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건설/부동산>분양

올 민영아파트 39만가구 나온다

올해 민영아파트는 39만여가구가 공급될 전망이다.

 

부동산 정보제공업체인 부동산114가 4일 '2021년 민영아파트 분양계획'을 조사한 결과 전국 407개 사업장에서 39만854가구가 나올 예정이다. 이는 최근 5년(2016년~2020년) 평균 민영아파트 분양실적 (28만6071가구)대비 10만여가구 많은 수준이다. 작년 분양시장은 계획 대비 91%가 공급된 상태다. 특히 주택 매수심리가 높아지고 청약대기자도 많았다. 분양시장에도 언택트(비대면) 바람으로 사이버 모델하우스 보편화, 온라인 플랫폼을 활용한 마케팅이 자리를 잡았다.

 

올해 권역별 분양 예정물량은 수도권 20만6651가구, 지방 18만4203가구다. 수도권에서는 경기가 11만2134가구로 가장 많았고 ▲인천 4만9795가구 ▲서울 4만4722가구 순이다.

 

지방에서는 ▲대구 3만1103가구 ▲부산 2만5817가구 ▲충남 1만9460가구 ▲대전 1만9401가구 ▲경남 1만7801가구 ▲경북 1만5770가구 ▲광주 1만2872가구 ▲충북 1만2534가구 ▲강원 8160가구 ▲전남 7927가구 ▲전북 6561가구 ▲울산 3693가구 ▲세종 2700가구 ▲제주 404가구 순이다.

 

유형별로는 자체사업(도급 포함)을 통한 분양물량이 22만6587가구(58%)로 가장 비중이 높다. 재개발·재건축 아파트의 비율은 전체 분양예정 물량의 약 36%(14만2232가구)를 차지할 전망이다.

 

서울에서는 주목할만한 정비사업 물량이 많다. 서울 강동구 '둔촌주공' 1만2032가구, 서초구 '래미안원베일리' 2990가구 등 분양가 산정 난항으로 당초 예정보다 연기된 물량을 포함해 서초구 '방배6구역' 1131가구, 성북구 '장위10구역' 2004가구, 송파구 '잠실진주' 2636가구 등 유망 사업장에서 공급될 전망이다.

 

경기도는 재개발 물량으로 광명시 '광명2·5·10R구역' 7273가구, 수원시 '수원권선6구역' 2175가구, '장안111-1' 2607가구, 하남시 '하남C구역' 980가구 등이 공급을 앞두고 있다. 그 밖에 경기 지역 내 신도시에서는 파주 운정 6123가구, 양주 옥정 2979가구가 공급될 예정이다. 인천은 검단 신도시 물량과 도시개발물량이 눈에 띈다. 검단에서 1만1785가구, 용현학익 도시개발을 통해 시티오씨엘1·3·4단지 총 2536가구가 공급될 예정이다.

 

지방 광역시에서도 재개발·재건축 아파트의 분양 계획이 많다. 부산 동래구 '래미안포레스티지' 4043가구, 대구 수성구 '수성더팰리스푸르지오더샵' 1299가구, 광주 동구 '광주학동4구역' 2314가구 등이 공급된다.

 

올해 주목할 만한 부분으로 청약대기 수요와 월세전환의 가속화, 새 임대차보호법 시행 등으로 전세난이 가중되고 기존 민간임대 시장이 위축되면서 안정적인 임차료로 장기거주가 가능한 민간임대 아파트가 틈새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2020년 공공지원 민간임대로 공급한 서울 구로구 '고척아이파크', 경기 화성시 '힐스테이트봉담'이 전타입 청약이 마감을 기록한 바 있으며 브랜드 민간임대의 경우 커뮤니티 시설과 생활 서비스를 누릴 수 있어 소비자들의 선호도가 높은 편이다.

 

'11·19 전세 대책'에 따라 적극적으로 공급되는 공공임대와 더불어 민간임대가 적절히 융합된다면 전세난 극복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2021년에는 8322가구의 민간임대 아파트가 공급될 예정이다. 경기 화성시 '화성동탄2(A87)' 762가구, 대전 유성구 '한화포레나대전유성' 1768가구, '파주운정3(A15)' 846가구 등이 나올 전망이다.

 

업체별로는 대우건설이 3만4791가구로 가장 많다. 다음으로 현대건설 2만8570가구 ▲GS건설 2만8225가구 ▲포스코건설 2만7730가구 ▲롯데건설 2만2539가구 ▲대림산업 1만9586가구 ▲현대엔지니어링 1만9431가구 ▲HDC현대산업개발 1만7762가구 ▲삼성물산 1만2995가구 ▲SK건설 1만1065가구 순이다. 눈 여겨 볼 단지로는 서울 서초구 '래미안원펜타스(삼성물산)' 641가구, 서울 서초구 '방배5구역(현대건설)' 2796가구, 서울 성동구 '행당제7구역(대우건설)' 958가구, 인천 미추홀구 '시티오씨엘1단지(HDC현대산업개발·포스코건설·현대건설)' 1131가구, 인천 미추홀구 '용현자이크레스트(GS건설)' 2277가구 등이 있다.

 

올해부터는 분양 관련제도가 일부 변경된다. 신혼부부·생애최초 특별공급 소득요건 완화되며 특별공급 내 일반공급 물량이 확대된다. 분양가상한제 주택은 2년 이상의 거주의무기간이 적용된다.

 

3기 신도시 공급도 가속화된다. 오는 7월부터 사전청약이 시작되며 3기 신도시에 포함되지 않은 중소형 공공택지도 사전청약에 돌입할 예정이다. 올해 분양시장은 3기 신도시 물량이 본격적으로 공급되고 민영물량도 예상보다 많아 수요자 불안이 해소될 전망이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