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정치>정치일반

故 노회찬 의원 서거 3주기..."진보집권 꿈 포기할 수 없어"

2021년 7월 23일, 故 노회찬 정의당 의원 서거 3주기를 맞아 정의당과 동료 의원들이 그를 추모하고 있다.사진은 지난 2018년 7월 23일 오후 서울 서대문구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장례식장에 고 노회찬 정의당 원내대표의 빈소가 마련된 모습. / 손진영 기자

7월 23일, 故 노회찬 정의당 의원 서거 3주기를 맞아 정의당과 동료 의원들이 그를 추모하고 있다.

 

그와 20여 년간 정치 인생을 함께해온 심상정 정의당 의원은 23일 오전 자신의 페이스북에 "한 사람이 사무치게 그리운 아침"이라며 그를 기억했다.

 

심 의원은 '집권이 최종 목표가 아니라, 세상을 근본적으로 바꾸는 것이 최종 목표지만 세상을 바꾸기 위해서도 집권해야 한다. 밥을 먹을 때도, 물을 마실 때도 이게 집권과 무슨 상관이 있는지 생각해야 한다'는 노 의원의 말을 소개하며 "노회찬 대표님께서 생을 바쳐 이루고 싶었던 '진보집권'의 꿈, 평범한 시민들이 공존하는 사회를 바라는 모든 시민들의 꿈, 결코 포기할 수 없는 우리의 길"이라고 밝혔다.

 

류호정 정의당 의원은 23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나는 진보의 미래를 낙관한다'고 했던 노 의원의 말을 인용하며 "사진은 한 장이면 충분했고, 양복은 한 벌이면 넉넉했다"며 "완벽히 단출했던 그를 그리고, 기립니다"라고 말했다. 류 의원은 최재훈 작가가 그려낸 노 의원의 초상화를 함께 게재했다.

 

이정미 전 정의당 의원도 23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해마다 가슴 깊게 짓누르는 슬픔을 떨칠수 없지만, 오늘은 눈물없이 웃으며 대표님을 뵀다"며 "대표님 가신 후, 수많은 사람들의 수많은 해석들, '노회찬이라면'이라는 질문과 해답속에 살아왔다"고 말했다.

 

이동영 정의당 수석대변인은 23일 오전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오늘 3주기는 '노회찬'이 멈춘 그 자리에서 정의당은 얼마나 투명인간들의 곁으로 다가갔는지, '노회찬'을 넘어 당당하게 앞으로 나아가고 있는지 성찰하고 또 다짐하는 시간이기도 하다"며 "존재하되, 그 존재를 우리가 느끼지 못하고 함께 살아가는 투명인간들을 호명했던 '노회찬의 6411정신'을 다시 새긴다"고 그를 추모했다.

 

오승재 청년정의당 대변인은 "노회찬 의원을 마음 깊이 추모하며, 청년정의당은 '법 앞에 만 명만 평등한 세상'을 바꾸는 일에 가지고 있는 모든 힘을 털어 넣겠다는 굳은 다짐을 내어놓는다"고 밝혔다.

 

정의당은 노 의원을 추모하기 위해 지난 17일부터 28일까지 노회찬 의원의 삶을 주제로 만든 장편 다큐멘터리 영화 '노회찬6411'의 전국 추모 상영회를 진행하고 있다. 정의당 여영국 대표는 23일, 경남 창원을 찾아 추모시사회에 참석하고 배진교 원내대표는 신촌을 찾아 시사회에 참석한다.

 

한편, 정의당 뿐만 아니라 다른 당 소속 정치인들도 노회찬 의원을 기렸다.

 

송영길 더불어민주당 당대표는 23일 페이스북에 지난 대선 당시 TV 토론에서 맞붙었던 때를 회상했다. 송 대표는 "토론이 끝나고 우리는 웃으며 서로를 격려했습니다. 가는 길은 달라도 언제나 후배의 등을 토닥여 주던, 참 마음 넓은 선배"였다며 "때로는 시간이 슬픔을 녹이기도 하는 모양입니다만, 참 그립습니다"라고 했다.

 

여권의 대선주자 이재명 경기도지사도 노회찬 의원을 추모했다. 23일 페이스북에 글을 올린 이 지사는 "늘 부러웠습니다. 저보다 훨씬 더 세상을 사랑하고 보통사람의 설움에 분노하셨을 노 대표님"이라며 "그러나 '노회찬의 정치'에는 언제나 웃음과 따뜻함이 그윽했습니다. 좌충우돌하던 저에게는 늘 동경의 대상이었다"고 그를 추억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