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친구와 새롭게 연결됐다. 이미 40여년이 넘은 친구 사이인데도 연결, 소통이 달라졌다는게 의아하긴 하다. 그걸 가능하게 해준 것은 마을에서 생산되는 채소다. 마을 농가에서 채소를 사는 것이 좋다. 그럴 때마다 시장이 나만큼 가까이 사는 사람이 어디 있겠냐고 자부한다. 그건 엄청난 자부심이다. 잣나무골을 내려가 동네 어귀를 돌아보거나 풍성한 채소밭을 보면 전부 내 것인양 괜시리 흐믓해진다. 잘 자란 채소를 맘껏 저렴하게 먹을거라는, 이 마을사람과 분리되지 않았다는 동질감이 가득 차오르곤 한다. 도시라면 가질 수 없는 감정일게다.
이번에 마을 농장에서 오이 두박스를 샀다. 그러자 농장아저씨는 가지 스무개를 덤으로 주셨다. '우리 반찬하려고 따온건데 먹을텐가'라고 물었다. 거절할 이유가 없다. 오이를 싸게 사는데 가지까지 공짜로 얻어가는게 미안할 따름. 게다가 오이 한봉지를 더 주셨다.
"이번 주말에 감자 캐. 생각 있으면 말해."
"감자값은 얼마예요."
"요즘 값은 잘 모르겠고. 작년엔 10㎏이 1만5000원이었어."
"그럼 두 박스만 주세요."
"시세는 알아볼테니 주말에 와."
돌아와서는 왠지 뿌듯했다. 그래서 한박스는 친구 주고 나머지는 오이지와 소박이를 반반씩 담기로 했다. 한박스에 1만원, 거기에다 가지와 오이를 덤으로 받아 실컷 먹게 생겼다. 마트의 절반 값이다. 시장에 가는 것보다 마을 농부들한테 필요할 걸 사 오는게 좋다. 값이 싸서가 아니라 그렇게 만나고 얘기하고 먹거리 일부를 감당한다는게 만족스럽다. 딸기농장, 옥수수·고구마밭을 찾을 때도 동네사람들과 유대감을 느낀다. 그들도 그런 나를 반기곤 한다.
드디어 일요일 아침 농장주가 교회에 가기전 이른 아침 감자를 사러 갔다. "좀 올랐대. 10㎏에 2만원이야." 두박스를 샀다. 감자알이 엄청 컸다. 그런데 5만원밖에 없어 거스름돈을 주저됐다. 가락시장에 나가려던 박스더미 옆에 채 정리 안된 작은 감자들이 보였다. 작은 것들도 시장에 내다 팔거냐고 물었다. 농장주는 집에서 찬거리로 쓸거라고 했다. "그러면 저걸 1만원 어치 담아주세요. 저도 아무거나 먹어도 돼요." 그러자 농장주는 비닐봉지를 가져다 작은 감자 한보따리를 담았다.
"올해는 감자농사가 잘 돼 50박스는 더 컸어. 감자값도 올랐는데 수확도 많아서 기분 좋아."
농장주의 말뜻을 알만하다. 그는 나보다 열댓살은 더 많다. 그건 감자를 몇 키로 더 넣었으니 주저말고 가져가라는 말이다. 꼭 츤데레 같은 마음씀이다. 이런 때 여간 뿌듯한 게 아니다. 값싸게 물건을 얻어서라기보다 정을 느낄 수 있어서다. 감자를 싣고 떠나려할 때 다른거 팔 때 있으면 전화하겠다고 했다. 그가 한 두 박스 나한테 파는게 나을 건 없다. 그저 시장 도매상에 더 비싼 값에 한꺼번에 넘기는게 당연히 낫다. 그럼에도 그는 덤까지 얹어 쪼개 판다. 순전히 마을 이웃이라서. 그러나 이렇게 가끔 물건을 주고받는게 서로에게 익숙해졌다.
감자를 가져온 후 친구에게 전화했다. 그는 최근 장만한 제천 주말주택에 가 있어 일요일 오후 집에 돌아갈 때는 우리 마을을 지나야한다. 우리 집은 인터체인지 근처에 있다. 그렇게 일요일 저녁 감자를 주고받고 함께 밥을 먹었다. 지난번 오이를 나눠먹고 이번에 감자를 나눴다. 친구네는 전부 오이소박이를 만들었단다.
친구 아내는 감자값을 주겠다고 한사코 얼마냐고 물었다. 친구는 그런 아내에게 아니라고 말렸다. '장 봐다준 것도 아닌데. 그럴 거면 차라리 시장에서 우리가 사먹으면 되는 걸 굳이 이동네 감자를 사서 주겠냐"고 했다. 그가 그러는게 맘에 들었다. 내가 값을 받자고 우리 동네 채소를 사준 건 아니기 때문이다. 그저 무언가를 표현하고 싶었을 뿐이다. 채소와 친구의 연결은 또 다른 공유로 확장되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Copyright ⓒ Metro. All rights reserved. (주)메트로미디어의 모든 기사 또는 컨텐츠에 대한 무단 전재ㆍ복사ㆍ배포를 금합니다.
주식회사 메트로미디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17길 18 ㅣ Tel : 02. 721. 9800 / Fax : 02. 730. 2882
문의메일 : webmaster@metroseoul.co.kr ㅣ 대표이사 · 발행인 · 편집인 : 이장규 ㅣ 신문사업 등록번호 : 서울, 가00206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2546 ㅣ 등록일 : 2013년 3월 20일 ㅣ 제호 : 메트로신문
사업자등록번호 : 242-88-00131 ISSN : 2635-9219 ㅣ 청소년 보호책임자 및 고충처리인 : 안대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