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이규성
3∼5일 알뜰교통카드 시스템 작업…'52시간 이용중단'

대중교통 할인 서비스 '알뜰교통카드' 개선 작업이 오는 3일 새벽 0시부터 5일 오전 4시까지 52시간 동안 이뤄진다.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대광위)는 1일 '알뜰교통카드'의 시스템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개선 작업을 진행한다고 밝혔다. 개선작업시 알뜰교통카드 앱·홈페이지 접속이 안되므로 할인 혜택을 받기 위한 출발·도착 정보를 기록할 수 없다. 대광위는 알뜰교통카드 이용자에게 이동 거리와 관계 없이 최대 마일리지(800m 기준)를 지급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할 예정이다. 알뜰교통카드 사용자는 대중교통 이용을 위해 걷거나 자전거로 이동한 거리(최대 800m)에 비례해 최대 20%의 마일리지를 받는다. 약 10%의 카드사 추가 할인 혜택도 받는다. 국토부는 지난해부터 급증한 알뜰교통카드 관련 정보를 원활히 수집·처리하기 위해 시스템을 개선하고 있다. 지난 2019년 도입 당시 2만1000명이던 알뜰교통카드 이용자는 2022년 말 48만7000명, 지난해 말 109만명으로 급증했다. 현재는 약 112만명으로, 오는 5월 대중교통비 환급 서비스 K-패스로의 전환을 앞두고 증가세가 가파르다. 알뜰교통카드 시스템은 정보 처리를 위한 데이터베이스(DB)에 장애가 빚어지면서 지난달 초 '먹통'이 됐다가 이틀 만에 복구된 바 있다. 국토부는 "이번 시스템 개선 작업을 통해 앱 접속 속도를 비롯한 편의성을 높이고 K-패스 출시 전후 이용자 증가에도 안정적으로 대응할 것"이라며 "개선 작업을 마친 뒤에도 시스템 현황을 면밀 모니터링하고, 안정적인 운영을 위한 개선을 지속 검토·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규성기자 peace@metroseoul.co.kr

2024-02-01 09:00:22 이규성 기자
전국 108곳·215만가구, 안전진단 없이 재건축

전국 108개 지구, 215만가구가 노후계획도시 특별법의 적용 대상으로 재건축·재개발을 추진할 수 있게 된다. 특별법 입안 당시 밝힌 51곳, 103만가구에서 적용 대상이 2배 이상 늘어난 수치다. 여기에는 안산 반월공단 및 수도권 1기신도시 등이 모두 포함된다. 특별법상 여기서는 안전진단 등이 모두 생략된다. 31일 국토교통부가 입법예고한 '노후계획도시 정비 및 지원에 대한 특별법' 시행령 제정안에 따르면 노후계획도시는 택지개발사업, 공공주택사업, 산업단지 배후 주거단지 조성사업으로 조성된 이후 20년 이상 지났으며 인접·연접한 택지와 구도심, 유휴부지를 포함해 100만㎡ 이상인 지역이다. 단, 구도심과 유휴부지는 전체 합산 면적의 20% 이하(50만㎡ 내)로 제한된다. 여기에는 주택 공급 목적의 개발사업뿐 아니라 산업단지 개발, 공공기관 이전과 함께 시행된 배후 주거단지 조성사업에 의한 택지까지 포함하고, 구도심·유휴부지까지 면적에 합산할 수 있도록 하면서 특별법 적용 대상이 확대됐다. 안산 반월, 창원 국가 산업단지 배후도시 등 총 108곳, 215만가구가 노후계획도시 특별법을 적용받는다. 서울에서는 개포, 목동, 고덕, 상계, 중계, 중계2, 수서, 신내, 가양 등 9곳이 적용 대상이다. 경기는 1기 신도시 5곳과 용인 수지, 하남 신장, 고양 중산, 고양 행신, 수원 정자 등 30곳이 해당된다. 인천은 구월, 연수, 계산과 함께 만수 일대, 부평 일대 등 5곳이 포함된다. 비수도권에서 특별법 적용이 가능한 곳은 ▲ 부산 5곳 ▲ 대구 10곳 ▲ 광주 6곳 ▲ 대전 6곳 ▲ 울산 2곳 ▲ 강원 5곳 ▲ 충북 8곳 ▲ 충남 1곳 ▲ 경북 2곳 ▲ 경남 6곳 ▲ 전북 6곳 ▲ 전남 4곳 ▲ 제주 3곳이다. 주거단지는 25m 이상 도로로 둘러싸인 블록 단위로 2개 단지 이상이 통합 재건축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구역 내 통합할 수 있는 다른 단지가 없는 경우에는 1개 단지도 특별정비예정구역으로 지정해 재건축할 수 있도록 한다. 철도역에서 반경 500m 이내 역세권은 고밀·복합개발하도록 했다. 용적률은 법정 상한의 150%까지 높일 수 있다. 건폐율과 건물 간 간격은 국토계획법과 건축법 상한까지 완화한다. 특별정비예정구역 내에서 통합 재건축을 하면서 조례로 정한 비율 이상의 공공기여를 하면 안전진단이 면제된다. /이규성기자 peace@metroseoul.co.kr

2024-01-31 13:45:14 이규성 기자
기사사진
미분양 증가세...부동산 장기 불황 조짐?

