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재계

또 장벽 부순 LG OLED.EX 패널, 더 밝고 넓고 똑똑해졌다

OLED.EX 패널. 대형사업부장 오창호 부사장(왼쪽)과 모델이 포즈를 취하고 있다. /LG디스플레이

OLED 디스플레이가 또 진화했다. 새로운 기술로 성능과 수명을 개선하며 한계를 돌파했다. 프리미엄 TV 시장에서 입지도 더 확대할 수 있을 전망이다.

 

LG디스플레이는 29일 마곡 사이언스파크에서 미디어데이를 열고 새로운 OLED 패널인 'OLED.EX'를 처음 공개했다.

 

OLED.EX는 이른바 'EX 테크놀로지'를 적용해 휘도를 30% 높이면서 색을 더 정교하게 재현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패널이다. 내년 2분기부터 모든 OLED에 공통적으로 적용할 예정이다. 끊임없는 진화를 통해 진화된 경험을 제공하겠다는 의미로 브랜드를 'EX'로 결정했다.

 

핵심 기술은 '중수소'다. 유기발광 소자인 수소를 더 안정된 중수소로 치환하는 기술을 4년여간 노력으로 개발해 안정성과 내구성을 대폭 높였다. 이를 통해 휘도를 종전보다 30% 늘릴 수 있었다는 설명. 수명도 개선됐다고 LG디스플레이는 덧붙였다.

 

중수소는 이미 올레드 에보 패널 일부에도 적용했던 기술. LG디스플레이는 '개인화 알고리즘'을 OLED.EX의 또다른 핵심 특징이라고 소개했다. 이 알고리즘은 독자개발한 머신러닝 기반으로, 사용자 개개인 시청 패턴을 학습해 개별 사용량을 예측하고 에너지 투입량을 정밀하게 제어하는 원리다. 영상 디테일과 색을 더 정교하게 표현해 OLED 장점을 극대화할 수 있다.

 

OLED.EX 패널 /LG디스플레이

베젤도 30%나 줄였다. 종전에 6mm 베젤을 기술적 한계로 여겼지만, 4mm로 더 축소하며 몰입감을 더 높이고 심미적으로도 뛰어난 형태를 갖출 수 있게 됐다.

 

그러면서도 가격은 올리지 않기로 했다. 공정에서 원가 상승 요인이 있긴 했지만, 다른 부분에서 가격 인하 요소를 찾았다고 LG디스플레이는 말했다. 각 세트사마다 추가적인 화질 보정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만큼, 실제 제품에 적용되면 화질 개선 효과는 더 클 것으로 기대하기도 했다.

 

OLED.EX는 내년 2분기부터 파주와 중국 광저우에서 생산하는 모든 패널에 적용될 예정이다. 이를 통해 'OLED 대세화'도 가속화한다는 방침이다.

 

삼성전자에 OLED.EX 패널을 공급하냐는 질문에는 말을 아꼈다. 일각에서 삼성전자가 LG디스플레이에서 OLED 패널을 공급받아 새로운 제품을 출시할 것으로 기대를 높이는 상황, 대형사업부장 오창호 부사장은 고객 상황이라 말씀드리기 어렵다고 답을 내놓지 않았다.

 

다만 강하게 부정하지는 않으면서 가능성을 남겨뒀다. 경쟁사가 퀀텀닷 소자를 활용한 OLED 패널을 생산한다는 데 대해서는 환영한다는 뜻을 밝히며 OLED 시장이 더 커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내년 OLED 디스플레이 출하량 목표는 1000만대로 설정했다. OLED.EX 패널 비중이 70% 가량일 것으로 예상했다.

 

오 부사장은 앞으로도 OLED를 개선할 다양한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며 기대감을 높이기도 했다. 오랜 개발로 장벽들을 부수고 성과를 내 지속적인 진화를 계속 준비 중이라고 밝혔다. 미니 LED TV는 LCD에 불과하다며 선을 그었고, QD-OLED 패널에 대해서도 기존 OLED와 크게 다르지 않을 것으로 예상했다.

 

오 부사장은 "올해 전체 TV 시장이 지난해 대비 12% 역성장하는 와중에도, OLED 제품은 약 70% 성장이라는 성과를 거두었다"며 "OLED 소자의 진화, 알고리즘의 진화, 디자인의 진화를 통해 소비자들에게 차별화된 고객 경험을 제공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LG디스플레이는 이날 OLED 디스플레이를 활용한 다양한 솔루션을 공개하기도 했다. 자유롭게 구부릴 수 있는 특징을 활용한 게이밍 모니터를 비롯해 투명 OLED를 활용한 진열대와 쇼윈도, 유리창문 등 OLED로 실생활을 바꿀 수 있는 방법을 소개했다. 내년 열리는 CES2022에서 온오프라인을 통해 직접 공개할 예정이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