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일러서 에어컨까지'…경동나비엔, 전세계인 4계절 책임진다
실내 공기질 관리·냉방시장 진출 'HVAC 글로벌 기업' 도약 선언 보일러·온수기등 25년 '2조'…신사업 통해 32년 '매출 10조' 목표 평택 서탄공장 '글로벌 전진기지'…2200억 투자해 연산 440만대 김용범 부사장 "미국등 북미가 HVAC 첫 공략지…중앙亞도 관심" "여보! 아버님댁에 에어컨 놓아 드려야 겠어요." 90년대 초 방송을 탓던 경동나비엔(당시 경동보일러)의 CF "여보! 아버님댁에 보일러 놓아 드려야 겠어요"는 보일러 광고의 대명사로 꼽혔다. 그 보일러를 만들던 경동나비엔이 이젠 에어컨으로까지 사업을 확장하고 나섰다. 70년대 후반 연탄보일러에서 시작해 기름보일러를 거쳐 가스보일러 등 국민들의 겨울나기를 챙기고, 온수기로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하더니, 이젠 실내 공기질 관리 및 냉방까지 가능한 '냉난방 공조(HVAC·Heating, Ventilation, Air Conditioning) 글로벌 기업'으로 도약을 선언하면서다. 전 세계인들의 사계절을 모두 책임지겠다고 공언한 것이다. 12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경동나비엔은 2017년 당시 수출이 처음으로 전체 매출의 절반을 넘어선 후 비중이 꾸준히 늘고 있다. 지금은 업계 전체 수출의 88%를 담당할 정도로 수출에 있어서 경동나비엔은 '군계일학'이다. 지난해엔 업계 최초로 '5억불 수출의 탑'을 수상했다. 이런 여세를 몰아 320조원에 이르는 글로벌 HVAC 시장을 적극 공략한다는 계획도 내놨다. 경동나비엔 김용범 영업마케팅 총괄임원(부사장)은 "2021년에 매출이 1조원을 넘었고 2025년에는 2조원 매출을 목표하고 있다. 글로벌 기업들의 면면을 보면 매출 2조~3조원 업체가 가장 큰데 10개사 정도가 여기에 포함된다. 전세계 보일러(온수기 등 포함) 시장 규모는 약 30조원 수준으로 이가운데 약 10%, 즉 3조원 정도 매출이 우리의 한계일 것 같다"면서 "이젠 난방, 냉방, 환기 등 실내 공기질 관리까지 포함하는 HVAC 시장을 아우르면서 2032년 10조원 매출을 달성할 것이다. 경동나비엔이 콘덴싱 기술을 기반으로 미국을 비롯한 북미 시장의 패러다임을 바꾼 것처럼 북미를 첫 공략지로 해 HVAC 분야의 글로벌 강자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경동나비엔은 경기 평택에 있는 서탄공장을 글로벌 전진기지로 탈바꿈할 계획이다. 평택은 경동나비엔 등을 포함한 경동그룹이 태동한 곳이다. 고 손도익 회장은 경동나비엔의 모태가 된 경동기계를 1978년 평택에 설립하고 이듬해 공장을 만들었다. 국내 최초의 콤팩트형 사각 기름보일러(코로나 KDB-202)를 출시한 것도 평택 공장 가동을 시작한 해다. 이후 제품과 물량이 늘어나면서 3개 공장으로 나눠 생산하던 것을 2014년부터 지금의 서탄공장으로 집중했다. 경동나비엔 배형민 서탄공장 관리부문장은 "보일러, 온수기 등을 연간 200만대 생산하는 서탄공장은 면적만 4만평 규모로 업계에선 세계 최대다. 이곳에서 만든 제품은 47개국에 수출하고 있다"면서 "2026년까지 6만평 규모로 늘리면서 생산규모를 연간 440만대까지 확대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경동나비엔은 부지 확보에 드는 1000억원 가량을 포함해 약 2200억원을 서탄공장에 추가로 쏟아부을 예정이다. 특히 생산, 검사, 물류 등 모든 과정을 디지털 전환(DT)을 통해 효율성과 품질을 높여 나갈 방침이다. 확장될 서탄공장에선 기존의 보일러, 온수기 뿐만 아니라 북미시장을 타깃으로 하는 신제품 '콘덴싱 하이드로 퍼네스'도 생산한다. 냉방 관련 신규 생산라인도 10만평을 계획하고 있다. 김용범 부사장은 "퍼네스는 한마디로 '화덕'이다. 기존의 퍼네스는 사실 안전하지 않다. 과거에 연탄을 때던 가정에서 방바닥 균열로 일산화탄소 중독을 일으키는 것도 유사한 이치다. 하지만 우리가 만드는 '콘덴싱 하이드로 퍼네스'는 물과 공기의 열교환을 통해 따뜻해진 공기를 실내에 공급하는 방식으로 공기의 질이 쾌적하고 안정적으로 안방을 구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퍼네스만 450만대 규모인 미국 시장을 공략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아울러 분리형 에어컨이 아닌 공조 시스템을 통해 냉방과 난방을 하고 있는 북미지역의 냉방시장도 공략할 방침이다. 콘덴싱 하이드로 퍼네스와 최신형 인버터 압축기를 적용한 '히트펌프'를 연계해 난방과 냉방을 함께 제공하면서다. 둘을 연계하는 하이브리드 운전 기능으로 겨울에는 난방, 여름에는 냉방을 하는 방식이다. 또 공기청정과 환기를 동시에 실현하는 청정환기시스템과 콘덴싱 기술을 접목해 더욱 효율적으로 냉방하는 '콘덴싱 에어컨 하이브리드' 제품도 새로 선보인다. 김 부사장은 "경동나비엔이 북미 다음으로 잡을 타깃은 우즈베키스탄과 카자흐스탄 등 중앙아시아다. 우즈벡에는 법인을, 카자흐에는 파트너사가 있다. 당장 매출 성장은 어렵겠지만 장기적으로 관심을 가져볼만 한 곳"이라며 "북미시장에서의 성공 경험을 바탕으로 전세계 HVAC 시장에서 차별화된 기술로 새로운 바람을 일으켜 미래 성장 동력을 확보하는 것과 함께 '쾌적한 생활환경 파트너'라는 회사의 비전도 실현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경동나비엔은 지난해 1조1601억원의 매출과 598억원의 영업이익을 거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