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재계

[CES2022] 현대차, 싱가포르 혁신센터 '메타팩토리'로 구축…유니티와 MOU 체결

현대자동차는 6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 열린 CES2022 기간에 유니티와 메타 팩토리 구축을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사진은 현대자동차그룹 HMGICS 정홍범 대표와 유니티 줄스 슈마커 부사장. /현대자동차그룹

메타모빌리티가 현실이 된다.

 

현대자동차는 6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CES2022에서 유니티와 '미래 메타버스 플랫폼 구축 및 로드맵 마련을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양사는 CES2022 기간 중 온라인에서 MOU 체결식을 가졌다. 현대차그룹 지영조 이노베이션담당 사장, 정홍범 HMGICS 대표(전무)와 유니티 줄스 슈마커(Jules Shumaker) 크리에이트 솔루션 부문 사업 총괄 부사장, 데이브 로즈(Dave Rhodes) 디지털 트윈 부문 수석부사장 등 양사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현대차는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올해 말 싱가포르에 건설 중인 '현대차그룹 싱가포르 글로벌 혁신센터(HMGICS)'를 완공하면서 '메타팩토리'를 구축할 계획이다. 공장 운영을 고도화하고 제조 혁신을 추진하며 스마트 모빌리티 솔루션 기업으로 전환을 가속화한다는 방침이다.

 

메타팩토리는 스마트 팩토리를 메타버스에 그대로 옮긴 것을 뜻한다. 물리적 사물을 가상 공간에 똑같이 복사하는 '디지털 트윈' 개념을 활용해 실제 공장을 메타버스에 구현, 시간과 공간을 초월해 원격으로 공장을 운영할 수 있게된다.

 

현대자동차는 6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 열린 CES2022 기간에 유니티와 메타 팩토리 구축을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사진은 현대자동차와 유니티의 메타팩토리 구축 개념도 /현대자동차그룹

HMGICS는 싱가포르 주롱 혁신단지에 부지 4만4000㎡, 연면적 9만㎡, 지상 7층 규모로 건립되는 스마트 공장이다. 물류와 조립 시스템을 자동화하는 플랫폼을 적용해 다차종 소규모 생산 시스템을 실현, 맞춤형 모빌리티를 공급하는 역할을 할 예정이다. 자동차 생애주기 가치사슬 전반을 연구하고 실증하는 개방형 혁신 기지이기도 하다.

 

현대차는 메타팩토리 방향성을 제시하고 메타버스 기술로 개선할 수 있는 제조 현장 과제를 발굴할 계획이다. 콘텐츠 개발 및 운영 플랫폼 회사인 유니티는 실제 공장을 본딴 메타팩토리를 설계해 실시간 이미지 렌더링 기술 제공, 맞춤형 시스템 개발 지원 등의 역할을 맡았다.

 

메타팩토리는 우선 올해 말 1단계로 도입되고 2025년까지 최종 구축을 마무리, 이후에도 기술 고도화를 지속할 예정이다.

 

현대차는 메타팩토리 도입으로 HMGICS뿐 아니라 실제 공장의 운영을 보다 고도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예를 들어 신차 양산을 앞둔 공장은 실제 공장을 시범 가동하지 않고도 메타팩토리 운영을 통해 최적화된 공장 가동률을 산정해 실제 공장 운영 시 최적화한 설정값을 반영할 수 있다. 운영 중인 공장도 메타팩토리에 실시간으로 구현돼 문제 발생시 신속하게 원인을 파악하고 원격으로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image
메타버스에 실제와 같은 '디지털 트윈'을 구축하고 로봇을 포함한 모든 기기와 장비들을 연결시켜 공장을 운용, 관리할 수 있는 스마트팩토리(Smart Factory) 연출 이미지 /현대자동차그룹

현대차와 유니티는 생산기지를 비롯한 여러 사업 분야에서도 메타버스 기술을 확대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함께 모색하고 지속 협력한다는 방침이다.

 

현대차는 마이크로소프트(MS)를 비롯한 글로벌 회사들과도 스마트팩토리와 메타팩토리 등 혁신 기술을 지속 발전시키기 위한 파트너십 구축 및 협력에 나설 계획이다.

 

존 리키텔로 유니티 최고경영자(CEO)는 "실시간 디지털 트윈은 우리의 전반적인 라이프스타일을 완전히 뒤바꿔 놓는 동시에 세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되며, 바로 이것이 '메타버스'의 핵심 요소가 될 것"이라며 "메타팩토리를 포함한 현대차의 미래 비전은 제조 분야의 혁신을 이끌 기술적 진보로 이어져 효율성이 극대화될 것이다"라고 말했다.

 

지영조 현대차그룹 이노베이션담당 사장은 "세계 최고 수준의 메타팩토리를 구축하는 이번 협업을 통해 HMGICS는 제조 혁신 분야의 '게임 체인저'가 될 것"이라며 "모빌리티 패러다임 전환을 위한 인간 중심의 밸류체인 혁신을 추진하는 HMGICS는 다양한 신기술 도입을 이어가며 미래 혁신을 주도해 나가겠다"라고 전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