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제106주년 3·1절 기념행사 개최
인천광역시는 제106주년 3·1절을 맞아 아트센터인천에서 기념행사를 열고 독립운동의 정신을 기리는 시간을 가졌다. 행사에는 광복회원, 보훈단체, 유관단체, 학생, 시민 등이 참석해 선열들의 희생을 기렸다. 본행사에 앞서 유정복 인천시장과 정해권 인천시의회 의장, 도성훈 인천시 교육감, 홍경화 인천보훈지청장, 인천시 보훈단체장, 시의원, 시민 등 200여 명이 미추홀구 수봉공원의 현충탑을 찾아 참배했다. 순국선열과 애국지사의 숭고한 정신을 기리는 뜻깊은 시간이 됐다. 기념식은 '평화와 자유, 독립의 염원이 오늘의 국제평화도시 인천으로'라는 슬로건 아래 국민의례를 시작으로 독립선언서 낭독, 독립유공자 포상, 기념사, 헌시 낭송, 3·1절 노래 제창 및 만세삼창 순으로 진행됐다. 독립선언서는 이완석 광복회 인천시지부장과 독립운동가 후손들이 낭독했다. 윤석규, 전계하, 이현경, 박영섭, 박명현, 이휘, 윤동현 등 후손들이 직접 나서 선조들의 희생을 되새겼다. 이어 국가보훈부에서 선정한 독립유공자 2명(고 서동화 선생, 고 이영규 선생)에 대한 포상이 이루어졌으며, 유정복 시장이 그 자녀 서재웅, 이재화에게 상을 전달했다. 기념식에서는 고 이준명 애국지사의 손녀 조은영 시인이 자작 헌시 '그 길에 숨결'을 낭송해 3·1절의 의미를 깊이 새겼다. 만세삼창은 정해권 인천시의회의장이 선창하고, 독립운동가 후손인 이용대(고 이면우 애국지사 손자), 권동희(고 권갑봉 애국지사 손녀)가 함께하며 행사에 참석한 시민들이 한목소리로 만세를 외쳤다. 기념공연도 눈길을 끌었다. 퓨전국악밴드 '경지'가 애국지사들에게 감사와 추모의 뜻을 전하는 '36년(어둠에서 빛을 보리)', 유관순 열사와 안중근 의사의 옥중 감정을 담은 '자유의 외침', 희망을 노래한 '보물섬' 등 다채로운 공연을 선보이며 감동을 선사했다. 부대행사도 마련됐다. 독립군이 먹었던 주먹밥을 직접 만들어보는 체험, 독립투사 의상을 입고 감옥을 체험하는 프로그램 등이 운영돼 당시의 어려움을 간접적으로 경험하는 기회가 제공됐다. 대형 태극기와 우리나라 지도에 소망을 적어보며 독립운동가들의 희생을 기리는 시간도 마련됐다. 시민들은 손도장으로 태극기를 제작한 후 태극기 플래시몹에 참여하고, 얼굴에 태극기를 그리는 체험을 하며 자유와 평화의 가치를 공유했다. 행사 후 유정복 시장은 창영초등학교로 이동해 시민들과 함께 시가행진을 펼쳤다. '대한 독립 만세'를 외치며 실제 3·1 만세운동을 재현한 이 행진은 시민들에게 독립운동의 의미를 직접 체감할 수 있도록 했다. 유정복 시장은 "독립운동은 국권 회복을 넘어 세계 평화를 위한 숭고한 실천이었다"며 "인천이 그 정신을 계승해 국제평화도시로 발전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시민과 함께 새로운 지방시대를 열고 '시민이 행복한 세계 초일류도시, 인천'을 만들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