주택 경기가 장기 불황 조짐이다. 특히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우려가 커지고 있다. 30일 국토교통부가 내놓은 '12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말 기준 전국의 미분양 주택은 6만2489가구로 전월보다 7.9%(4564가구) 늘었다. 미분양 주택은 지난해 초 7만5000여가구까지 증가했지만 3월부터 9개월 내리 감소했다. 지난해 7∼9월 월간 1만가구대였던 분양 물량이 10월 3만3000여가구, 11월 2만1000여가구, 12월 2만9000여가구로 늘면서 미분양도 다시 증가했다. 미분양 물량 대부분(66.5%)은 수도권에서 나왔다. 지난해 12월 말 기준 수도권 미분양은 1만31가구로 한 달 새 3033가구 급증했다. 인천(3270가구)에서 1972가구, 경기(5803가구)에서 980가구 늘었다. 서울 미분양은 81가구 증가했다. 지방 미분양은 5만2458가구로 전월보다 1531가구 늘었다. 여전히 대구의 미분양이 1만245가구로 전국에서 가장 많으나, 물량 자체는 한 달 새 83가구 줄었다. 지난해 12월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1만857가구로 전월보다 3.7%(392가구) 증가했다. 지난해 10월(1만224가구)부터 3개월 연속 1만가구를 넘겼다. 준공 후 미분양은 전남(1212가구)에 가장 많고, 경남(1116가구), 제주(1059가구), 대구(1016가구), 경기(1069가구)에서도 1000가구 이상이 쌓였다. 주택 시장 경기도 나빠지고 있다. 지난해 12월 주택 매매 거래량(신고일 기준)은 3만8036건으로 전월보다 16.2% 줄었다. 4개월 연속 감소세다. 2019년 12월(11만8000여건)과 2020년 12월(14만건) 거래량에 한참 못 미치는 수준이다.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지난달 1790가구로, 월간 거래량이 1000건대로 다시 떨어졌다. 다만 지난해 누계 주택 매매 거래량은 55만5054건으로, 전년보다 9.1% 증가했다. 수도권 거래량이 24만900건으로 19.4%, 지방은 31만4154건으로 2.3% 각각 늘었다. /이규성기자 peace@metroseoul.co.kr

2024-01-30 14:19:35 이규성 기자
전국 인프라의 25%, 30년 넘긴 노후시설…"관리 시급"

인프라 노후화에 대한 관리가 시급하다는 진단이다. 전국 38만여개 인프라의 4분의 1이 지은 지 30년을 넘긴 노후 시설물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저수지의 경우 전국 1만7000여개 가운데 96.5%가 30년 이상의 노후 시설물인 데다, 안전등급 최하 수준인 E등급 시설물의 절반가량을 차지했다. 30일 국토교통부는 지난 2020년부터 지난해까지 3년간 인프라 총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발표했다. 인프라 총조사는 도로, 철도, 항만, 공항, 수도, 전기, 가스 등 기반시설 15종의 급속한 노후화를 예방하고, 선제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진행됐다. 시설물 47만8299개 중 준공 일자 확인이 불가능한 설비류, 소규모 시설물을 제외한 38만3281개를 대상으로 조사가 이뤄졌다. 정부는 총조사를 통해 중앙부처와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 등 1350곳이 산발적으로 관리하던 기반시설 정보를 하나로 모아 현황 및 유지보수 관리체계, 데이터베이스(DB)를 구축한다. 조사 결과 건설 후 20년이 지난 인프라 시설물은 전체의 51.2%(19만6325개)였으며, 30년 이상 시설물은 25.2%(9만6753개)였다. 특히 저수지의 96.5%(1만6708개)가 30년 이상 지난 노후 시설물이었다. 통신설비의 64.4%(130개), 댐의 44.9%(62개)가 30년을 넘겼다. 시설물안전법에 따라 안전 등급이 부여되는 시설물 중 99.2%(9만3007개)는 보통 이상을 의미하는 A∼C등급으로 관리되고 있었다. A등급(우수)이 4만7197개(50.3%)로 가장 많았고, B등급(양호) 3만5453개(37.8%), C등급(보통) 1만357개(11.1%)였다. D등급(미흡)은 694개(0.7%), E등급(불량)은 69개(0.1%)였다. /이규성기자 peace@metroseoul.co.kr

