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이국명
기사사진
저소득·고연령 정리해고 급증···비자발적 이직자 1년 만에 10만명↑

지난해 정리해고 등 자신의 의사와 상관없이 이직한 직장인이 무려 72만 명에 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저소득층·고연령층에서 비자발적 이직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통계청, 금융감독원, 한국은행의 2014년 가계금융·복지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평소 취업자 2493만명 가운데 이직 경험자는 263만명으로 조사됐다. 이직자 비율은 10.8%로 2011년 11.2%, 2012년 11.1% 등 3년 연속으로 감소하는 추세다. 이직 사유를 보면 가족·개인사정이 104만4000명(39.8%)으로 가장 많았다. 근로여건·작업여건 불만족이 49만8000명(20.0%)으로 뒤를 이었다. 특히 비자발적 이직자가 전년에 비해 10만 명이나 증가한 71만8000명으로 나타났다. 경영악화에 따른 정리해고 이직자는 38만4000명, 임시적인 일 종료에 따른 이직자는 33만4000명으로 집계됐다. 저소득층의 정리해고가 부쩍 늘어난 점도 눈에 띈다. 소득 2∼4분위에서 모두 이직자가 1년 전에 비해 줄었다. 하지만 1분위 이직자는 32만2000명에서 39만1000명으로 6만9000명 증가했다. 1분위 이직자의 이직 사유 중 경영악화에 따른 정리해고가 2만6000명에서 6만5000명으로 2.5배로 늘었다. 임시적 일 종료는 2만4000명 증가한 11만1000명이었다. 정리해고에 따른 이직자 비중도 연령대가 높을수록 많아졌다. 30대 미만은 이직자의 9.7%(5만3000명)가 정리해고로 직장을 옮겼다. 하지만 이 비중은 30대 12.7%(8만7000명), 40대 19.0%(11만2000명), 50대 19.5%(9만2000명)로 높아졌다.

2014-11-24 15:05:13 이국명 기자
기사사진
[지스타2014]"이렇게만 나와다오" 스마일게이트 '로스트아크' 인기 만발

스마일게이트의 신작게임 '로스크아크'에 대한 게이머들의 호평이 끊이질 않고 있다. 스마일게이트 그룹이 이번 지스타2014 현장에 마련한 100석 규모의 '로스트아크' 전용 상영관에는 연일 몰려드는 관람객으로 북새통으로 이루고 있다. 400인치의 스크린과 5.1채널 사운드로 20분 가량 이어지는 로스트아크 지스타 트레일러 영상을 보기 위해 한시간 이상 줄을 서는 경우도 다반사. 영상을 모두 확인한 관람객들은 "20분이 언제 지나가는지 몰랐다" "이렇게만 나와다오, 한국에서 이런 게임이 나와줘 뿌듯하다" "영상을 보고 게임이 나오면 플레이할 캐릭터를 이미 정했다" 등 다양한 감상평을 남기기도 했다. 또 로스트아크 상영관에는 일반 관람객들뿐 아니라, 외신 기자와 바이어들의 방문도 이어졌다. 외신들은 로스트아크의 콘텐츠의 구성과 비공개 테스트, 출시일 등을 묻는 등 많은 관심을 보였다. 로스트아크 지스타 트레일러 영상에 대한 게이머들의 기대감은 영상이 공개된 지 만 하루도 지나지 않아 유튜브에서도 5만 건 이상의 조회수를 기록하며 입증됐다. 지난 21일 공개된 트레일러 영상은 국내외 게이머들에게 화제를 모았고, 이를 분석하는 유저평과 영상물도 게시물도 줄을 이었다. 스마일게이트 RPG 지원길 대표는 "이번 지스타에서 로스트아크에 보여주시는 관람객들의 관심을 마음에 담아기대에 어긋나지 않는 게임을 만들겠다는 의지를 한 번 더 다질 수 있었다"라며 "관람객들이 영상에서 보고 느끼고, 확인했던 감동을 실제 플레이에서도 느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개발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스마일게이트는 로스트아크 티저 사이트(http://lostark.co.kr)를 통해 각종 이벤트와 VIP테스터 특전이 주어지는 프론티어 모집을 진행하고 있다. [!{IMG::20141123000008.jpg::C::320::로스트아크 영상을 보기 위해 기다리는 관람객들.}!]

