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건설/부동산>업계

[이규성의 전원에 산다] 척사대회가 있던 날

이규성 선임기자.

겨울 가고, 봄이 오는 길목에서 새해 첫마을 행사를 치렀다. 정월대보름 날 마을 척사대회(윷놀이)다. 회관 마당에 윷놀이판을 위한 돗자리 몇개가 펼쳐지고, 한켠에선 커다란 가마솥도 내걸려 그런대로 잔치 분위기가 물씬 했다. 솥에선 소머리를 삶는 냄새가 마을 전체로 퍼졌다. 어느 덧 마을사람들이 모이고, 막걸리잔이 오가고, 윷놀이판이 열리면서 웃음소리와 환호성이 가득 했다. 어디선가 '으랏차차'하는 함성도 터져나왔다. 윷을 던지는 이가 내는 기합소리다. 척사대회는 이사오던 이십수년전에도, 지금도 계속되고 있다.

 

놀이판이 무르익을 즈음 어떤 이들이 끼어들었다. 우리 지역구의 정치인이다. 이번 총선에 나갈, 각 당의 후보들이 찾아왔다. 마을사람 중에는 후보들과 중·고등학교 선후배인 경우도 많아 어수선해지기 일쑤였다. 어떤 정치인은 조용히 인사만하고 가는 경우도 있고, 어떤 정치인은 괜시리 주민들을 모아 연설을 하고 싶어하는 정치인도 있고, 어떤 정치인은 막걸리판에 끼여 자기도 한잔 걸치며 특별한 인상을 남기려 애썼다. 그리고는 다들 지역 발전을 위해 열과 성을 다하겠노라는 다짐을 잊지 않았다. 그러나 그 말이 지켜질거라고 믿는 이는 없다. 정치인은 공약하고 유권자는 믿지 않고. 읍장도 조합장도 이웃마을 이장도 들렀다. 속으로 '왜 이들까지 몰려다는거냐'고 생각했다.

 

그래서 올해 척사대회는 여느 해와 다르게 방문객이 많고 어수선했다. 하지만 엣날처럼 선물이나 돈봉투를 나눠주고 가는 후보가 없는게 다행이다. 실제 외환위기 이전 한 정당의 당원이었던 이장이 나서서 봉투를 돌렸다. 그것도 사람을 골라서. 당시 집권당을 지지해달라는 이장과 심하게 다퉜다. '더러운 매표행위를 하지마라'고. 다툼 이후 이장과는 서먹해졌다. 내가 이장과 다퉜다는 소문이 돌고 봉투를 거부한 이들과는 친해지고 봉투를 받아든 이들과는 덜 친해진 정도랄까. 아무튼 그날 이후 이장과는 그가 세상을 떠날 때까지 형님, 아우란 호칭을 더이상 하지 못했다.

 

민주화를 표방한 대통령이 오고 돈봉투는 없어졌다. 또 정치인들이 제공하는 막걸리판도, 선물도 사라졌다. 하지만 그 이후로 국회의원, 군수, 시장 등 대부분 뇌물로 감옥가고 현 국회의원도 입건돼 있는 상태로 선거를 치룰 판이다. 이것이 수도권의 한 지역에서 지금 벌어지고 있는 행태라면 믿을까.

 

그런 정치인을 두고 몇몇 주민들은 민원을 넣거나 실천해줄 사항을 당부하기도 했다. 우리마을에는 두가지 규제가 있다. 상수원 보호구역과 문화재 보호구역이라는 족쇄는 이 지역의 개발을 막고 있는 장애로 작용, 해제가 주민들의 오랜 숙원으로 남아 있다. 이곳의 지천은 곤지암천-경안천을 지나 팔당과 연결돼 서울의 물 공급 원천이 되고 있다. 소머리국밥으로 유명한 곤지암은 횡성처럼 한우 스토리를 지니고 있으나 대규모 축사를 짓지 못한다. 또한 분원리 이전의 왕실 백자 가마터가 남아 있어 문화재보호구역으로 묶여 규제를 받고 있다. 물론 이런 규제는숙원사항이지만 주민들이 대놓고 요구하는 경우를 본적은 없다. 그런데도 선거철마다 정치인들이 단골로 공약하고 아무 것도 풀지 못하는, 아주 묘한 평행선을 유지한다.

 

우리 마을에는 3·1운동 당시 '해방 선언문' 작성에 참여한 민족지도자 33인 중 한사람이 있다. 그는 중국으로 건너가 독립운동을 하다 서거했다. 신익희 선생과 더불어 우리 지역이 자랑하는 위인이지만 두분 모두 별다른 기념사업 하나 없다. 그들의 후손들이 이곳에 여전히 뿌리내리고 살지만 큰 활동을 하지 않는다. 독립운동을 했다고, 야당한다는 박해에 넌더리가 난다며. 그중에는 학교에 가서도 혼 난 적 있다고. 그래서 이 마을사람들은 여전히 독립운동가를 묻고, 어느 한때의 척사대회를 즐겨오고 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