2024-01-30 14:14:31 이규성 기자
기사사진
인천 서구-검단구 분리 확정...여의도 5배 개발 관심

인천 서구에서 '검단구'의 분리가 확정됨에 따라 인천의 부동산 지도가 재편되고 있다. 검단구는 서구에서도 서울과 가깝다. 이에 따라 여의도 5배 규모의 민관(民官) 합작 대규모 주택공급이 이어지고 있다. 최근 국회 본회의에서 '인천시 제물포구·영종구 및 검단구 설치 등에 관한 법률안'이 가결됐다. 서구는 경인아라뱃길 북측인 검단 지역이 검단구로 분구(分區) 된다. 또 중구 영종도 지역을 영종구로, 중구 내륙과 동구를 합쳐 제물포구로 재편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신 행정 체계는 오는 2026년 민선 9기부터 출범할 예정이다. 관심이 집중되는 곳은 검단구다. 서울과 맞닿아 있어 서울 출퇴근 부담이 덜하기 때문이다. 민간 개발과 공공 택지(검단신도시)에서 대규모 아파트 공급이 진행 중이다. 주요 개발 현황을 살펴보면 왕길동, 백석동 일대에서는 DK아시아가 '로열파크씨티' 브랜드를 내걸고 약 407만㎡(123만평) 규모에서 3만6500가구의 민간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공항철도 검암역과 인접해 환승 없이 디지털미디어시티, 공덕, 서울역 등으로 이동이 용이하다. 또한 검단2교차로 일대에 서울 7호선도 들어설 예정이며, 서울 9호선과 공항철도 직결 확정도 호재다. 여기서 동쪽으로 약 2㎞ 떨어진 당하동, 불로동 일원은 검단신도시가 자리한다. 검단신도시는 개발이 마무리되면 1110만㎡(335만평)에 달한다. 커낼 콤플렉스, 넥스트 콤플렉스 등 다양한 특화 시설이 구현되고, 인천 1호선 연장(예정), 5호선도 연장(계획)된다. 진행중인 이들 민간 도시개발과 공공택지 조성을 합치면 여의도 면적의 5.2배 규모(1517만㎡, 459만평)에 달할 전망이다. 이들 아파트 단지로 수요자 유입도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권일 부동산인포 리서치팀장은 30일 "현재 서구에는 금융, 수소, 로봇, 자동차, 의료 등 첨단 산업 관련 기업들의 이전 소식이 이어지고 있어서 검단구는 향후 자족도시로서 위상도 함께 올라갈 것"이라고 말했다.

2024-01-30 08:57:06 이규성 기자
기사사진
2월, 전국 2만여 가구 공급...1월의 2배

오는 2월 전국에서 총 19곳, 2만2034가구(임대 포함, 오피스텔 제외)가 공급되며 1만6138가구가 일반 분양될 예정이다. 29일 리얼투데이에 따르면 수도권 일반분양 물량은 8824가구(54.68%), 지방은 7314가구(45.32%)인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 1월 물량(8344가구) 대비 약 2배에 해당하는 물량이다. 시·도별로는 경기 4693가구(4곳, 29.08%)에 이어 인천 3460가구(2곳, 21.44%), 충북 1675가구(1곳, 10.38%) 순이다. 서울에서는 정비사업 물량만 공급된다. 서울 강남구 '메이플 자이'(162가구), 강동구 '그란츠 리버파크'(327가구) 등 4곳·671가구거 공급된다. 특히, '메이플 자이'의 경우 입주자 모집공고에 따르면 59㎡A 분양가는 17억4200만원에 책정됐다. 인근 신축 '래미안 원베일리'의 동일면적 실거래가(28억)와 비교하면 약 10억원 넘게 저렴하다. GS건설은 서울 서초구 잠원동 일원에 건립되는 '메이플자이' 3307가구 중 43∼59㎡ 162가구를 일반분양한다. 유일한 규제지역, 서울 4구에 위치한 분양가 상한제 적용 단지다. DL이앤씨는 서울 강동구 성내동 일원에 건립되는 '그란츠 리버파크' 407가구 중 327가구를 일반분양한다. 서울 지하철 5호선 천호역 인근에 위치한 역세권 아파트다. 대방건설은 경기 수원시 이목동 일원에 건립되는 '북수원 이목지구 디에트르 더 리체' 2512가구 중 1차 84~141㎡ 1744가구 규모로 조성된다. 2차는 84㎡ 768가구다. 인근에 스타필드 수원(예정), 롯데마트 천천점, 만석공원 등이 위치해 있다. DL건설은 인천 서구 마전동 일원에 건립되는 'e편한세상 검단 에코비스타' 84~119㎡ 732가구를 선보인다. 공공택지에서 공급되는 만큼 분양가상한제가 적용된다. 남양건설은 전남 장성군 장성읍 일원에 건립되는 '장성 남양휴튼 리버파크' 80~84㎡ 180가구를 분양한다. 탁 트인 황룡강 조망권을 갖췄으며, 황룡강 생태공원도 이용 가능하다. 대한토지신탁이 시행을 맡았다. 현대엔지니어링과 포스코이앤씨 컨소시엄은 경북 포항시 대잠동 일원에 건립되는 '힐스테이트 더샵 상생공원' 2667가구 중 84~178㎡ 1668가구로 구성된 2단지가 먼저 공급된다. 청약일정은 오는 2월 5일 특별공급을 시작으로 6일 1순위, 7일 2순위 청약을 실시한다. /이규성기자 peace@metroseoul.co.kr

