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복하는 모바일 시장, 중국 시장을 잡아라
글로벌 모바일 시장이 회복세를 분명히 하고 있다. 세계 최대 시장인 중국이 스마트폰 소비를 늘리면서 다시 예년 수준을 되찾고 있다. 다만 중국 현지 브랜드가 성장률을 대부분 독점하는 상황, 국내 산업계 실적에는 오히려 악영향도 우려된다. 삼성전자가 갤럭시S24로 얼마나 점유율을 회복할 수 있을지가 관건이다. 1일 업계에 따르면 퀄컴은 지난해 4분기 매출 99억2200만달러에 영업이익 36억2000만달러를 달성했다고 밝혔다. 시장 전망치를 크게 상회한 기록, 매출이 전년 동기보다 4.9%나 증가하며 장기 침체에 빠졌던 스마트폰 시장이 반등을 시작한 것이라는 분석에도 힘을 실었다. 실제로 퀄컴은 모바일용 반도체 매출액이 전년 동기 16%나 많아졌다고 설명했다. 무엇보다 중국 스마트폰 시장 회복이 주효했다. 전문가들은 퀄컴이 중국 OEM에서 매출을 전분기보다 35% 이상 거둔 것으로 보고 있다. 중국 스마트폰 시장은 전세계에서 20% 수준 비중을 차지할 만큼 중요성이 높다. 연간 스마트폰 출하량이 12억대 수준, 이중 3억대 가까이가 중국에서 판매된 수치다. 중국 스마트폰 시장은 지난해 4분기부터 회복세를 본격화했다. 카운터포인트에 따르면 판매량이 약 6800만대로 전년 동기 대비 7%나 증가했다. 퀄컴뿐이 아니다. 중국을 주요 거래처로 하는 국내 부품 업계들도 중국에 기대를 숨기지 않고 있다. 당장 삼성전기는 지난해 4분기 부진 속에서도 중국에 주로 공급하는 MLCC 판매 증가로 컴포넌트사업부 매출을 전년 동기보다 17% 늘리는데 성공했다. 문제는 중국 스마트폰 시장이 '애국 소비'를 중심으로 크고 있다는 것. IDC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 1위는 애플(17.3%)이 차지했지만, 화웨이가 4분기에 출시한 '메이트60'으로 대대적인 성공을 거두며 점유율 13.9%로 4위로 뛰어올랐다. 퀄컴이 '깜짝' 실적을 발표한 직후 오히려 주가 하락을 겪은 것도 이 때문이다. 종전에는 스마트폰 AP 시장에서 퀄컴이 압도적인 우위를 점했지만, 삼성전자 엑시노스2400에 더해 화웨이가 본격적으로 시장에 재등장하면서 퀄컴 점유율은 올라가기 어렵다는 분석에 힘이 실린다. 화웨이는 지난해 미중무역분쟁 속에서도 7나노 파운드리 공정으로 만든 신형 AP를 탑재한 메이트60을 출시한 바 있다. 올해에도 조만간 폴더블 신제품을 출시하고, 하반기에는 새로운 플래그십 메이트70을 추가하는 등 공격적인 시장 탈환 전략을 예고하고 있다. 애플도 긴장하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애플은 중국에서 이례적인 할인 행사를 펴고 있다. 중국 정부까지 사실상 '아이폰 금지령'을 내리는 상황에서도 최대한 판매량을 유지하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그럼에도 애플 전문 분석가인 대만 궈밍치에 따르면 애플은 올해 반도체 출하량을 전년 대비 15%나 줄이는 등 판매량 감소를 기정 사실화했다. 국내 산업계에도 악재다. 삼성디스플레이는 물론 LG이노텍 등 부품사들이 애플에 의존하는 만큼, 올해 실적 개선에도 어려움이 예상된다. 폴더블 패널 주도권도 뺏겼다. 디스플레이서플라이체인컨설턴트(DSCC)에 따르면 삼성디스플레이가 지난해 4분기 폴더블 패널 점유율 36%로 전분기(76%) 대비 반도막, 중국 BOE에 1위를 넘겨줬다. 화웨이 등 중국 스마트폰 업계가 폴더블폰 라인업을 꾸준히 늘린 반면, 삼성전자 갤럭시Z 시리즈는 중국에서 여전히 저조한 판매를 기록한 탓이다. 때문에 삼성전자가 갤럭시S24로 중국 시장 점유율을 얼마나 회복할 수 있을지가 올해 관련 업계 운명을 가를 전망이다. 삼성전자는 스마트폰 시장 초기에는 중국에서 20% 이상 점유율을 기록했지만, 현지 브랜드 선호 현상으로 몇년째 1%대 점유율을 벗어나지 못했다. 삼성전자도 소비 심리 회복과 애플 선호 현상에 균열이 생긴 중국 시장 상황을 기회로 보고 여느때보다 적극적인 공략을 펼치는 모습이다. 중국에 판매하는 갤럭시S24에는 구글 대신 현지 최대 포털인 바이두의 '어니봇'을 탑재하고, 전세계에서 유일하게 기본 모델 램을 12GB로 제공한다. 8GB 램 모델도 성능면에서는 중국 스마트폰에 뒤쳐지지는 않지만, 현지 스마트폰이 기술적 한계로 고용량 램을 보편화하는 분위기인 만큼 생산 비용을 감수하는 것으로 풀이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