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정치>국회/정당

국민의힘, '넘치는 후보'에…흥행 위한 경선 룰 변경 고심

국민의힘이 대선 예비 후보 경선의 흥행을 일으키고 당밖 대선 주자의 영입을 앞당기기 위해 대선 경선 규칙 변경에 대한 아이디어를 제시하고 있다. 사진은 12일 오전 이준석 대표가 국회에서 열린 국민의힘 최고위원회의에 입장하는 모습. / 뉴시스

국민의힘이 '흥행'과 '발빠른 당밖 유력 대선 주자 영입' 차원에서 제20대 대선 예비후보 경선 규칙 변경을 고심하는 분위기다. 더불어민주당에서 경선 흥행에 실패하자 국민의힘이 적극적으로 대응 전략 세우기에 나선 것으로 풀이되는 행보다.

 

국민의힘이 고심하는 대응 전략은 크게 ▲토론 배틀 ▲결선투표제 도입 ▲여론조사 비율 상향 조정 등이다. 먼저 토론 배틀은 지난 대변인 선발 프로젝트 '나는 국대다'에서 한 차례 성공한 바 있다.

 

이준석 대표는 대선 예비 후보 토론과 관련 지난 9일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국민의힘 대변인 선발 토론은 토너먼트 방식이었는데, 대선 경선은 여론조사와 투표로 결정되는 것이기 때문에 흥미적 요소로 토론 배틀을 도입할 수 있다"며 "이번에 반응이 좋았던 2대2 토론 배틀을 통해 옆에 있는 사람을 배려하는지, 자기 아는 척을 하지 않는지 다면 평가가 가능한 흥미로운 요소가 될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결선투표제는 과반 득표자가 나오지 않을 경우 상위 득표자 두 명에 대한 최종 투표로 대선 후보를 선출하는 방식이다. 국민의힘 대선 후보 경선 과정에서 결선투표까지 치르면 흥행 가능성이 높아질 것이라는 예측 때문에 나오는 주장이다.

 

이와 관련 민주당은 이번 대선 경선에 결선 투표를 도입해 활용하고 있다. 다만 국민의힘은 당헌·당규 상 결선투표 제도가 명시돼 있지 않다. 그럼에도 흥행에 대해 고심이 깊은 만큼 실무적인 차원에서 당내 논의는 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대선 경선 과정에서 여론조사 반영 비율을 높이는 방안도 국민의힘 내부에서 제기됐다. 민심을 폭넓게 수용하자는 이유에서다. 여기에는 이번 경선 과정에 국민 관심을 끌기 위한 요소도 포함된 것으로 보인다.

 

현행 당헌·당규상 국민의힘 대통령 후보 선출시 대통령 선거인단의 유효투표결과 50%, 여론조사 결과 50%를 반영하게 돼 있다. 이 가운데 여론조사 결과 비율을 일정 부분 높이자는 의미다.

 

하지만 결선투표제 도입이나 경선 시 여론조사 반영 비율을 높이는 부분은 쉽지 않다. 당헌·당규를 고쳐야 하는 문제이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 이준석 대표는 지난 8일 KBS라디오 최경영의 최강시사에 나와 여론조사 반영 비율 확대 관련 질문에 "(당원투표와 여론조사 비율)5대5 룰이 저희 원칙이기 때문에 (변경은 힘들다)"고 답했다.

 

이어 "민주당도 경선을 앞두고 여러 가지 룰 변경을 시도했지만, 모든 주자가 합의하지 않으면 어렵다"라며 "대승적으로 모든 주자가 합의하면 모르겠지만 그게 아닌 상황에서 변경은 유력하지 않다고 봐야겠다"고 전했다.

 

당 대선경선준비위원회 측도 경선 규칙(룰) 변경에 대해 공식 논의한 바 없다고 선을 그었다. 경선준비위 측 핵심 관계자는 12일 본지와 통화에서 토론 배틀이나 결선 투표제 도입, 여론조사 비율 상향 조정 등은 실무적인 차원에서 논의를 한 바 있다"면서도 "공식 논의된 적은 없다"고 말했다.

 

한편, 범야권에선 14~15명의 후보가 대선 출마를 선언했거나 가능성이 있는 후보로 분류되고 있다. 국민의힘 내에서는 원희룡 제주도지사, 유승민 전 의원, 황교안 전 대표, 안상수 전 의원, 장기표 김해을 당협위원장 등이 출사표를 낼 것으로 보이고, 현역 의원 중에서도 홍준표 의원, 김태호 의원, 하태경 의원, 윤희숙 의원, 박진 의원 등이 대권에 도전한다.

 

당 밖에서는 윤석열 전 검찰총장과 최재형 전 감사원장, 김동연 전 경제부총리, 장성민 세계와동북아평화포럼 이사장 등이 거론되고,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 역시 잠재적 주자로 분류된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