2014-11-23 08:30:48 이국명 기자
기사사진
미생 오과장이 현실···직장인 주 평균 67.2시간 근무해

직장인이 4명 중 1명은 인기드라마 tnN '미생'의 오상식 과장처럼 일중독에 빠진 것으로 드러났다. 21일 온라인 취업포털 사람인이 직장인 1023명을 대상으로 '워커홀릭 여부'에 대해서 조사한 결과, 24.6%가 '나는 일중독, 워커홀릭'이라고 답했다. 스스로 워커홀릭이라고 생각될 때를 묻는 질문에는 '퇴근 후에도 업무를 걱정할 때'(67.9%, 복수응답)가 가장 많았다. 계속해서 '당연하게 야근할 때'(56.7%), '휴일에도 업무를 할 때'(51.6%), '아파도 참고 출근할 때'(44.4%), '일 때문에 휴가를 포기할 때'(33.7%), '언제 어디서나 일할 준비를 할 때'(33.3%), '스스로 일거리를 만들어낼 때'(28.2%), '일이 없으면 불안, 초조함을 느낄 때'(27.8%), '점심시간에도 서류 등을 검토할 때'(27.8%) 등이 있었다. 워커홀릭이 된 주요 원인에 대해서는 절반이 넘는 51.2%가 '업무가 많은 환경 등으로 어쩔 수 없이'를 선택했다. 다음은 '업무에 대한 책임감이 강해서'(34.1%), '업무 성과가 자존감을 채워줘서'(9.1%) 순으로 '일하는 것이 즐거워서'는 5.6%에 그쳤다. 이들의 근무 시간은 주당 평균 67.2시간으로, 현행 법정근로시간(주당 40시간)보다 무려 27.2시간이나 많이 일하고 있었다. 자신의 삶에서 일이 차지하는 비중에 대해 평균 75.6%라고 답했다. 또 자신이 없으면 회사가 돌아가지 않을 것이라 생각하는 비율이 23.4%로 일반 직장인(12.2%)의 2배 수준이었다. 일중독이 미친 영향으로는 '삶이 무미건조해졌다'(65.5%, 복수응답), '건강이 나빠졌다'(60.3%), '인맥이 줄어들었다'(45.2%), '가족과의 관계가 소홀해졌다'(42.9%) 등의 순으로 부정적인 영향이 상위를 차지했다.

2014-11-21 09:20:08 이국명 기자
기사사진
[지스타2014]지스타 신작 40종 출격 "게임은 끝나지 않는다"

'게임은 끝나지 않는다'(Game is not over). 올해로 10주년을 맞는 국제 게임전시회 지스타2014가 20일 부산 벡스코에서 개막했다. 전 세계적으로 유래 없는 각종 규제에도 불구하고 올해 지스타는 참가국과 업체, 부스 수 등 모든 면에서 역대 최대 규모다. 총 35개국에서 온 617개사가 2567개의 부스를 꾸리고 관람객을 맞는다. 개인 이용자를 맞는 BTC관은 109개사가 1397개의 부스를, 기업을 대상으로 한 BTB관은 508개 업체가 1170개 부스를 차렸다. 특히 올해 BTB관 전시는 벡스코 제2전시장 전관을 사용, 지난해보다 2000㎡ 넓은 공간에서 열린다. 영국, 독일, 오스트리아, 스페인, 한-아세안 센터 등 국가·기관 공동관도 전년보다 크게 늘었다. '게임쇼의 꽃'인 신작 공개도 40여종에 달한다. 넥슨이 15종의 신작으로 물량 공세에 나서는 것을 비롯해 엔씨소프트 8종, 스마일게이트 4종 등이 첫선을 보여 게이머들의 가슴을 설레게 하고 있다. 지스타 조직위는 "각종 규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도 많은 업체들이 국내 게임의 저력을 보여주기 위해 힘을 합쳤다"며 "관람객 수도 역대 최고인 지난해(18만8000명)을 넘어선 20만명에 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2014-11-20 15:17:20 이국명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