2024-01-29 11:15:52 이규성 기자
기사사진
주택 착공 11년새 최저...집값 상승 우려

지난해 아파트 착공실적이 통계 작성 이래 최저치를 기록했다. 올해는 대형 건설사의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부실 우려와 신용등급 하락 등으로 착공실적이 더 줄어들 전망이다. 착공 감소, 공급 부족이 집값 급등을 부추길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28일 국토교통부 통계누리 '주택건설실적통계(착공)'에 따르면 2023년(1~11월) 전국 아파트 착공실적은 13만3585가구로 전년 동기간(27만8566가구) 대비 52%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11년 관련 통계가 작성된 이후 역대 최저치다. 아파트 착공실적은 수도권보다는 지방에서 더 급감했다. 작년 수도권의 아파트 착공실적은 6만6212가구로 전년 동기간(12만9286가구) 대비 48% 감소했다. 반면 지방은 전년 동기간 14만9280가구에서 6만7373가구로 54%나 줄었다. 수도권과 지방의 아파트 착공실적이 6만여세대로 떨어진 것도 2011년 이후 처음이다. 또한 작년 아파트 착공실적은 세종시, 제주시, 대구시 순으로 적었다. 세종시는 아파트 착공실적이 0세대로 전년 동기간(1651가구) 대비 100% 감소했다. 이어 제주시는 아파트 착공실적이 전년 동기간(1909가구) 대비 55% 감소한 858가구, 대구시는 1만4848가구에서 962가구로 전년 동기간 대비 94% 감소했다. 아파트 착공실적이 줄어든 데는 원자재가격과 인건비 상승 등의 여파가 시공사, 지자체, 조합 간의 갈등을 불러오면서 사업 및 착공 지연 등으로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된다. 부동산 업계 관계자는 "아파트 착공실적 감소로 향후 공급 감소에 따른 집값 급등이 현실화될 수 있다"며 "공급과 수요의 불균형으로 진입장벽이 더 높아지기 전에 내 집 마련 시기를 앞당기는 것도 고려해 볼만 하다"고 말했다.

2024-01-28 10:00:18 이규성 기자
기사사진
동인선 전 구간 착공...분양단지 '주목'

동탄∼인덕원선(이하 동인선)이 전 구간 착공을 앞둬 다른 노선과 환승되거나 급행열차가 정차하는 역 주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철도공단은 작년말 동인선 10개 공구에 대한 시공사 선정과 계약을 마쳐 올해 착공한다. 동인선은 총 12개 공구이며, 이 중 1공구와 9공구는 2021년 이미 착공돼 공사가 진행 중이다. 동인선은 안양시 인덕원역에서부터 화성시 동탄역까지 37.1㎞, 18개역이 포함된 철도노선 건설사업으로 오는 2029년 개통된다. 지역별로는 수원시에 6개역(파장 수원야구장 수원월드컵경기장 아주대입구 원천 영통)으로 가장 많다. 이어 화성시 4개역(나노시티 능동 메타 동탄), 안양시 3개역(인덕원 안양농수산물시장 호계사거리), 의왕시 2개역(오전 의왕시청), 용인시 2개역(흥덕 서천) 등이다. 이 가운데 인덕원역은 기존 4호선을 비롯해 개통 예정인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C노선, 월판선(월곶~판교선) 등으로 환승이 가능해진다. 수원월드컵경기장역은 신분당선(예정)을, 영통역은 수인분당선을, 동탄역은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A(예정) 등으로 환승할 수 있게 된다. 또 인덕원역, 오전역, 수원월드컵경기장역, 영통역, 동탄역 등은 일반열차와 더불어 급행열차도 정차하게 된다. 업계 관계자는 25일 "동인선이 개통되면 수도권 남부 지역의 교통 확충 및 교통난을 해소하고 수인분당선 등 기존 노선과 GTX, 월판선 등 신규 개통될 노선 환승을 통해 서울 접근성도 향상된다"고 말했다. 동인선 역 주변으로 GS건설은 오는 2월 영통역과 걸어서 5분 거리에 있는 수원 영통구 영통동에서 '영통자이 센트럴파크' 84㎡ 580가구를 분양한다. 영통중앙공원과 삼성디지털시티 등도 인접해 있다. DL건설은 오는 3월 안양 호계동에서 464가구 규모 'e편한세상 평촌 어반밸리'를 분양한다. 이 단지는 4호선 금정역이 가깝고, 인동선, 월판선, GTX-C 등을 환승할 수 있는 인덕원역까지 3개역만 이동하면 된다. 과천시에서는 대방건설이 오는 3월 과천지식정보타운 52블록 일원에 '과천지식정보타운1차 디에르트(가칭)' 783가구를 분양한다. 이 단지는 4호선 정부과천청사역이 가깝고 동인선 환승역인 인덕원역과 1개역 거리다. /이규성기자 peace@metroseoul.co.kr

