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제약/의료/건강

롯데건설, 본사 포함 1조원 자산 매각 추진..유동성 위기 극복 총력

서울 서초구 잠원동에 위치한 롯데건설 본사 전경.

롯데건설이 서울 서초구 잠원동에 위치한 본사 사옥 등을 매각하며 1조원 이상의 자금 확보에 나선다. 유동성 위기를 벗어나기 위한 초강수를 꺼내든 셈이다. 롯데그룹은 올해 들어 비핵심 계열사를 잇달아 정리하며 재무건전성 안정화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롯데건설은 27일 본사 사옥 부지에 대한 컨설팅을 위한 용역사 선정 절차를 밟고 있다고 밝혔다. 창고 부지 및 사업토지 등에 대한 자산 활용 방안도 모색 중이다.

 

본사 사옥은 1978년 건립된 이후 리모델링을 했으며, 부지 면적은 약 1만㎡다. 지난 2023년 9월 지구단위계획 특별계획구역으로 결정돼 공동주택 등 주거시설로 통합개발이 가능한 상태다.

 

롯데건설은 부지에 대한 자체개발에 대한 재검토와 함께 외부 전문 컨설팅을 통해 개발 또는 매각, 매각 후 임대(세일 앤 리스백) 등 자산 효율화 절차가 내부적으로 시작될 예정이다. 한남대교 남단 경부고속도로 초입에 위치해 향후 한남IC~양재IC 구간을 대상으로 한 '경부고속도로 지하화 사업'에 대한 기대감으로 부지에 대한 가치가 높아질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밖에도 유휴자산, 사업토지 및 민간임대리츠 지분 등 보유 자산에 대한 활용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수도권과 지방에 위치한 자재 창고부지 등 외부에 임대 중인 유휴자산 등은 외부매각도 검토할 계획이다.

 

롯데건설은 보유자산 효율화를 통해 2026년에는 부채비율이 150%로 낮추고, 경상이익도 1000억원 이상 추가로 증가할 것으로 보고 있다.

 

롯데건설 관계자는 "지난 2022년 이후 롯데건설은 재무 안정성 강화와 현금흐름 중심 경영을 펼쳐 재무구조를 개선해왔다"며 "이번 컨설팅을 통해 자산매각 등 자산효율화에 더욱 박차를 가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롯데그룹은 그룹 전반에 걸쳐 비핵심 사업을 잇달아 매각하며 유동성 확보에 속도를 내고 있다.

 

전일 롯데그룹은 편의점 세븐일레븐 운영사 코리아세븐이 금융자동화기기 전문회사 한국전자금융과 현금자동입출금기(ATM) 사업매각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코리아세븐은 이번 계약을 통해 600억원 이상의 유동성을 확보, 재무구조 개선에 활용한다는 방침이다.

 

롯데웰푸드는 지난 7일 제빵사업부 증평공장을 신라명과에 매각했다. 구체적인 매각 금액은 밝히지 않았지만 매각 대금은 글로벌 사업 확장에 활용할 방침이다. 지난 19일에는 롯데케미칼이 파키스탄 자회사 LCPL의 보유지분 전량(75.01%)을 파키스탄계 사모펀드 투자회사 등에 매각했다. 매각 대금은 979억원으로 미수령 배당금 등을 합해 1275억원을 확보하게 된다.

 

지난해 12월에는 롯데렌터카를 운영하는 롯데렌탈 지분 56.2%를 1조6000억원에 매각했으며, 롯데쇼핑은 롯데마트 수원영통점과 롯데슈퍼 여의점 등 비효율 자산 매각을 진행한 바 있다.

 

그룹은 사업구조 재편을 통해 재무구조를 개선하고 본업 경쟁력을 강화하겠다는 방침이다.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은 지난해 직면한 유동성 위기를 돌파하기 위해 그룹 CEO들에 사업 모델을 재정의하고 사업 조정을 시도해 달라고 촉구한 바 있다.

 

신 회장은 지난달 '2025년 상반기 VCM'에서 "지금 쇄신하고 혁신하지 않으면 살아남을 수 없을 것"이라며 "빠른 시간 내 시장의 신뢰를 회복하기 위해 유형자산 매각, 자산 재평가 등 다양한 방안을 시행하고 있지만 근본적인 해결을 위해서는 사업의 본원적 경쟁력 강화로 수익성을 높여야 한다"고 당부했다.

 

/이세경기자 seilee@metroseoul.co.kr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