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재계

[CES2022] 현대차그룹, 로보틱스로 미래 산업 선점 노력

기아 오토랜드 광명에서 운영 중인 공장 안전 서비스 로봇 /현대자동차

[라스베이거스(미국)=김재웅 기자] 현대자동차그룹은 로보틱스 사업을 신사업으로 정하고 오랜 기간 다양한 노력을 기울여왔다. 2014년 로봇을 처음 선보인 이후 2018년에 로보틱스팀을 신설, 이후 로보틱스랩으로 확대하며 연구 개발에 전념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했다.

 

로보틱스랩은 착용 로봇을 비롯한 '관절 로봇 기술'과 인간-로봇 상호작용(HRI)이 필요한 '서비스 로봇기술', 이동성 혁신을 위한 '로보틱 모빌리티 플랫폼' 등 기술을 내재화하고 있다.

 

또 미래 모빌리티 분야에 접목할 수 있는 핵심 기술인 '환경 인지'와 '상황 판단', '매커니즘 제어' 등 기술 주도권을 잡기 위한 노력도 이어가고 있다.

 

분야별로 로보틱 모빌리티는 이번 CES2022에서 발표한 메타 모빌리티와 가장 가까운 개념이다. CES2019에서 공개한 걸어다니는 자동차 '엘리베이트 콘셉트'에 이어 PnD와 DnL 모듈로 발전시켰다. 이를 이용해 퍼스널 모빌리티와 서비스 모빌리티, 로지스틱스 모빌리티 등으로 활용한 솔루션도 선보였다.

 

사람을 위한 로봇 개발도 주요 내용이다. 2020년 싱가포르에 건립한 '현대 모빌리티 글로벌 혁신센터(HMGICS)'는 로봇에 어렵고 위험한 작업을 맡기고 인간은 시스템 통제만을 담당한다. 물류 자동화와 혁신 제조 플랫폼을 개발하는 곳으로, 다차종 소규모 생산 시스템을 도입해 다양한 모빌리티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지난해 인수를 마무리한 보스턴 다이내믹스는 로보틱스 사업 확장 선봉대다. 스팟과 아틀라스 등 혁신적인 로봇을 개발하며 독보적인 기술력을 확인했다. 현대차그룹은 이를 활용해 부품 제조부터 물류 솔루션 구축까지 로봇 공학을 활용한 새로운 가치 사슬 창출 및 스마트 모빌리티 솔루션 제공 업체로 전략적 전환을 가속화한다는 복안이다.

 

로보틱스랩과 보스턴 다이내믹스가 시너지도 만들고 있다. 로보틱스랩 AI 프로세싱 서비스 유닛에 보스턴 다이내믹스 스팟을 결합해 '공장 안전 서비스 로봇'을 개발한 것. 이미 기아 오토랜드 광명에서 시범 운영하며 현장 모니터링을 수행하고 있다.

 

그 밖에도 현대차는 퍼셉티브 오토마타와 알레그로.ai, 딥클린트와 엔비디아 등 글로벌 기업들과 전략적 제휴를 맺고 협업을 추진 중이다. 국내에서도 포티투닷과 인공지능 분야에서 개발 협력을 하고 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