2024-01-25 08:42:23 이규성 기자
작년 전국 땅값 0.82% 상승…15년만에 최저 상승률

지난해 전국 땅값이 0.82% 올랐다. 이 같은 상승률은 글로벌 금융위기 여파로 땅값이 하락한 지난 2008년(-0.32%) 이후 15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24일 국토교통부 '2023년 전국 지가상승률 및 토지거래량'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지가는 0.82% 상승해 지난 2022년(2.73%)보다 상승폭이 1.91%포인트(p) 하락했다. 월별로 전국 지가는 지난해 1∼2월 하락하다가 3월 상승 전환한 뒤 10개월 연속 소폭의 오름세를 보였다. 다만 지난해 10월 0.158%, 11월 0.157%, 12월 0.148%로 상승폭이 줄어 들었다. 지난해 지가 변동률은 수도권(3.03%→1.08%)과 지방(2.24%→0.40%)에서 모두 전년보다 낮은 수준을 보였다. 전국 17시 광역시도 가운데 땅값이 가장 많이 오른 곳은 세종(1.14%), 경기(1.08%), 서울(1.11%) 등이었다. 제주 땅값은 0.41% 하락, 전국에서 유일하게 떨어졌다. 전국 250개 시군구 중에서는 시스템반도체 국가산업단지, 신규택지가 조성되는 경기 용인 처인구의 땅값 상승률이 6.66%로 가장 높았다. 이어 경기 성남 수정구(3.14%), 대구 군위군(2.86%), 경북 울릉군(2.55%), 서울 강남구(2.43%)의 땅값 상승 폭이 컸다. 토지 거래량은 감소했다. 건축물 부속토지를 포함한 전체 토지 거래량은 지난해 약 182만6000 필지(1362.4㎢)로 1년 새 17.4% 줄었다. 건축물 부속 토지를 제외한 순수토지 거래량 역시 71만 필지(1263.8㎢)로 전년보다 27.1% 감소했다. 그러나 대구(18.5%), 대전(6.9%), 서울(0.7%)에선 토지 거래량이 늘었다. 토지 거래량 감소 폭이 가장 큰 곳은 세종(-31.7%)이었고, 제주(-31.3%), 경남(-24.1%)이 뒤를 이었다. 순수토지 거래량은 세종(-46.0%), 부산(-42.7%), 대전(-40.0%) 등 17개 시도에서 모두 줄었다. /이규성기자 peace@metroseoul.co.kr

2024-01-24 13:06:55 이규성 기자
기사사진
[부동산 특집] HDC현대산업·GS건설,'이문 아이파크 자이 오피스텔 IM594'

HDC현대산업개발·GS건설은 내달 서울 동대문구 이문·휘경 뉴타운 내 '이문 아이파크 자이 오피스텔 IM594' 24~52㎡ 594실을 공급한다. 타입별 호실수는 ▲24㎡A 528실 ▲36㎡B 22실 ▲39㎡D 22실 ▲52㎡C 22실로 구성된다. 특히 전용 24㎡는 스튜디오 타입으로 구성해 침대를 2개까지 배치할 수 있는 공간설계를 적용한다. 서울 지하철 1호선 외대앞역 초역세권은 물론, 수도권 지하철 1호선 신이문역도 걸어서 이용할 수 있는 더블역세권 입지를 갖추고 있다. 여기에 인근에 이문로, 망우로, 동부간선도로, 내부순환도로 등의 도로망이 있어 차량을 통해 도심업무지구(CBD) 및 강남업무지구(GBD) 등으로 이동이 수월하다. 이와 함께 단지 인근에 위치한 청량리역은 현재 서울 지하철 1호선, 수인분당선, 경의중앙선, 경춘선, KTX 강릉선 등 멀티노선이 지나고 있으며, 향후 GTX B(송도~마석)·C(덕정~수원)노선과 면목선(청량리~신내동), 강북횡단선(청량리~목동) 등도 계획돼 있다. 생활환경도 좋다. 롯데백화점 청량리점, 코스트코 상봉점, 홈플러스 상봉점, 경희의료원, 삼육서울병원, 이문체육문화센터, 이문 어린이도서관, 주민센터 등 각종 생활 인프라도 풍부하다. 또한 단지 앞으로 중랑천이 흐르고, 뒤편으로는 천장산과 의릉이 펼쳐져 있는 배산임수 입지로 쾌적한 주거생활이 가능하다. 여기에 단지 인근 3개 공원이 위치해 있고 생태연못, 분수대, 주민운동시설, 휴게정원, 단지 내 산책로 등 이문 아이파크 자이 공동주택의 조경시설을 함께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5㎞ 내 13개 대학이 위치해 있으며, 외대가 바로 앞에 있어 대학생 및 교직원 등의 수요도 품을 전망이다. 인근 개발계획도 풍부하다. 서울시와 동대문구는 단지 인근 홍릉 일대에 홍릉 R&D 지원센터 및 첨단의료기기 개발센터 조성사업을 진행중에 있다. 동대문구는 특히 이 일대를 '홍릉 바이오 허브 밸리'로 조성해 관련 기업과 연구기관 등을 대거 유치하겠다는 방침이다. 견본주택은 서울 동대문구 이문동 일원에 위치해 있다. (1600-4452)

