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재계

[CES2022] 삼성전자 한종희 부회장, '미래를 위한 동행' 기조연설

삼성전자 한종희 부회장이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삼성전자

삼성전자 한종희 부회장이 기술로 지속 가능한 미래를 만들겠다고 약속했다.

 

한 부회장은 4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 베네시안 팔라조 볼룸에서 '미래를 위한 동행'을 주제로 기조연설을 했다.

 

한 부회장은 기술이 지향해야할 가치를 '지속 가능한 미래'로 규정했다. 이를 위해 ▲고도화된 연결성과 맞춤화 경험을 기반으로 한 기술 혁신 ▲지구 환경을 지키기 위한 노력 등을 통해 다 함께 공존할 수 있는 사회를 만드는데 기여하겠다는 비전을 밝혔다.

 

우선 지속 가능한 제품을 만들어 소비자들이 사용해 더 나은 미래를 만드는 데 동참하는 것을 '지속 가능한 일상' 이라고 명명했다.

 

이를 위해 삼성전자가 제품 개발에서 유통과 폐기까지 지속 가능한 제품을 만들기 위한 노력을 소개했다. 가전과 반도체 등 주요 제품에 대해 '카본 트러스트' 인증을 받고 디스플레이를 비롯한 제품에 재활용 플라스틱을 대폭 확대하는 등이다. 포장재도 재활용 소재 비중을 늘리고, '에코 패키지'와 솔라셀 리모컨을 가전 제품에도 추가로 적용한다는 계획이다.

 

스마트싱스 에너지 플랫폼을 이용해 2025년까지 디스플레이와 스마트폰 충전기 대기전력을 제로에 가까운 수준으로 만들겠다는 목표도 공개했다. 폐기 단계에서도 2009년 이후 500만톤에 이르는 전자 폐기물을 안전하게 수거해 처리했고, 모바일 제품도 '지구를 위한 갤럭시'라는 플랫폼으로 환경 영향을 최소화했다는 설명이다.

 

또 한 부회장은 업종을 초월해 협력해야 한다며, 솔라셀 리모컨 등 친환경 기술을 누구나 활용할 수 있도록 개방한다는 방침도 밝혔다. 파타고니아와 미세 플라스틱 배출 저감 기술을 개발하는데도 협력한다.

 

새로운 라이프스타일을 위한 제품과 서비스도 새로 공개했다. MZ세대를 겨냥해 삼성전자 '퓨쳐 제네래이션 랩' 직원들이 직접 진행해 눈길을 끌었다. 더 프리스타일과 새로운 폼팩터의 게이밍 디스플레이 '오디세이 아크', 게이밍 허브 등이다.

 

'비스포크 홈' 확장 계획에 더해 자신만의 제품과 서비스를 만드는 '#YouMake' 프로젝트도 시작한다. 지속적으로 다양한 제품과 서비스를 개발해 고객 라이프스타일 선택권을 넓힌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스마트싱스로 연결한 AI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한 '홈 허브'도 소개했다. 태블릿 형태로 집에 두고 가족과 함께 공유 가능한 제품으로, 필요한 정보를 안내받고 확인하거나 빅스비 음성 제어도 가능하다. 스마트싱스 허브 소프트웨어로 IoT 허브 없이 스마트홈 환경을 구현할 수 있다.

 

글로벌 가전들을 연결할 수 있는 'HCA'도 발족했다. 삼성전자와 GE, 하이얼과 일렉트로룩스 등 주요 가전사들과 함께 IoT 표준을 정립해 플랫폼을 통일하는 내용이다.

 

한 부회장은 마지막으로 사회공헌 프로그램도 소개했다. '솔브 포 투마로우'와 '삼성 이노베이션 캠퍼스' 프로그램이 그것.

 

한 부회장은 "미래를 위한 동행은 꼭 실천 돼야 한다"며 "다음 세대가 원하는 변화를 이루고 꿈을 현실로 만들 수 있도록 기술을 발전시키고 혁신을 이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서 "글로벌 팬데믹 위기는 모두가 공존하는 세상의 가치를 일깨웠다"며 "전자 업계와 고객사, 소비자 모두가 작은 변화를 만드는데 동참한다면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큰 차이를 만들어 낼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