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재계

[살맛나는세상] SK, 친환경 노력으로 CES2022와 '동행' 성공

최태원 SK 회장 /SK

SK는 최근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CES2022에서 가장 많은 인기를 끈 부스 중 하나였다. 3일간 관람을 위해 기다리는 행렬로 부스 주변은 가득했다. CES2022를 참관한 주요 재계 경영진들도 놓치지 않고 꼭 들러갔다.

 

SK가 대단한 신기술을 내놨기 때문은 아니다. SK는 이번에 SK㈜, SK이노베이션, SK텔레콤, SK E&S, SK하이닉스, SK에코플랜트 등 6개사와 함께 부스를 마련했지만, AI 반도체 사피온이나 메모리 반도체 HBM3 등 제품들은 지난해 이미 공개한 내용이다.

 

SK가 지속 가능한 미래를 소개하며 전세계 관람객들에 주목을 받을 수 있었다. 920㎡ 규모 부스 이름도 '그린 포레스트 파빌리온'. ▲그린 애비뉴 ▲생명의 나무 ▲내일로 가는 발걸음 ▲그린 플레이그라운드 등 4개 구역에서 그룹의 친환경 기술을 소개하고 직접 체험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세계 최대 기술 전시회인 CES에서 친환경 기술을 중심으로 부스를 꾸민 것은 SK가 거의 유일했다.

 

정기선 현대중공업지주 대표는 6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CES2022 SK그룹 부스를 찾아 SK(주)김무환 그린투자센터장으로부터 전기차 초고속 충전기에 대해 설명을 들었다. /현대중공업

최태원 SK 회장이 일찌감치 ESG 경영에 주목하고 전세계에서 '사회적 가치 전도사'로 활약해왔던 만큼, 설득력도 높았다. 앞서 최 회장은 지난달 미국에서 '트랜스 퍼시픽 다이얼로그'를 열고 SK그룹이 2030년 전세계 탄소 감축 목표량인 210억톤 중 1%에 해당하는 2억톤을 줄이겠다고 약속하며 친환경 경영을 향한 의지를 확고히 한 바 있다. 그 밖에도 미국과 유럽을 오가며 친환경 경영을 강조하고 있다.

 

5일(현지시간)부터 7일까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CES2022 SK그룹 부스에 입장하려고 기다리는 관람객들 /김재웅기자

그린 애비뉴 구역은 SK 그룹의 다양한 친환경 기술 개발 노력을 소개하는 자리였다. 많은 데이터를 저전력 고효율로 처리하는 사피온과 SK하이닉스의 친환경 공정 기술 및 eSSD, HBM3 등 탄소 배출을 크게 줄일 수 있는 반도체가 소개됐다. SK㈜와 SK E&S도 합작사를 설립할 예정인 미국 플러그파워의 수소연료전지 파워팩과 초급속 전기차 충전기, SK아이이테크놀로지의 리튬이온 배터리를 전시하고 친환경 에너지를 활용한 미래를 상상할 수 있도록 했다.

 

생명의 나무는 SK 부스의 '백미'였다. 6개 면을 꽉 채운 영상으로 부스 밖까지도 초록색으로 밝힐만큼 화려하면서도 따뜻한 영상을 통해 SK의 탄소 감축 의지를 상징하는 자리였다. 조림사업을 하고 있는 충북 인등산 참나무를 모티브로한 전시물로, 관람객들도 자연의 느낌을 만끽하며 친환경 미래 조성에 동참할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들어줬다.

 

5일(현지시간)부터 7일까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CES2022 SK그룹 부스 관람객들이 마지막 공간인 그린 플레이그라운드에서 그린 포인트로 게임을 즐기고 있다. /김재웅기자

내일로 가는 발걸음과 그린플레이그라운드 구역은 관람객들이 직접 탄소 감축에 참여하는 기회도 제공했다. 전시장 곳곳에 플라스틱 컵이나 폐휴대폰을 기부하는 등 친환경 생활을 체험하고 그린 포인트를 적립하는 경험이다. 그린 포인트는 베트남 맹그로브 숲을 살리는데 기부할 예정으로, 부스를 관람하는 것만으로도 환경을 지키는데 기여할 수 있도록 했다.

