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증권>증권일반

엠젠플러스 소액주주, 공동보유 약정 체결… 경영참여 예고

코스닥 상장사 엠젠플러스의 소액주주협의회(이하 소주협)가 5% 이상의 지분에 대해 공동보유 약정을 체결했다. 엠젠플러스 소주협은 조만간 추가 공동보유 약정 체결과 함께 조직화된 단일행동체로 활동할 계획이다. 엠젠플러스는 증권선물위원회로부터 회계처리기준 위반을 지적 당해 상장폐지 사유가 발생한 상태다.

 

박찬민 엠젠플러스 소주협 대표는 27일 "엠젠플러스의 소액주주 205명이 보유한 139만610주(5.01%)에 대해 지난 21일부터 '공동보유를 통한 경영참여'를 목적으로 약정계약을 체결하고 공시했다"고 밝혔다. 이번 공동보유 약정에 참여한 소액주주 205명은 엠젠플러스가 거래재개될 때까지 보유주식을 매각하지 않는 것은 물론 의결권의 행사를 박 대표에게 위임하기로 했다.

 

엠젠플러스는 법무법인 원앤파트너스의 조력을 받아 이번 공동보유약정을 체결했다. 여기에 추가로 약정에 참여할 뜻이 있는 소액주주들이 속속 합류하고 있다는 후문이다.

 

박 대표는 "지금까지 50만주 이상의 소액주주들이 공동보유 약정에 참여할 뜻을 추가로 밝힌 상태"라며 "취합이 완료되는대로 공동보유 약정 공시를 다시 하겠다"고 말했다. 이렇게 되면 소주협 공동보유약정 주식은 모두 200만주에 육박해 지분율로는 7%를 넘길 전망이다.

 

현재 엠젠플러스의 최대주주는 지난달 3자배정 유상증자를 통해 284만7059주(10.27%)를 보유한 트렌스젠바이오 외 1인이다. 소주협은 트렌스젠바이오와 협력해 매매재개를 추진하고 있다. 소주협과 트렌스젠바이오측 보유지분을 모두 합칠 경우 480만주 정도에 달해 기존 최대주주였던 씨피홀딩스 외 2인 보유주식 269만5576주(9.72%)를 압도하게 된다. 소주협에 따르면 공동보유 약정에는 참여하지 않더라도 의결권을 소주협에 위임하겠다는 의사를 밝힌 소액주주들의 보유주식도 수십만주에 이르는 것으로 전해졌다.

 

박 대표는 "트렌스젠바이오와 협력해 회사의 이전 경영진이 저지른 회계처리기준 위반이나 경영투명성 문제를 해소하겠다. 소액주주들의 의결권을 모아 거래를 재개한다는 목표"라며 "과거 대주주였던 씨피홀딩스의 심영복 대표이사는 경영투명성 확보차원에서 회사 경영에 일절 간섭하지 못하게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회사정상화와 매매재개를 위해 트렌스젠바이오와 공동 대처 방안을 협의하고 있다"며 "공동보유 약정 또는 의결권 위임의사를 밝히는 소액주주들이 계속 늘어나고 있어 경영감시 등 단일조직체로 소주협 활동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