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남, 경북에서 반문 발언 쏟아낸 윤석열
김진욱, 사표 넘어서 구속수사 하라
좌익 혁명 이념, 주체사상 등 이념 공세도
공식석상에서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의 발언이 점점 거칠어지고 있다. 윤 후보는 부인 김건희 씨를 둘러싼 의혹과 이준석 당대표의 이탈로 불거진 선대위 내홍의 여파가 선거 판세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자, 문재인 정부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를 강하게 비판하며 '반문정서'와 '정권교체론'에 호소하는 모양새다.
'보수의 심장'으로 불리는 대구·경북(TK) 지역을 1박 2일 일정으로 찾은 윤 후보는 30일 오전 국민의힘 대구시당에서 열린 선대위 출범식에서 문재인 정부와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민주당 대선 후보,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를 향해 강한 비판을 이어나갔다.
윤 후보는 연설 중 한 지지자가 "전과 4범을 대통령으로 만들면 안 됩니다"라고 소리치자 "전과 4범까지는 국민들은 이 후보를 용서 못 해도 저는 과거 실수를 이해할 수 있다"면서도 "(이 후보가) 중범죄와 중범죄로 얻은 돈으로 대통령을 만드는 데 쓰지 않겠나"라고 반문했다.
또한 야당 의원과 기자들의 통신 기록 조회 논란의 중심이 된 공수처에 대해서도 "김진욱 공수처장이 사표만 낼 것이 아니라 구속 수사를 해야 하는 것 아니냐"며 "지금이 어느 때인데, 이런 짓거리를 하고 백주대낮을 활보하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윤 후보는 문재인 정부와 민주당이 결제되지 않는 '부도어음 정치'를 하고 있다고 규정하며 지지자에게 "우리도 민주당이 잘하는 투쟁을 해야 한다"고 비꼬았다.
윤 후보는 전날 경상북도 안동에서 열린 경북 선대위 출범식에서도 문재인 정부의 무능을 비판하며 "우리가 자유민주주의라는 정신에 따라서 민주화 운동을 해올 때 거기에 끼어서 좌익 혁명 이념과 북한의 주체사상 이론을 배워서 민주화 운동에 끼어 마치 민주화 투사인 것처럼 끼리끼리 도우면서 살아온 집단들이 문재인 정부 들어서서 국가와 국민을 약탈하고 있다"고 이념 공세를 펼쳤다. 그러면서 윤 후보는 "과거 권위주의 독재 정부는 국민들의 경제를 확실하게 살려놔서 우리나라 산업화의 기반을 만들었다. 이 정부는 뭐 했나"라고 쏘아붙였다.
윤 후보는 지난 22일과 23일 있었던 호남 지역 선대위 출범식에서부터 발언의 강도를 높여왔다. 전북 선대위 출범식에선 "민주당이 괴물로 변했다", 전남 선대위 출범식에선 "80년대 민주화운동은 자유민주주의 정신 따라서 한 운동이 아니고 수입해온 이념에 사로잡힌 것"이라고 발언했다.
국민의힘 선대위는 이달 초 당내 갈등을 봉합하고 김종인-김병준·이준석 체제로 선대위를 꾸렸으나 김건희 씨의 경력 부풀리기 의혹, 윤핵관(윤석열 핵심 관계자)을 둘러싼 의혹이 커지며 논란 이어지고 있다. 대선 출마 후 국민 통합과 중도 포용을 내세웠던 윤 후보가 과격 발언을 이어가는 것도 후보 주변 논란을 잠재우고 반문 정서를 강조하기 위한 것으로 읽힌다.
엠브레인·케이스탯·코리아리서치·한국 12월 5주 차 전국지표조사(NBS)에서 지난 27일에서 29일 사이 전국 만 18세 이상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차기 대선 후보 지지도를 조사한 결과(전화면접조사, 신뢰수준 95%, 표집오차 ±3.1%포인트, 응답률 23.6%) 이 후보는 39%, 윤 후보는 28%의 응답을 기록했다. 지난 11월 29일에서 12월 1일까지 조사한 같은 조사에선 이 후보가 33%, 윤 후보가 34%였다. 한 달 사이 두 후보의 지지율 격차가 1%포인트에서 11%포인트로 벌어진 것이다. 자세한 사항은 NBS 홈페이지나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윤 후보가 더 끌어안아야 할 유권자 층에서 이탈이 계속되면 윤 후보가 지지율을 끌어올릴 수 있는 동력이 거의 없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윤 후보가 반문 과격 발언을 이어가는 것에 대해 "지금까지 대부분의 정책과 행보가 반문인데, 높은 정권교체 여론도 있고 반문 호소가 이외에 구체적인 미래 비전 제시 역량 준비가 안돼 있는 탓도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Copyright ⓒ Metro. All rights reserved. (주)메트로미디어의 모든 기사 또는 컨텐츠에 대한 무단 전재ㆍ복사ㆍ배포를 금합니다.
주식회사 메트로미디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17길 18 ㅣ Tel : 02. 721. 9800 / Fax : 02. 730. 2882
문의메일 : webmaster@metroseoul.co.kr ㅣ 대표이사 · 발행인 · 편집인 : 이장규 ㅣ 신문사업 등록번호 : 서울, 가00206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2546 ㅣ 등록일 : 2013년 3월 20일 ㅣ 제호 : 메트로신문
사업자등록번호 : 242-88-00131 ISSN : 2635-9219 ㅣ 청소년 보호책임자 및 고충처리인 : 안대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