(1~6월) 전국 아파트 분양실적은 7만4597가구로,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 상반기 6만8776가구 이후 최소치를 기록했다. 공급속도 조절, 할인분양 등에 힘입어 미분양 물량이 2월 고점을 찍은 후 감소했고, 정부의 규제 완화로 수도권을 중심으로 부동산 시장의 분위기가 살아나고 있다. 6월 이후부터는 물량이 풀리는 분위기다. 올해 하반기에는 상반기 실적 대비 3배 이상 많은 23만4937가구(월 미정 물량 포함)가 공급을 앞두고 있다. 이에 따라 7월 이후 청약 수요자들의 선택지가 다양해질 전망이다. 시도별로 7월 분양계획 물량은 ▲경기 1만680가구 ▲서울 5641가구 ▲부산 5120가구 ▲광주 4345가구 ▲강원 4331가구 ▲인천 2304가구 순이다. 경기는 '광명센트럴아이파크(1957가구)', '시흥롯데캐슬시그니처(2133가구)'를 비롯해 총 16개 단지가 분양을 앞두고 있다. 서울은 '힐스테이트e편한세상문정(1265가구)', '롯데캐슬이스트폴(1063가구)' 등 7월에만 9개 단지로 월간 최다 물량이 공급될 계획이다. 부산은 올 들어 부산 최대 규모인 '대연디아이엘(4488가구)'이, 광주는 '힐스테이트신용더리버(1647가구)' 등이 이달 공급된다. 반면 대구, 세종, 전남, 충남 등 4개 지역은 분양예정 단지가 없다. 서울 및 수도권을 중심으로 매수심리가 움직이면서 청약시장도 되살아나는 분위기다. 분양가 상승 전망으로 시세 보다 저렴하게 공급되는 사전청약에 대한 관심이 이어졌다. 거주지역 및 보유주택 수 제한이 풀린 후, 무순위 청약에서 기록적인 경쟁률이 나오기도 했다. 올해 상반기 전국 아파트 평균 청약경쟁률은 8대 1로, 2022년 하반기 4대 1에 비해 높아졌다. 건설사들은 하반기 밀어내기 분양에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입지 및 가격경쟁력이 높은 단지로의 수요 쏠림이 심화되고 있어 청약 온기가 전국적으로 확산되기는 어려울 전망이다. 주요 단지로 현대엔지니어링과 DL이앤씨 컨소시엄은 서울 송파구 문정동 일대에서 '힐스테이트e편한세상문정' 재건축아파트 49~84㎡, 1265가구 중 49~74㎡, 296가구를 일반분양한다. 지하철 3호선 경찰병원역, 5호선 개롱역, 8호선 문정역을 이용할 수 있다. HDC현대산업개발은 경기 광명시 광명동 일원에서 '광명센트럴아이파크' 39~113㎡, 1957가구 중 425가구를 일반분양한다. 지하철 7호선 광명사거리역을 걸어서 이용할 수 있고, 서부간선도로, 제2경인고속도로로 차량 진입이 용이하다. 롯데건설과 HDC현대산업개발은 부산 남구 대연동 일원에서 대연3구역을 재개발한 '대연디아이엘' 38~115㎡ 4488가구 중 59~99㎡ 2382가구를 일반분양한다. 부산 지하철 2호선 못골역과 지게골역이 단지 앞에 위치하고 있다. /이규성기자 peace@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