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정치>국회/정당

윤석열 '극빈층은 자유 모른다' 실언, 해명에 바쁜 관계자들

윤석열 극빈층 정부가 지원해야 한다는 맥락
저소득층 자유 필요성 모른다고 발언해 논란 키워
선대위 진의를 파악해야 한다며 진화 나서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청년 행사에서 '저소득층 비하'로 비칠 수 있는 발언을 하면서 또 논란에 휩싸였다. 윤 후보가 22일 전북 전주시 전북대학교에서 열린 '윤퀴즈 온더 전북'에 참석해 학생들과 대화를 나누고 있다. / 뉴시스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청년 행사에서 '저소득층 비하'로 비칠 수 있는 발언을 하면서 또 논란에 휩싸였다. 윤 후보가 정제되지 않은 발언을 한 후 현장에서 이를 바로 잡지 않고 이슈를 키우면서 다수의 선대위 인사가 해명에 나서는 모습이다.

 

문제의 발언은 지난 22일 전주 전북대에서 열린 청년과의 대화 행사에서 한 학생이 차별금지법과 엔번방방지법 같이 자유를 침해하는 이들과 함께할 수 있는지와 당이 국민통합을 하면서 지켜야 할 가치가 무엇이냐는 질문에 답하는 과정에서 나왔다.

 

윤 후보는 "자유라는 것은 나 혼자 지킬 수 없다"라며 "자유의 본질은 일정 수준의 교육과 기본적인 경제 역량이 있어야만 자유가 존재하는 것이고 (그래야만) 자유가 무엇인지 알고 자유가 왜 필요한지가 나오는 것"이라고 답했다.

 

그러면서 "극빈의 생활을 하고 배운 것이 없는 사람은 자유가 뭔지도 모를 뿐 아니라 자유가 왜 개인에게 필요한지 필요성 자체를 느끼지 못한다"며 "공동체에서 어려운 사람들을 함께 돕고 그 사회에서 산출된 생산물이 시장을 통해 분배되지만 상당한 정도의 세금을 걷어 어려운 사람과 함께 나누고 그분들에 대한 교육과 경제 기초를 만들어주는 것이 자유의 필수적인 조건이라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윤 후보의 해당 발언은 정부가 빈곤층에게 경제·교육적 지원을 해줘야한다 취지였으나, '극빈곤층은 자유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한다'는 발언이 강조돼 여론의 뭇매를 맞았다.

 

윤 후보는 간담회 후 기자들을 만나 "그분(빈곤층)을 무시하는 것이 아니라 그분들을 도와줘야 하고 사는 게 힘들면 그런 것을 느낄 수가 없다는 취지"라며 "자유라는 건 가난한 사람이나 공부를 못 한 사람이든 간에 자유인들이 연대해서 자유를 느끼게 하려면 그분들에게 여건을 보장하게, 더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자유의 소중함을 느끼게 해줘야 하는 것"이라고 해명했다. 선대위는 해당 해명을 기자들에게 공유하며 참조해달라고 하기도 했다.

 

비판 여론이 높아지자 선대위 관계자들은 23일 윤 후보 발언의 진의가 잘못 전달이 된 것이라며 진화에 나섰다.

 

김종인 선대위 총괄선대위원장은 선대위 회의 직후 취재진에게 "또 말실수한 것 같은데, 그게 표현을 어떻게 하느냐 따라 달리 해석할 수도 있다"며 "가난한 사람이 자유를 모른다는 뜻이 아니라, 사실은 자유를 구가하려면, 자기에게 있는 것이 있어야 그런 얘기를 할 수 있다 하는 그런 취지서 이야기했는데, 잘못 전달이 된 것"이라고 밝혔다.

 

임태희 선대위 총괄상황본부장도 "노련한 정치인 같았으면 발언을 그렇게 안 했을 것"이라며 "정말 어렵고 살기 어려우면 자유와 평등 같은 것을 생각할 겨를이 없지 않으냐 그런 취지로 발언했다"고 해명했다.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는 이날 오전 한 라디오 방송에 출연해 현장에서 후보를 뒷받침해줄 선대위 시스템이 돌아가고 있지 않다고 지적했다. 이 대표는 "동선과 일정을 잘 짜고 어떤 모습으로 비칠까를 기획하는 건 굉장히 중요하다"며 "무엇보다도 후보가 혹시라도 실수하게 되면 현장에서 바로 교정하고 정정하고 그럴 용기가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런데 과연 어제 현장에 있던 사람은 뭘 했나"라며 비판했다.

 

원희룡 선대위 정책총괄본부장은 이날 국회 소통관에서 부동산 세제 개혁 공약 발표 이후 기자들을 만나 "오해가 될 수 있는 부분인데, 메시지나 현장에서 경험이 부족하기 때문에 사전이나 사후에 보좌를 더 잘해야겠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