2024-01-24 09:56:18 이규성 기자
기사사진
[부동산 특집] DL이앤씨, 'e편한세상 원주 프리모원'

DL이앤씨는 이달 중 'e편한세상 원주 프리모원'의 2회차 59~102㎡ 572가구를 선보인다. e편한세상 원주 프리모원은 지난해 7월 원주시에서 희소가치가 높은 소형 평형으로 구성된 1회차 350가구를 공급해 관심을 모았다. 이번 2회차 공급물량은 전 가구가 중대형 평형으로 구성된다. 전용면적별로는 ▲84㎡A 103가구 ▲84㎡B 69가구 ▲102㎡ 50가구 등 총 222가구다. 1회차 성공 분양에 대한 감사의 의미를 담아 2회차 청약 신청 고객에게 발코니 확장을 무상으로 지원하는 혜택이 제공된다. 특히 이번 2회차 공급물량은 도심 속 희소한 녹지공간과 인접해 있다. e편한세상 원주 프리모원에는 원주시 최초로 'C2 하우스' 혁신 설계가 적용된다. C2 하우스는 가변형 구조와 최적의 주거 동선으로 설계된 라이프스타일 맞춤 주거플랫폼이다. 입구에는 대형 현관 팬트리가 설치되며, 다용도실에는 세탁기와 건조기를 병렬로 배치할 수 있는 원스톱 세탁존이 마련된다. 아울러 단지 내·외부에는 '스마트 클린&케어 솔루션'이 도입돼 공기질을 깨끗하게 유지해 준다. 미스트 분사로 공기 중의 미세 먼지를 가라앉혀 공기를 맑게 하고, '웨더스테이션'이 설치돼 미세먼지 상태를 쉽게 확인 가능하다. 동별 출입구에는 '복합환기 시스템'도 적용된다. 또 층간소음 최소화를 위한 완충재(60T), 끊김 없는 단열라인과 디테일한 열교설계를 통한 단열기술 등 독보적인 기술력이 바탕이 된 단지로 지어진다. 단구근린공원, 중앙공원, 무실체육공원 등 공원 이용도 용이하다. 남원주IC가 가까워 중앙고속도로로의 진입이 쉽고, 이를 통해 영동고속도로 진입도 용이해 서울 등 광역 이동이 편리하다. 원주역을 이용할 수 있고, KTX중앙선을 이용해 청량리역, 서울역까지 1시간 내외로 이동이 가능하다. 여기에 여주~원주 복선전철(2027년 완공 예정)이 이달 11일 착공식을 진행할 예정이며, 수서~광주 복선전철(2030년 완공 예정)도 사업이 진행 중이다. 머지않은 시점엔 경기 남부지역인 판교뿐만 아니라 서울 강남권인 수서까지 오갈 수 있게 된다. 주택전시관은 강원도 원주시 단구동 일원에 마련된다. (033)743-2455

2024-01-24 09:38:59 이규성 기자
기사사진
[부동산 특집] 현대엔지·포스코 컨소, '힐스테이트 더샵 상생공원'

