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재계

러시아 전쟁에 또 불확실성 고심하는 산업계…원자재가·환율 상승에 수출 제재까지

현대차·기아는 러시아 현지 시장에서 점유율을 높여가고 있었다. 사진은 2020 러시아 올해의 차에 선정된 모델들/기아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침공을 감행하면서 국내 산업계에도 비상이 걸렸다. 유가 인상에 수출 규제까지 겹치면서 핵심 산업들이 업황 악화를 우려하는 모습이다.

 

가장 직접적인 악재는 원자재 수급난이다.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하면서 국제유가가 100달러를 넘어서는 등 원자재 가격이 크게 상승했다. 러시아가 석유와 천연가스 등을 공급하는 주요 국가라 가격 상승은 지속될 전망이다. 원·달러 환율이 1200원을 돌파하면서 부담도 더 커졌다.

 

에너지산업연구원에 따르면 국제유가가 10% 상승하면 우리나라 경제 성장률은 0.1% 포인트 가량 떨어지고, 물가상승률은 0.1% 포인트 오르고 산업 생산비도 0.67% 포인트 상승한다. 이에 따라 GDP가 감소하고 경제성장을 억제할 수 밖에 없다는 분석이다.

 

원료를 전량 수입해야 하는 에너지 산업이 가장 큰 영향을 받을 전망이다. 러시아가 원유와 천연가스 주요 공급국가라서다. 국내 러시아 의존도는 5% 안팎으로 알려져있지만, 글로벌 시장 가격이 오르는 만큼 원가 상승이 불가피하다. 화학업계도 원유에서 정제해 만드는 핵심 원료인 나프타 가격 상승 직격탄을 맞게 됐다.

 

항공과 해운 등 운송 업계에도 악영향이다. 특히 항공 업계는 코로나19로 존폐 위기에 내몰린 상황, 기름값 인상에 환율 상승으로 비용 부담이 대폭 상승하면서 대규모 손실을 감당할 수 밖에 없게 됐다. 그나마 코로나19 완화에 따른 여객 수요 회복을 기대하던 분위기도 전쟁으로 차갑게 식어버렸다.

 

운송 업계 문제는 당연히 주요 수출 물품에도 영향을 끼칠 수 밖에 없다. 이미 코로나19 이후 물류난이 심각해지면서 지난해 4분기 비용 증가가 현실화됐던 바, 앞으로도 문제를 해결하기 어렵게 됐다.

 

LG전자 등 가전 업계도 최근 러시아 시장 공략을 강화해왔다 /LG전자

특히 미국이 수출 제재를 본격화하면서 러시아 수출도 어려워졌다. 미국 상무부는 앞으로 러시아에 '해외 직접 생산품 규칙(FDPR)'에 따른 품목을 수출하지 못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구체적인 품목은 반도체와 컴퓨터, 통신과 정보보안 장비와 센서 등이다. 중국 화웨이를 규제했던 바로 그 기준이다. 국내 주력 품목인 반도체 제품을 수출할 수 없게 된다는 얘기다.

 

그나마 반도체의 러시아 수출 비중은 국내 전체 수출량 중 1.6%에 불과해 피해가 크지는 않을 가능성이 높지만, 현지에서 점유율이 30%에 달하는 스마트폰과 함께 빠르게 주가를 높이고 있는 가전 등 완제품 수출이 문제다. 일단 정부에서는 모듈이 아닌 완제품 수출은 문제가 없을 것으로 보고 있지만, 시장 축소만으로도 피해가 적지 않을 전망이다.

 

특히 자동차는 타격이 클 것으로 우려된다.지난해 러시아 수출량 중 비중이 자동차만 25.5%, 부품도 15.1%에 달하는 대 러시아 핵심 품목이다. 현대자동차가 현지에 조립공장을 비롯해 여러 계열사를 운영하고 있다. 전쟁으로 현지 시장 규모가 줄어들 수밖에 없는데다가, 수출 규제로 공급에도 차질을 빚을 수 밖에 없다는 평가다.

 

그나마 전쟁이 단기간에 끝난다면 오히려 에너지 등 일부 업계에는 호재가 될 수 있다는 시각도 있다. 통상적으로 산업계는 원자재를 3개월 가량 비축해놓는 만큼, 완제품 가격이 상승하면 일시적으로 매출 상승과 이익 제고 효과를 볼 수 있기 때문.

 

그러나 전쟁이 3개월 이상 장기화되면 결국 원자재 상승에 따른 피해를 피할 수 없게 된다. 러시아와 미국 등 서방세계의 '신냉전' 우려까지 나오고 있어 미중무역분쟁 이후 또다른 글로벌 불확실성이 고착화될 우려도 크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