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건설/부동산>업계

재개발-재건축 물량 총 14만여가구...2000년 이후 최대

올해 재건축·재개발 등 정비사업 분양계획 아파트는 전국에서 총 14만7185가구에 이를 전망이다.

 

9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2024년 재건축·재개발 분양계획 아파트는 전국 총 14만7185가구로, 조사를 시작한 2000년 이후 최다 물량이다. 가장 실적이 저조했던 2010년 2만7221가구에 비하면 5배 이상 많은 수치다. 하지만 계속된 분양 지연으로 2021~2023년 평균 정비사업 실적이 계획 대비 45% 수준에 그쳤고, 올해 주택시장 여건도 녹록지 않아 실제 분양으로 연결되지 못하는 물량이 상당할 것으로 보인다.

 

올해 정비사업 물량이 몰린 이유는 조합원 분담금이 늘어나는 등 시간과 비용 상 문제로 분양을 미룰 수 없는 요인도 크다.

 

수도권 정비사업 물량은 8만8862가구이며 이 가운데 서울물량은 4만5359가구다. 강남3구(강남·서초·송파)에서만 16곳, 1만8792가구다. 잠실래미안아이파크, 래미안원펜타스 등 8개 단지, 6847가구가 작년에 이월된 물량이다. 최근 분양 지연이 빈번한 점을 감안하면 공급 시점을 확정하지 못한 일부 사업지들은 연내 분양에 나서지 못할 가능성이 높다.

 

지방은 5만8323가구다.

 

올해 유난히 정비사업 분양물량이 많은 원인은 미분양 리스크가 적어서다. 정비사업 아파트는 기반시설이 양호한 원도심에 위치, 수요 확보에 유리하다. 조합원 분을 제외한 물량만 일반분양돼 공급 부담도 덜하다. 정비사업 아파트는 청약시장이 위축됐던 지난 2022년에도 평균 청약경쟁률이 14.2대 1을 기록, 인기가 높았다.

 

내집마련 수요자라면 주택시장 침체가 이어지는 상황에서 집값 하락과 분양가 상승 등으로 매수자들의 관망, 프로젝트파이낸싱(PF) 자금조달 문제 등 여러 변수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건설사들도 시장 분위기가 호전된 후에 분양을 하려는 등 시기 조절에 고심하는 분위기다. 실수요자들은 원하는 사업지의 분양 일정을 지속적으로 확인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민간택지 분양가상한제 적용을 받는 강남권 단지들을 제외하면 분양가 상승으로 시세 대비 경쟁력이 낮아지고 있다는 점도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