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담길에서 만난 진짜 제주 이야기
'바람, 여자, 돌 그리고 삶…' 돌담길 어귀를 돌면 또 다른 돌담이 기다린다. 투박한 골목길 끝에 깃든 제주의 소담한 일상은 잔잔해서 더 깊이 스며든다.
여행이 특별한 이유는 일상의 평범함을 벗어나기 때문이다. 쳇바퀴에서 내려와, 어제와는 전혀 다른 풍경 속에서 하루를 시작하는 것이다.
거꾸로 생각하면 나의 평범한 일상이 누군가에겐 특별한 여행이 될 수 있다. 기자에겐 무채색 일터에 불과한 광화문이 누군가에겐 황홀한 관광지로 여겨지는 것처럼 말이다.
제주가 그렇다. 관광지 뒤로 드문드문 자리 잡은 나즈막한 지붕들, 그 아래 숨 쉬는 진짜 제주의 이야기들은 파고들 수록 참 재미있는 풍경이다.
◆감귤밭 한 가운데 앉아 제주 느끼기
제주시 조천읍 선흘리에 있는 에어비앤비, 스테이3355(선흘돌집)는 앙증맞은 감귤나무와 키 큰 삼나무로 둘러 쌓여 멋스러운 곳이다.
'ㄷ'자 형태의 집 가운데에는 야외로 연결되는 넓은 데크가 있는데, 따뜻한 차 한잔을 들고 앉아있으면 제주의 향기가 온 몸을 감싸는 듯 했다.
호스트 효주 씨의 손길이 곳곳에 묻어있는 숙소는 어지럽히기 미안할 정도로 깔끔하게 정돈되어 있었다. 커다란 거실을 중심으로 양 옆에 방이 하나씩 들어서 있는데, 작은 소품 하나에서도 호스트의 취향이 느껴졌다.
에어비앤비에서의 며칠은 호텔을 이용할 때와는 또 다른 느낌이었다. 가방을 내려두고 잠을 자는 데 그쳤던 지난 날과 달리, 집 하나를 통째로 빌려 며칠을 지내니 내 삶의 작은 부분이 이곳에 녹아드는 것 같았다.
마지막 날, 떠나는 발걸음이 아쉬울 때쯤 문자 한 통이 왔다. "너무 예쁘게 머물다 가셔서 감사 문자 남깁니다. 다른 좋은 계절에 뵀으면 합니다." 등 뒤에 묵직한 정(情)을 메고 걸으니 꽤나 즐거웠다.
◆제주에 스며든 청춘
제주 여행을 고민하고 있다면 현지인들이 직접 운영 중인 트립을 눈 여겨 보는 것을 추천한다. 육지에서 섬으로 온 이들은 독자적으로, 그러면서도 유기적으로 연결돼 있는데, 이들이 제주를 하나의 거대한 예술촌으로 변화시키고 있다.
해녀 집안에서 자란 호스트 하원 씨는 20년간 버려졌던 활선어 위판장에 '해녀의 부엌'을 세우고 제주 해녀들의 이야기를 담은 연극을 올린다. 종달리 해녀의 50년 전 첫 물질 이야기를 담은 이야기가 해녀들이 잡은 싱싱한 해산물과 함께 살아 숨쉬었다.
레진 공예 체험을 진행하는 인영 씨는 종종 작은 소라와 조개를 줍기 위해 바다로 나간다. 그 역시 제주에 정착한 사람 중 한 명이다. 한적한 도로 옆에 위치한 아파트, 정겹게 떠드는 주민들 옆에선 나의 이름을 새긴 도자기가 구워졌고, 바다를 담은 장식품이 차례로 만들어졌다.
'달무지개'는 굽이진 골목 사이에 있다. 마을 어귀에 자리한 마을회관에선 색색의 바지를 입은 어르신들이 쏟아져나오는데, 그 곁에 자연스레 자리잡은 공간이다.
이곳에서 호스트 꿀배 씨의 말에 따라 제주 돌담풍경을 손으로 만들고, 손글씨를 썼다. 서툰 솜씨에도 칭찬이 쏟아져 괜시리 입꼬리가 올라갔다. 이곳의 호스트는 "처음엔 일에 지쳐 계획 없이 제주로 여행을 왔다"고 했다. 결혼을 하고, 첫 공방을 열고, 그러다 공방을 빼앗기고, 다시 힘을 내 이곳에 뿌리내리기까지 우여곡절도 많았단다. 그럼에도 제주의 삶은 굽이굽이 흘러가고 있었다. 우연이 인연이 되고, 인연이 기회가 되어 제주에 정착한 이야기들이 귀끝을 간지럽혔다.
*지원: 에어비앤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