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전기/전자

삼성전자, 삼성미래기술육성 사업이 지원하는 연구 과제 세계적 학술지에 연이어 게재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 연구 지원을 받고 있는 교수진. (사진 왼쪽부터) 김정원 KAIST 교수, 허남호 경북대 교수, 신의철 KAIST 교수. / 삼성전자 제공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이 지원하는 다양한 연구 과제가 세계적인 학술지에 잇따라 연구 결과를 게재했다. 삼성전자는 ▲정보 통신 기반 기술 ▲차세대 퀀텀닷(QD) 소재 ▲면역학 등을 주제로 다룬 논문들이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어드밴스드 머티리얼즈 같은 최상위 국제학술지에 게재됐다고 23일 밝혔다.

 

삼성전자는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은 과학 기술 육성을 목표로 2013년부터 1조 5천억 원을 출연한 연구 지원 사업이다. 해당사업은 지금까지 601개 과제에 7713억원을 집행했다.

 

◆레이저를 활용한 전자 신호 시간 측정·제어 기술… 향후 6G 등 차세대 통신에 활용 가능

 

김정원 KAIST 교수와 정하연 고려대학교 교수 공동 연구팀이 세계 최초로 디지털 형태의 전자 신호 시간 오차를 1경분의 1초(100아토초= 10-16초) 이하 수준까지 측정하고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 연구 결과는 22일 세계적인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 발표됐다.

 

데이터 전송 속도가 빠른 전자 장비가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전자기기 간 시간 동기화와 시간 오차를 수십 펨토초(1펨토초=1000조분의 1초) 수준으로 줄이려는 노력이 활발하다. 그러나 현재의 기술로는 수십 펨토초 이하의 시간 측정과 제어가 어려워 미래의 정보통신에 적용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었다.

 

김정원 교수 연구팀은 초고속 펄스 레이저에서 나오는 광신호를 디지털 형태의 전자 신호로 변환하고 측정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 기술을 이용하면 광신호와 디지털 전자 신호 간의 시간 오차를 50아토초(2경분의 1초) 정확도로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어, 기존에 불가능했던 디지털 형태의 전자 신호를 정확하게 측정하고 제어할 수 있다.

 

김정원 교수는 "향후 정밀한 시간 성능이 요구되는 차세대 데이터 변환기, 초고속 통신, 집적회로의 성능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기존 대비 색재현성이 2배 이상 우수하고 물속에서도 1년 이상 안정성이 유지되는 차세대 퀀텀닷 소재 연구

 

허남호·주진 경북대학교 응용화학공학부 교수, 한정우 포스텍 화학공학과 교수가 공동 연구를 통해 색재현성과 수분 안정성이 우수한 차세대 퀀텀닷 소재 기술을 개발했다. 이 연구 결과는 20일 재료 과학 분야의 세계적 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즈에 게재됐다. 삼성전자는 이번 연구를 2019년 12월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 지원 과제로 선정했다.

 

퀀텀닷은 직경이 10억분의 1m 수준의 입자로 색재현성이 뛰어나 QD 디스플레이 구현의 핵심 물질로 사용된다. 최근에는 색재현성이 기존 대비 2배 이상 우수한 페로브스카이트 퀀텀닷 소재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페로브스카이트는 수분과 접촉하면 성능이 저하되는 등 안정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어, 학계에서는 수분 접촉 차단을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 중이나 상용화까지는 이르지 못했다.

 

허남호 교수 연구팀은 다공성(多孔性) 물질인 제올라이트에 페로브스카이트를 결합해 수분과 접촉하더라도 성능이 저하되지 않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렇게 만들어진 발광체는 물속에 1년 이상 두어도 안정성이 유지됨은 물론, 제올라이트와의 결합 과정에서 페로브스카이트의 크기와 배열이 균일해져 색재현성 또한 기존 페로브스카이트 보다 10% 향상된 것을 확인했다.

 

◆중증 코로나19 환자에게서 발생하는 사이토카인 폭풍(과잉 염증반응) 원인 규명

 

2014년부터 중증 바이러스 질환에서 면역세포의 숙주손상 유발기전을 연구해 오고 있던 신의철 KAIST 의과학대학원 교수는 정인경 KAIST 생명과학과 교수, 김성한 서울아산병원 교수, 최준용·안진영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교수, 정혜원 충북대병원 교수와의 공동 연구를 통해 중증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환자의 상태를 급격히 악화시키는 사이토카인 폭풍의 원인을 세계 최초로 규명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10일(미국 현지시간) 면역학 분야의 세계적 학술지인 사이언스 이뮤놀로지에 발표됐으며 환자 치료에 있어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했다.

 

신의철 교수는 "6년 전부터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의 지원을 받아 축적한 중증 바이러스 연구 경험과 인프라가 이번에 갑자기 찾아온 코로나19의 연구에 큰 도움이 되었다"고 밝혔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