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오피니언>기자수첩

[기자수첩] 더불어 사는 기술

산업부 김재웅 기자

미국 애플 파크는 굳게 닫혀있었다. 빽빽한 나무로 가려졌고, 입구도 잘 보이지 않게했다. 직원들도 쉽게 오가지 못할 듯 했다.

 

애플은 철저하게 폐쇄적인 전략으로 성장했다. 자체 하드웨어에서만 구동할 수 있는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응용 소프트웨어도 꼭 맞춰 개발하도록 했다. 사용자 역시 애플이 만든 인터페이스를 개조할 수 없도록 통제했다. 마음대로 음악을 저장하는 것은 물론 곡을 선택해 듣기도 어려웠던 MP3 플레이어, 아이팟이 애플 정신을 대표한다.

 

사실 애플은 폐쇄성 때문에 도산할 뻔한 적이 있다. 1990년대, 누구나 만들 수 있는 IBM PC가 보급되고 마이크로소프트(MS) 윈도우즈가 널리 쓰이면서 개발도 까다롭고 쓰기도 어려운데 가격까지 비싼 애플 제품을 쓰려는 사람은 거의 없었다.

 

오히려 MS에 투자를 받아 부도 위기를 넘기고 맥북에 윈도우즈를 쓸수 있게 하면서 성장했으니, 애플의 터닝포인트는 '협력'이 아니었나 싶을 정도다. 애플을 처음 만든 스티브 워즈니악도 정보 공유를 핵심으로 하는 '해커 윤리'에 기반해 세계 최초 PC를 만든 바 있다.

 

요즘 애플은 암흑기처럼 폐쇄성을 강화하는 모습이다.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생태계까지 폐쇄성을 강화하는 것은 물론, 협력사와 관계를 최소화하고 완전한 '독불장군'이 됐다. 애플카를 아직 못만드는 이유도 이 때문으로 알려졌다.

 

폐쇄적인 하드웨어는 마치 장난감 건반과 같다. 허용된 소리는 피아노보다도 완벽하게 내지만, 그 이상으로 다양한 음악을 연주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애플이 쓰기 편한 제품을 만들 수는 있지만, 다양한 기업들이 만드는 가지각색 기술을 모두 구현할 수는 없다.

 

삼성전자가 자신있게 새로운 웨어러블 기기인 갤럭시링을 선보였지만, 애플은 아직도 워치 특허로 판매조차 불투명해진 상황은 그저 예고편에 불과하다. 얼마나 많은 사람들을 만나는지가 성능 척도인 인공지능(AI) 시대에서는 애플이 살아남기 어렵다는 분석도 이 때문이다.

 

아이폰이 너무 비싸 갤럭시를 쓸 수 밖에 없다는 현지 버스 기사 이야기도 그냥 지나치기에는 무거웠다. 미국 시장은 삼성 스토어는 물론 안드로이드 모바일 매장도 찾기 어려울 만큼 애플 중심이지만, 소비자들도 지치기 시작했다는 의미로 들렸다.

 

삼성전자가 스마트폰 출고량 세계 1위를 뺏긴데 대해, 노태문 사장은 다양한 소비자 니즈를 충족하겠다고 힘줘 말했다. 갤럭시 AI도 협력을 확대하며 기능을 늘리겠다고, 지원 대상과 기간도 늘려 더 많은 사람들이 쓸 수 있도록 하겠다고 약속했다. '플래그십을 중심으로 수익성을 개선하겠다'는 답을 기대했다가 조금 부끄러워졌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