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영주 중기부 장관·최승재 中企 옴부즈만, 소상공인 민생 챙기기 나서
吳 장관, 충남서 도소매업등 현장 애로 청취…"정책 적극 반영 만전" 崔 옴부즈만, 서울서 소상공인 단체와 간담…"규제개선 적극 임할 것" 더불어민주당, 소공연에 간담회 요청했다 전날 일방적 취소 통보도 오영주 중소벤처기업부 장관과 최승재 중소기업 옴부즈만이 나란히 소상공인 현장에서 민생 챙기기에 나섰다. 27일 중기부에 따르면 오 장관은 이날 오후 충남 라이콘타운 아산점에서 2025년 제3차 '소상공인 우문현답 정책협의회'를 개최했다. 지난해부터 시작한 정책협의회는 이번이 15번째다. 협의회에는 충북·충남·대전·세종 지역 소상공인연합회(소공연) 광역지회장 및 기초 지부장, 해당지역 지방자치단체 관계자, 한국수퍼마켓협동조합 및 한국유통서비스산업협동조합 단체장 등이 참석했다. 충청권 소상공인으로부터 지역 애로사항 등을 듣기위해 마련한 간담회는 특히 기업 수 및 종사자 수 모두 전 업종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도소매업이 화두로 떠올랐다. 중기부에 따르면 도소매업 기업은 약 200만개로 전체 소상공인 가운데 26.2%를 차지한다. 관련 종사자수도 약 270만명으로 전체의 25.1%에 이른다. 이날 참석자들은 신용보증재단 보증료 인하, 공동물류 창고 설립, 소상공인 AI 경영지원 등 다양한 의견들을 건의했다. 오 장관은 "올 상반기 권역별 릴레이 방식의 정책협의회를 통해 소상공인분들의 좀 더 깊은 현장의견이 정책에 적극 반영될 수 있도록 만전을 기하겠다"고 전했다. 간담회에 앞서 KDI 이진국 선임연구위원은 '도소매업 소상공인 현황 및 대응방향'이란 주제 발표를 통해 도소매업 소상공인의 규모, 분포, 매출·영업이익 변화 등 현황, 그리고 최근 온라인쇼핑 성장세, 해외 직구 등 온라인 업체 진입과 디지털 전환에 따른 대응방향에 대해 밝혔다. 오 장관과 별도로 최승재 옴부즈만도 이날 서울 중구 포스트타워에서 소상공인 업종별 협·단체와 올해 첫 현장 간담회를 가졌다. 간담회에는 최 옴부즈만과 이병권 서울지방중소벤처기업청장,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김유오 연구소장 그리고 한국코인노래연습장협회, 대한숙박업중앙회, 한국외식업중앙회, 한국목욕업중앙회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외식업중앙회는 '배리어프리(Barrier-Free) 키오스크' 설치 의무에 대한 유예를 요청했다. 이에 대해 최 옴부즈만은 보건복지부, 중소벤처기업부와 협의한 결과 현재 입법취지와 기기 공급 여건 등 현장 준비상황을 감안해 다양한 지원방안을 찾겠다고 답했다. 간담회에선 이외에도 ▲숙박업 외국인 근로자(E-9) 취업범위 확대 ▲숙박업 일회용품 규제 완화 ▲'문화누리카드' 사용처 범위 확대 ▲목욕탕 점포철거비 차등지원 기준 마련 ▲노래연습장 주류반입 묵인금지의무 면책 요건 신설 ▲노래연습장업 폐업 신고기한 연장 등의 건의가 나왔다. 최 옴부즈만은 "소상공인 현장 간담회는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과 함께 서울, 대구, 인천 등에서 올해 4차례 진행할 예정이다. 또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과는 중소기업 현장 규제 개선을 위한 'S.O.S. Talk'를 대구, 전주, 강원 등 전국에서 총 12회 개최하는 등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이 체감하는 규제개선을 위해 더욱 적극적인 자세로 임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더불어민주당은 이날 오전 서울 여의도 소공연 사무실에서 이재명 대표, 송치영 소공연회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민생경제 현장 간담회를 열 계획이었다. 그러나 민주당측의 요청으로 마련됐던 이날 자리는 민주당측이 이 대표 일정 등을 이유로 전날 일방적으로 취소 통보한 것으로 전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