 

부스 마지막에는 행사가 열린 라스베이거스에서 유명한 슬롯머신 게임기를 설치했다. 그린포인트로 게임을 즐기고 선물을 주는 내용으로, 친환경 활동이 결국 돌아온다는 메시지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었다.

 

SK는 부스 밖에서도 친환경을 향한 노력을 이어갔다. 식물성 재료나 단백질을 이용해 만든 대체육 요리를 판매하는 푸드트럭이 그것. SK는 최근 대체육을 미래 핵심 사업으로 선정하고 투자와 연구를 지속해왔다. 이번 CES2022에서도 미트리스팜이 만든 핫도그와 치킨 너겟을 판매하는 푸드트럭을 통해 다양한 관람객들이 직접 대체육을 먹어보고 친환경 경영 노력에 공감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 부스 핵심 주제인 '동행'을 실천한 셈이다.

 

'CES 2022' SK 그룹 전시 부스 조감도. /SKT

출퇴근과 출장에서 나오는 탄소 배출까지도 통제하겠다는 계획까지 나왔다. SK이노베이션은 이례적으로 CES2022 현장에서 전략회의를 개최하고 이같은 논의를 진행했다. 탄소 중립을 선제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방안을 고민하는 가운데, 재택근무를 확대하고 출장을 최소화하면서까지 넷제로 달성에 힘을 쏟겠다는 의지다.

 

SK지오센트릭은 CES 기간 미국 퓨어사이클 테크놀로지와 협력을 약속하고 울산시에 폴리프로필렌(PP) 폐플라스틱 재활용 생산공장을 설립하는 성과도 거뒀다.

 

PP는 고열에도 잘 견디는 등 특성으로 생활용품과 자동차 등 다양한 분야에 쓰이는 소재지만, 처리가 어려워 그동안 주로 폐기해왔다. SK는 PP를 재활용하는 기술을 보유한 퓨어사이클과 협업을 통해 아시아 최초 재생 PP공장을 세울 수 있게 됐다. 2024년 완공해 연 6만톤 PP를 생산, 국내에 판매할 예정이다.

 

두 회사는 이번 합의에 따라 울산에 아시아 최초의 재생 PP 공장을 짓는다. 공장은 연내 착공하며, 2024년 완공될 예정이다.

 

이호정 SK네트웍스 신성장추진본부장(왼쪽)이 화상으로 매트 스컬린 마이코웍스 사장과 투자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SK네트웍스

그 밖에 계열사들도 친환경 경영과 투자를 멈추지 않았다. SK네트웍스는 최근 미국 대체 가죽 기업 마이코웍스에 2000만달러를 투자하며 새로운 미래 먹거리에 진출했다. 마이코웍스는 버섯 균사체로 가죽을 만드는 기술을 개발해 가축을 사육하면서 불가피하게 발생하는 환경 오염과 탄소 배출을 획기적으로 줄일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CES 2022 SK 전시관인 '그린 포레스트 파빌리온'

최태원 회장은 앞으로도 '넷제로'를 중점 과제로 보고 그룹 차원에서 다양한 친환경 경영 활동을 펼쳐나갈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달 배포한 신년사에서도 "SK 비즈니스 모델 혁신을 통해 미래 저탄소 친환경 사업을 선도할 것"이라며 의지를 분명히 한바 있다.

 

한 재계 관계자는 "SK그룹은 최고경영자가 한 발 앞서 ESG 경영을 받아들이고 적용하려 노력했던 대표적인 기업"이라며 "전세계적으로 ESG 경영 중요성이 높아지는 만큼, 더 다양한 활동을 지속하며 큰 성과를 낼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