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전자 업계가 희망찬 연말을 보낼 수 있게 됐다. 스마트폰과 가전 등 전방 산업이 우려보다는 나은 업황을 보인 가운데, 반도체도 본격적으로 회복세를 되찾으면서다. 전장을 중심으로 미래 육성 사업도 성과를 내기 시작하면서 기대감은 더욱 높아지는 모양새다. 회복이 느리고 중국 추격도 거세지는 TV 사업 대응이 숙제다.
◆ 전방 산업 회복세로
25일 시장조사업체 IDC에 따르면 올해 전세계 스마트폰 출하량은 전년 대비 3.5% 감소한 11억6000만대가 유력하다.
직전 전망치(4.7% 감소)보다 상향 조정한 것. 당초 중국이 엔데믹 효과를 보이지 않으면서 업황 회복도 묘연해졌지만, 하반기부터 중국 시장이 되살아나고 애플 아이폰과 삼성전자를 필두로 한 폴더블폰 시장이 대폭 성장하면서 출하량 전망도 대폭 확대됐다. 특히 코로나19로 주춤했던 5G 스마트폰 성장세가 다시 가팔라지면서 평균 판매 가격(ASP)도 전년 대비 5.5% 오를 것으로 예상됐다.
반도체 시장도 본격적으로 반등을 시작했다. 하반기 들어 메모리 가격이 상승세로 돌아선데 이어 미국 마이크론이 9월부터 11월까지 시장 전망치를 뛰어넘은 실적을 기록하는데 성공했다. 적자폭을 전분기 대비 23% 이상 줄이면서 1조 5000억원대로 막았다.
메모리 감산 효과에 더해 스마트폰 등 전방 산업 회복으로 수요가 다시 공급을 넘어서기 시작했다는 분석이다. D램익스체인지에 따르면 DDR4 8Gb D램 평균 가격은 1.74달러 수준, 1달러 초반까지 떨어졌다가 크게 올랐다. 더 비싼 DDR4 16Gb와 함께 DDR5 D램 비중이 높아진 만큼 실제 수익성은 훨씬 확대됐을 가능성이 높다.
인공지능(AI) 열풍으로 HBM 등 고사양 메모리는 품귀 현상을 겪을 정도,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3분기 파운드리 시장도 전분기 대비 7.9% 확대되면서 성장세를 가시화했다. 마이크론이 낸드플래시 ASP가 20%나 올랐다고 밝히기도 했다. KB증권은 12월메모리 주문량이 크게 늘었다며 실적 전망치를 더욱 높이기도 했다.
◆ 연말 실적 기대감 확대
삼성전자 실적 기대감이 높아지는 이유도 이 때문이다. 증권가에서는 삼성전자 4분기 영업이익을 3조~4조원대로 추정하고 있다. 전분기보다 1조원 가량 늘어난 숫자다. 스마트폰 판매 호조로 MX 실적이 크게 개선된데 더해 반도체 부문 적자도 1조원 미만으로 떨어질 가능성을 높게 보는 분위기다. 특히 D램은 흑자 전환을 유력하게 보고 있다.
SK하이닉스 역시 4분기부터는 정상화를 본격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미 3분기 D램 흑자 전환, 4분기에는 HBM3 출고를 본격화하면서 수익성 회복도 속도를 붙여 영업 적자를 2000억~3000억 수준으로 떨어뜨릴 것이라는 전망이다.
부품회사인 삼성전기와 LG이노텍도 4분기 기대를 넘는 성적표를 받아들 것으로 기대된다. 애플 아이폰15가 기대 이상으로 판매 호조를 보이는 가운데, 지난 분기 주춤했던 부품 공급도 본격적으로 재개한 영향이 크다. 비수기 속에서도 LG이노텍이 역대 최대 실적을 달성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 삼성전기도 견조한 실적을 이어갈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IT OLED를 주력 사업으로 점찍은 삼성디스플레이도 올해 삼성전자 부진에 해결사로 떠올랐다.