현대엔지니어링·포스코이앤씨 컨소시엄은 이달 경북 포항시 남구 대잠동 일원에서 '힐스테이트 더샵 상생공원' 84~178㎡ 1668가구를 선보인다. 2개 단지, 총 2667가구의 대단지로 지어진다. 지하 5층~지상 35층, 전용면적 세대로 구성된 2단지를 우선 분양한다. 우선 공급되는 2단지의 전용면적별 가구수는 ▲84㎡A 973가구 ▲84㎡B 126가구 ▲84㎡C 183가구 ▲127㎡ 374가구 ▲139㎡P 6가구 ▲178㎡P 6가구다. 단지는 포항시 내에서도 주거선호도가 높은 중심 생활권에 위치하면서 민간공원 특례사업으로 쾌적한 주거환경까지 누릴 수 있다. 공원시설(약 77만㎡)과 비공원시설(약 17만㎡)로 구성된 상생공원 특례사업으로 공급돼 일찍부터 포항시 유망 단지로 꼽혀왔다. 상생공원은 도로로 분절된 4개의 공간을 연결하고 공간별 특화계획을 통해 포항의 새로운 랜드마크로 거듭날 전망이다. 공원 안에는 하늘과 맞닿아 숲을 경험하는 하늘길을 비롯해 포스코 야간경관을 즐길 수 있는 전망대, 워터프라자, 아트프라자, 국민체육센터 등이 조성될 계획이다. 포항시청을 중심으로 형성된 각종 인프라와 영일대 호수공원 등을 편리하게 누릴 수 있는 입지 여건도 강점이다. 단지 가까이 포스코대로와 희망대로를 통해 포항 시내 이동을 빠르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포항IC, 7번 국도, 31번 국도도 인접해 포항 전역 및 타 지역으로의 이동도 쉽다. 또한 포항고속·시외버스터미널, KTX포항역 등 광역교통망도 잘 갖춰져 있다. 단지는 브랜드 선호도가 높은 현대엔지니어링과 포스코이앤씨가 함께 짓는 컨소시엄 사업으로 사업 안정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각 건설사의 기술과 노하우를 집약해 상품성이 기대된다. 대단지 프리미엄을 극대화할 커뮤니티시설도 계획되어 있다. 특히 고급 아파트 커뮤니티시설에서만 볼 수 있던 조·중식 서비스(유료)를 포항시 최초로 선보일 예정이다. 한편 견본주택은 포항시 남구 이동 에스포항병원 인근에 위치해 있다. (1533-1991)

2024-01-24 09:38:14 이규성 기자
기사사진
[부동산 특집] 대우건설,'송내역 푸르지오 센트비엔'

대우건설이 이달 경기도 부천시 송내동 일원(부천송내1-1구역 주택재건축정비사업)에 들어서는 '송내역 푸르지오 센트비엔' 49~109㎡ 1045가구 중 225가구를 일반분양한다. 전용면적별로 살펴보면 1단지 ▲49A㎡ 21가구 ▲59㎡A 87가구 2단지 ▲49B㎡ 27가구 ▲59㎡C 90가구 등이다. 송내역 푸르지오 센트비엔은 노후주택 비율이 높은 부천시의 역세권 입지를 갖춘 대단지 아파트로 수요자들의 관심이 기대된다. 특히, 단지 인근으로 다수의 산업단지, 대학교, 대학병원 등 근로자 수요가 풍부해 소형 평형으로 공급되는 송내역 푸르지오 센트비엔에 관심이 집중될 것으로 보인다. 반경 500m 내에 지하철 1호선 송내역과 중동역이 있다. 송내역은 용산행 급행열차가 정차하는 곳으로 신도림까지 17분대, 용산까지 30분대로 도착할 수 있다. GTX-B 노선 추진에 따른 수혜도 기대된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GTX-B 노선은 인천대입구역∼마석역 총 82.7㎞ 구간을 정거장 14개소로 연결하는 사업으로 올해 착공해 2030년 준공될 계획이다. 단지 인근에 솔안공원을 비롯해 솔안말어린이공원, 행운어린이공원, 태양어린이공원, 투나광장, 둘리광장 등 다수의 공원이 가깝다. 49㎡ 타입의 경우 3-베이(BAY) 판상형 구조를 적용해 거실 개방감 및 공간활용도를 높였으며, 전용면적 59㎡ 타입은 타워형 구조로 합리적이고 실용적인 공간으로 구성했다. 드레스룸 등이 조성돼 넉넉한 수납공간을 마련했다. 단지 내에는 보행녹도를 설치해 보행자의 안전과 쾌적성을 확보했으며, 택배 차량 진입이 가능한 지하주차장 설계로 안전하고 편리한 단지 환경이 조성된다. 커뮤니티 시설로는 피트니스클럽, GX클럽, 골프클럽, 어린이집, 시니어클럽, 독서실 등이 조성되며, 차 한 잔의 여유와 휴식을 즐길 수 있는 카페도 들어선다. 단지 내 조경 공간에도 공을 들였다. 1, 2단지 사이에 중앙 어린이공원 뿐 아니라 각 단지 내에도 아이들이 안전하게 뛰어놀 수 있는 테마 놀이터와 물놀이 공간으로 꾸며진 2개소의 어린이 놀이터 등이 계획돼 있다. (1599-1099)

2024-01-24 09:37:26 이규성 기자
기사사진
[부동산 특집] 두산건설, '두산위브더제니스 센트럴 양정'

