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재계

[기자수첩] ESG, 천천히 가자

김재웅 기자

올해 최고 유행어를 꼽으라면 ESG를 빼놓을 수 없다. 대기업 뿐 아니라 정부, 심지어는 작은 가게들까지도 ESG를 붙이지 않으면 이상한 시대가 됐다.

 

ESG는 뜻이 단순하다. 환경과 사회, 지배구조를 줄인말. 이윤만을 추구하던 기업들도 이제는 더 좋은 세상을 위해 힘을 보탠다는 의미로 잘 알려져있다. 자세히 보면 이견이 있을 수 있지만, 전세계 기업인들이 자본주의 한계에 공감하고 새로운 세상을 만들자면서 주목한 개념이니 크게 틀린말은 아니다.

 

다만 ESG가 마냥 정의로운 의미로만 사용되는 현상은 다소 우려스럽다. ESG가 기업도 사회에 기여하게 한다는 것임은 분명하지만, 기업 입장에서는 이윤 추구보다 앞서 생각했다가는 오히려 지속성을 유지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특히 가장 큰 문제는 ESG 강제다. 정부는 최근 들어 ESG를 명목으로 온갖 규제를 더하고 있다. 탄소 배출 제한과 중대재해처벌법 등 다양한 법안을 새로 만들고 기업을 압박하는데 혈안이 됐다.

 

그나마 자본력이 충분하고 오랫동안 ESG를 고민하던 대기업들은 그나마 괜찮지만, 그렇지 못한 작은 회사들은 고민이 크다. 중소기업 지원 방안도 나오고는 있지만, 규모의 차이일 뿐 결국 피해를 입을 수 밖에 없다는 게 업계 중론이다. ESG 하려다가 도산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일각에서는 대기업이 협력사를 지원하는 법안으로 중소기업을 지켜야한다고 주장한다. 실제로 대기업들은 일찌감치 협력사에 전방위적인 지원을 통해 ESG 경영 수준을 대폭 끌어올리기도 했다. 그러나 국내 ESG 역사가 매우 짧아서 제대로 정착하기는 쉽지 않은 모습이다. ESG가 기술만 있다고 되는 게 아니라서다.

 

사회적인 문제도 있다. ESG 인식이 부족한 상황에서 ESG가 이미지 세탁으로 악용되는 사례가 대표적이다. 이른바 'ESG 워싱'이다. 당장 나쁜 이슈에 휘말려있던 기업들이 정부의 ESG 기조를 따라가며 오히려 '칭찬'을 받은 사례도 많다.

 

한 관계자는 국내에 ESG가 제대로 정착하기 위해 가장 필요한 것으로 시간을 꼽았다. 기업이 ESG를 받아들이지 못하면 어차피 도태될 수 밖에 없는 만큼, 기왕이면 제대로 하자는 의미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