◆ 미래 사업 '전장' 안정 성과도
특히 전자 업계가 올해 이뤄낸 가장 큰 성과는 전장이다. 전장 사업은 국내 전자 업계가 미래 먹거리로 지목한 육성 분야로, 지난해부터 흑자를 내기 시작해 올해에는 흔들림 없는 성과를 지속해왔다.
삼성전자 자회사인 하만은 3분기까지 매출 10조원을 넘기며 전년 대비 9% 가량 성장했고, 영업이익은 8300억원으로 연말까지 처음으로 1조원 돌파가 유력시된다. 디지털 콕핏과 디스플레이 등으로 글로벌 프리미엄 완성차 업계에서 영향력을 더욱 확대했다.
LG전자 VS사업본부는 이미 LG전자 주력 사업으로 거듭났다. 지난해 전체 매출에서 10%를 돌파, 올해에도 100조원 가까운 수주 잔고를 이어가며 글로벌 경기 침체 속에서도 LG전자 실적을 떠받치는데 크게 기여했다. 연말까지 영업이익이 2조원에 육박할 것으로 증권가는 내다보고 있다.
◆ 침체된 TV 사업 숙제
침체된 TV 시장은 숙제다.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올해 전세계 TV 출하량 전망치는 1억9700만대로 2010년 이후 처음으로 2억대도 지키지 못하게 됐다. 연말 블랙프라이와 광군제 등 성수기에서도 그렇다할 반전은 없었다는 전언이다. 내년에는 소폭 반등이 기대되긴 하지만 조사기관별로 2억대 전후를 예상하며 침체가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중국 TV 업계 추격도 문제다. 삼성전자가 꾸준히 1위를 지키고는 있지만, 하이센스와 TCL 등 중국 업체들이 저가 공세를 이어가며 점유율을 높이고 있다. 출하량을 기준으로는 이미 LG전자가 뒤로 밀린 상황, LCD 패널 가격이 큰 폭으로 하락하면서 경기 침체를 이용한 저가 전략은 성공적으로 시장을 장악하는 모습이다. 이미 LCD TV를 기준으로는 중국 점유율이 한국을 앞지른 것으로 알려졌다.
경기 침체로 프리미엄 제품군인 OLED TV 시장이 크게 위축된 것도 문제다. 국내 TV 업계는 최근 LCD가 아닌 고부가가치인 OLED TV를 중심으로 라인업을 개편해왔다. 특히 LG전자는 OLED TV 선구자로 영향력을 키워왔지만, 올해 전세계 OLED TV 출하량이 전년보다도 10% 이상 하락하면서 HE사업부문 적자까지도 예상되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관련 업계는 대책 마련에 분주하다. 삼성전자와 LG전자는 자체 플랫폼을 활용해 F.A.S.T 등 콘텐츠 전략을 확대하는 한편, LG전자는 webOS를 타사 TV와 자동차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에까지 공급하는 등 수익화 모델을 새로 더하고 있다.
LG디스플레이도 경영 정상화에 팔을 걷어붙혔다. 정기 인사를 통해 LG이노텍을 성공적으로 경영한 정철동 사장을 새로운 CEO로 임명했으며. 유상증자를 통해 1조원 규모 OLED 투자 자금을 마련하고 경쟁력을 강화하며 반등을 꾀한다는 전략이다. TV 패널과 함께 IT향 제품으로 사업 안정성도 확대한다는 방침, 모회사인 LG전자도 5000억원 규모 지원을 확정했다.
Copyright ⓒ Metro. All rights reserved. (주)메트로미디어의 모든 기사 또는 컨텐츠에 대한 무단 전재ㆍ복사ㆍ배포를 금합니다.
주식회사 메트로미디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17길 18 ㅣ Tel : 02. 721. 9800 / Fax : 02. 730. 2882
문의메일 : webmaster@metroseoul.co.kr ㅣ 대표이사 · 발행인 · 편집인 : 이장규 ㅣ 신문사업 등록번호 : 서울, 가00206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2546 ㅣ 등록일 : 2013년 3월 20일 ㅣ 제호 : 메트로신문
사업자등록번호 : 242-88-00131 ISSN : 2635-9219 ㅣ 청소년 보호책임자 및 고충처리인 : 안대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