두산건설은 이달 부산진구 양정동 일원에 '두산위브더제니스 센트럴 양정' 아파트 244가구와 주거형 오피스텔 20호실을 공급한다. 아파트 면적은 59~76㎡, 8개 타입으로 다양하게 구성된다. 사업지가 위치한 부산진구 양정동 일대는 부산의 새로운 주거 중심지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부산 내에서 보기 드문 평지입지인 일대에 시민공원의 5개구역 재정비촉진지구를 시작으로 양정·연산동으로 이어지며 21개의 정비사업이 진행 중이다. 입지는 부산 중심 인프라를 누릴 수 있는 더블생활권이다. 부산시청, 연제구청, 경찰청 등 행정 중심지인 '연산생활권'을 공유한다. 여기에 롯데백화점, NC백화점, 병·의원, 금융시설 등 부산 핵심 상권이 밀집된 서면·부전생활권 이용도 편리하다. 단지는 교통 요충 입지다. 도시철도 1호선 양정역을 도보 6분에 접근 가능하고, 부산의 동서와 중심을 관통하는 거제대로· 중앙대로·동서고가로를 비롯해 동평로 등 주요 간선도로를 이용해 서면권과 해운대권·동래권 등 이동이 편리하다. 교통여건으로 공사기간을 2년 단축시킨 '황령3터널'이 2030년 개통 예정이기 때문이다. 교통체증을 줄이기 위해 건설되는 황령3터널을 이용하면 연산교차로에서 대남교차로까지의 이동시간을 20분 단축할 수 있다. 여기에 지난해 부산형 광역급행철도인 'BuTX'의 도심 환승 정거장에 '부전역'이 추가됐다. 주변에 축구장 60개 크기의 부산 최대 공원 규모를 자랑하는 부산시민공원, 전국 최대 광장 규모의 송상현광장과 황령산 등 풍부한 자연 환경도 갖췄다. 한편 '두산위브더제니스'는 부산에서의 고급 주거 브랜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가족 전용 영화관, 악기 연습실 등 최고급 편의시설을 갖춘 '해운대 두산위브더제니스'에 이어 지난해에는 '두산위브더제니스 오션시티'의 분양과 '두산위브더제니스 하버시티'의 입주가 완료되면서 해당 지역의 대장 아파트 역할을 하고 있다. 견본주택은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에 마련된다. (051)746-3992

2024-01-24 09:36:45 이규성 기자
기사사진
[부동산 특집] 포스코이앤씨, 전주 '서신 더샵 비발디'

포스코이앤씨가 HL디앤아이한라와 함께 다음달 전북 전주에서 '서신 더샵 비발디' 1914가구 중 59~120㎡ 1225가구를 일반분양한다. 전용면적별로는 ▲59㎡ 177가구 ▲73㎡ 261가구 ▲84㎡ 710가구 ▲120㎡ 77가구다. 백제대로·전룡로 등이 인접해 있어 차량을 통한 지역 내 이동이 쉽고, 호남고속도로 서전주IC와 순천완주고속도로 동전주IC 진출입도 편리하다. 전주역과 전주고속버스터미널 등도 가까워 전국 주요도시로 쉽게 오갈 수 있다. 풍부한 생활 인프라도 장점이다. 백화점을 걸어서 이용할 수 있고, 대형마트도 인접해 있다. 전북대병원·원광대 전주한방병원 등 대형 의료시설과 전북도청, 전주시청, 전북경찰청, 서신동주민센터 등 각종 공공기관도 이용하기가 쉽다. 힐링 라이프도 장점으로 꼽힌다. 단지 인근 전주천과 삼천을 따라 산책길 및 자전거길이 조성돼 있고 안터공원, 도내기샘공원, 전룡공원 등 다수의 근린공원도 가깝다. 문학대공원을 비롯해 전주종합경기장, 화산체육관, 도내기샘 국민체육센터 등 체육시설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편리한 직주근접성도 주목할 만 하다. 단지 주변으로 공공기관 및 대학교, 방송사 등이 집적돼 있고 전주탄소소재 국가산업단지, 전북 테크노파크, 전주일반산업단지, 전주친환경복합단지 등 다수의 산업단지 출퇴근도 편리하다. 차별화된 상품성도 기대를 모으는 요소다. 커튼월 룩, 포스코의 프리미엄 강건재를 이용한 스틸 아트월 등 지역에서 보기 드문 고급감을 갖춘 단지 외관설계를 필두로, 남향 위주의 단지 배치를 통해 채광과 통풍 효율을 극대화하는 한편, 지상의 경우 차 없는 공원형 아파트로 구현될 계획이다. 아울러, 가구당 1.43대에 달하는 넉넉한 주차공간을 확보해 입주민의 주차 문제도 최소화한다는 방침이다. 입주민 전용 커뮤니티도 다채롭게 조성된다. 러닝트랙과 GX룸을 갖춘 피트니스센터와 작은도서관, 키즈룸, 스튜디오 등의 원스톱 문화공간 주민카페, 스터디북카페, 프리미엄안심보관센터 등이 단지별로 다양하게 들어설 예정이다.

2024-01-24 09:36:04 이규성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