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국제 > 국제경제

[해외증시] 애플의 脫중국, 조 바이든 집권 하에서도 계속될 전망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당선인. / 위키피디아 제공

글로벌 테크 공급망의 중국 이탈 추세는 트럼프 행정부 이후에도 계속될 전망이다.

 

라이브민트 29일 보도에 따르면 애플은 아이패드 및 맥북의 일부 생산을 베트남으로 이전할 계획이다. 폭스콘 창업자인 테리 궈는 통합 공급망이 최소 둘로 나뉘는 추세를 설명하기 위해 'G2'라는 용어를 만들었다. 가베칼 드래고노믹스(Gavekal Dragonomics)의 테크 애널리스트 댄 왕(Dan Wang)은 "중국 내 제조 비용이 점점 오르고 미국의 정치 상황이 예측 불가능 해지면서 기업들은 일부 상품의 생산을 중국 밖으로 옮겼다"며 "중국 내 제조 비용이 점차 증가하고 베트남과 인도의 경쟁력이 향상될수록 이러한 추세는 계속될 것"이라고 언급했다.

 

이달 초 애플 협력사 페가트론 관계자는 다른 고객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미국에도 제조 시설을 구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중국산 제품에 대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부과로 인해 다른 글로벌 기업들도 제조 시설 운영을 재고하게 되었다./박태홍기자 pth7285@metroseoul.co.kr

 

메트로경제의 해외증시뉴스는 MoYa의 데이터 추출 기술이 활용돼 제공 되고 있습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