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오피니언>기자수첩

[기자수첩] 무속 논란, 털어내자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의 배우자 김건희 씨를 둘러싼 무속 논란이 과열되고 있다. 지난 박근혜 정부 당시 사이비 교주 '최태민'의 딸 최서원(본명 최순실) 씨가 국정에 사사로이 개입한 것을 본 대한민국 유권자가 볼 때는 뜨악하기 마련이다.

 

무속이란 종교적 현상을 폄훼하려는 것은 아니다. 우리도 현실 속에서 타로 카드로 앞날을 점치고 사주를 보며 한치 앞도 보이지 않는 미래의 불투명성을 제거해보려 한다. 몇몇 굿판은 지역의 무형문화재로 자리 잡아 사람들에게 볼거리를 제공한다. 나홍진 감독의 영화 '곡성'은 기복 신앙을 절묘하게 활용해 히트를 친 콘텐츠다.

 

다만, 대선판에서 무속에 대한 우려가 나오는 것은 무속이란 비과학적 현상이 대통령 선거라는 공적 영역에 들어왔을 때의 어떻게 변질될지 가늠하기 쉽지 않기 때문이다.

 

당내 경선 당시 윤 후보의 손바닥 왕(王)자 논란, 유승민 경선 후보가 제기한 '천공스승' 의혹, 일명 건진법사라 불리는 전 모씨의 선거대책본부 개입 의혹 그리고 네트워크본부의 갑작스러운 해산까지 윤 후보와 김 씨는 대선 도전 이후 내내 무속 논란에 시달려왔다.

 

그리고 김 씨와 이명수 서울의소리 기자가 7시간 가량 통화한 녹취록이 조금씩 공개되면서 의혹은 일파만파 커졌다.

 

김 씨는 "영빈관을 옮길 거다", "남편도 영적인 기가 있다", "(홍준표·유승민도) 굿을 했다"는 취지의 발언을 하면서 보통 사람 이상의 무속 관련 지식을 드러냈다.

 

더불어민주당은 이재명 대선 후보가 박스권 지지율에 갇혀있어 고심을 하던 차에 곧바로 김 씨가 '제2의 최순실'이 될 거라고 공세를 취했고 졸지에 '굿 애호가' 의혹을 산 홍준표 의원과 유승민 전 의원은 불쾌감을 표현하면서 원팀 구성에 먹구름을 드리웠다.

 

윤 후보는 공정과 상식을 기치로 내건 정치인이다. 간담회를 찾아서는 과학과 데이터를 바탕으로 국정을 운영하겠다고 약속을 반복한다. 방역패스 등 문재인 정부의 몇몇 정책은 비과학적이라고 비판하기도 한다.

 

그렇다면 윤 후보가 이제 보여줄 때다. 대표적인 비과학의 영역인 무속을 털어낼 때다. 그가 말한 것처럼 글로벌 시대 중추국가로 우뚝 설 대한민국을 만들 과정에 무속이 낄 틈은 없어야 하기 때문이다. 연일 고개를 낮추고 있는 윤 후보이지만, 그의 언행일치를 보고 싶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