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자산운용, 업계 최초 '미국 리츠' 출시
삼성자산운용은 4일 미국 리츠(REITs)에 투자하는 '삼성 누버거버먼 미국 리츠 펀드'를 출시했다. 이 상품은 업계에서 처음 출시한 미국 리츠 펀드로 씨티은행에서 판매하며 누버거버먼자산운용이 위탁운용한다. 리츠는 소액 투자자로부터 자금을 모아 부동산이나 부동산 관련 자본, 지분에 투자해 발생한 수익을 투자자에게 배당하는 회사나 투자신탁을 의미한다. 미국 리츠시장은 전 세계 리츠시장 중에서 가장 큰 시장으로 182개 상품이 상장돼 있다. 규모는 약 1400조원으로 코스피 시가총액과 비슷한 수준이다. 삼성 누버거버먼 미국 리츠 펀드는 부동산 시장분석과 리스크 관리를 기반으로 평균 35~45개 종목을 편입한다. 미국 시장에 상장돼 있는 180여개 리츠 주식의 지난 10여년간 연평균 수익률은 13.59%로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 500지수의 수익률(연 13.24%)보다 우수하며 MSCI(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 EAFE(Europe, Australasia and Far East)의 연 5.39%보다 높다. 또 주식, 채권 등과 상관관계가 낮아 포트폴리오 다각화에 유용한 편이다. 임대수익에서 발생하는 인컴과 부동산 가격 상승에 따른 캐피탈 수익으로 나눠지는 리츠의 수익은 순이익 대부분이 배당되기 때문에 장기 투자할수록 안정적인 성과를 기대할 수 있다. 박용식 삼성자산운용 매니저는 "일본 리츠시장은 오피스와 복합시설의 투자 비중이 큰 반면 미국 시장은 인프라, 데이터센터, 주택, 오피스, 리테일, 물류창고 등 모든 섹터가 골고루 분산된 특징이 있다"고 설명했다. 펀드를 운용하는 미국 누버거버먼은 관리자산이 약 400조원 규모인 글로벌 자산운용사다. 주식, 채권, 대체 등 투자 유형, 지역, 전략에 따른 광범위한 플랫폼을 구축하고 있다. 23개국, 35개 도시에 걸쳐 글로벌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으며 약 600여 명의 투자 전문인력을 보유하고 있다. 96%의 포트폴리오 매니저가 평균 25년 이상의 업계 경력을 보유한 전문가 집단이다. 한편 보수는 A클래스가 선취판매수수료 1.0% 이내, 총보수 1.60%이며 C클래스가 총보수 1.95%다. 씨티은행을 통한 온라인 가입도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