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재계

[CES2022] 현대차, 현실·가상 경계 없는 '메타모빌리티' 시대 선언…로보틱스가 매개체

image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이 4일(현지시간) CES2022 미디어 컨퍼런스에 로봇 스팟과 함께 입장하고 있다. /현대자동차그룹

[라스베이거스(미국)=김재웅 기자] 현대자동차가 현실과 메타버스 경계가 없는 새로운 시대를 선언했다. '메타모빌리티'로 궁극적인 이동의 자유를 실현한다는 계획, 자동차와 UAM 뿐 아니라 모든 사물에 이동성을 부여하는 새로운 솔루션도 개발했다.

 

현대차는 4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CES2022에서 '이동 경험의 영역을 확장하다'는 주제로 보도 발표회를 열었다. 

 

image
로보틱스와 메타버스가 결합돼 새로운 차원의 이동 경험을 제공하는 ‘메타모빌리티(Metamobility)’ 연출 이미지 /현대자동차그룹

◆ 로봇, 메타버스 벽을 깨다

 

메타모빌리티는 인류를 가상 공간으로 넘나들 수 있도록 하는 개념이다. 스마트 디바이스를 메타버스 플랫폼과 연결하는 방식으로, 로봇을 활용해 사용자에 실제와 같은 경험까지 전달할 수 있다는 게 현대차 설명이다. 현실과 가상의 구분이 사라지는 셈이다.

 

현대차는 메타모빌리티 시대에 인공지능(AI)과 자율주행 등 기술혁신을 거듭한 모빌리티가 바로 스마트 디바이스 역할을 할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로봇은 메타모빌리티를 구성하는 핵심 요소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기대했다. 언제 어디서든 다양한 감각 데이터를 수집하고 전달하는 것뿐 아니라, 시간과 공간을 넘어 사용자의 의도를 실현할 수 있기 때문이다. 현실과 메타버스를 연결하는 매개체 역할이다. 미래에는 로봇이 경험한 것을 사용자에 그대로 전달해 몰입감과 만족감을 전달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이같은 방식은 산업 현장에서도 시간과 장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메타버스에 로봇과 현실 세계 장비, 사물 등을 완벽하게 구축해 멀리서도 공장을 운용하고 관리하는 방식이다. 국내는 물론이고 지구 반대편에 있는 해외 공장에 문제가 생겨도 즉각 해결할 수 있게 된다는 얘기다.

 

image
미래 스마트 팩토리 상상 이미지 /현대자동차그룹

◆ 메타모빌리티 첫걸음, 모베드

 

모든 사물이 이동성을 부여받는다면 현실과 메타버스 경계를 무너뜨리기 훨씬 쉬워진다. 이른바 '모빌리티 오브 씽스(MoT)' 생태계다.

 

현대차는 이를 실현하기 위한 장치인 플러그 앤 드라이브 (PnD)와 드라이브 앤 리프트 (DnL) 모듈 등을 선보였다.

 

PnD 모듈은 인휠 모터와 스티어링, 서스펜션과 브레이크 시스템 및 환경인지 센서를 하나로 결합한 일체형 모빌리티다. 라이다와 카메라 센서를 이용해 지능형 스티어링과 주행, 제동이 가능하며 연속적인 360도 회전 등 자유롭게 움직일 수도 있다.

 

PnD 모듈은 사물에 부착해 이동성을 부여할 수 있다. 작은 테이블부터 커다란 컨테이너, 크기와 개수까지 자유자재로 조절 가능하다. 특정 공간을 언제 어디서든 재구성할 수 있고, 공간을 고객에 움직이는 것도 할 수 있게 된다.

 

현대차는 PnD 모듈이 사물의 이동성을 새롭게 정의하고 전통적인 공간의 개념을 혁신하는 한편, ▲라스트 마일 실현을 위한 PBV(Purpose Built Vehicle) 형태의 퍼스널 모빌리티 ▲물류 운송을 위한 로지스틱스 모빌리티 등 일상 전반에서 다양하게 활용될 것으로 보고 있다.

 

현대차는 '모베드'를 선보이고 DnL 모듈 활용성을 확인시켰다. 모베드는 신개념 소형 모빌리티 플랫폼으로, 각 휠을 독립적으로 움직이고 몸체 높낮이까지 조절할 수 있어 요철과 계단 등을 안전하게 이동할 수도 있다.

 

image
PnD 모듈을 활용한 서비스 모빌리티 콘셉트 이미지 /현대자동차그룹

현대차는 PnD 모듈, DnL 모듈과 같은 창의적인 로보틱스 기술이 'MoT' 생태계의 실현에 기여할 것으로 보고, 다양한 신개념 로보틱스 기술을 지속적으로 개발해 나가겠다는 구상이다.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은 "로보틱스는 더 이상 머나먼 꿈이 아닌 현실이다. 현대차는 로보틱스를 통해 위대한 성취를 이루고자 한다"며 ""로보틱스를 기반으로 미래 모빌리티 솔루션을 '메타모빌리티'로 확장할 것이며, 이를 위해 한계 없는 도전을 이어가겠다. 현대차의 로보틱스 비전이 인류의 무한한 이동과 진보를 가능하게할 것"이라고 말했다.

 

/라스베이거스(미국)=김재웅기자 juk@metroseoul.co.kr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