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IT/과학>일반

불법SW 내려 받다가 암호화폐 채굴 동참? 안랩 악성코드 주의 당부

포털 검색 결과 내 피싱 사이트 노출 장면. / 안랩 제공

안랩이 최근 상용 소프트웨어 불법 사용자를 노려 유포되는 '암호화폐 채굴형 악성코드'를 발견해 사용자의 주의를 당부한다고 29일 밝혔다.

 

악성코드 공격자는 먼저 한글로 작성된 피싱 사이트를 제작한다. 사용자가 검색창에 크랙, 키젠 등의 상용 소프트웨어 불법사용을 위한 키워드를 입력하면 검색 결과 페이지에 해당 피싱 사이트가 노출된다.

 

이 피싱 사이트에 접속하면 불법 소프트웨어 사용 후기를 위장한 내용이 나온다. 이후 정상 파일 다운로드 사이트와 유사하게 제작된 또 다른 피싱 사이트로 자동으로 연결된다. 이동한 페이지에서 사용자가 '다운로드' 버튼을 누르면 실행파일이 포함된 압축파일이 다운로드 된다.

 

사용자가 내려받은 파일을 압축 해제하고 실행하면 사용자 몰래 암호화폐 '모네로'를 채굴하는 마이너 악성코드가 설치된다. 해당 악성코드는 감염 PC의 절전모드, 대기모드 진입 기능을 비활성화 해 지속적으로 PC자원을 소모하며 암호화폐를 채굴한다. PC 활동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모니터링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자동으로 채굴을 멈추기 때문에 사용자가 악성코드 실행 여부를 파악하기 어렵다. V3는 제품군은 해당 악성코드를 진단하고 있다.

 

피싱사이트 화면. / 안랩 제공

피해를 막기 위해서는 ▲정품 SW 및 콘텐츠 다운로드 ▲의심되는 웹사이트 방문 자제 ▲OS 및 인터넷 브라우저, 응용프로그램, 오피스 SW 등 프로그램 최신 버전 유지 및 보안 패치 적용 ▲백신 프로그램 최신버전 유지 및 주기적 검사 등 보안 수칙을 실행해야 한다.

 

안랩 분석팀 이재진 연구원은 "채굴 류의 악성코드는 사용자 PC의 리소스를 과도하게 사용해 피해를 끼친다"며 "감염으로 인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 사용자는 정품 소프트웨어를 이용하고 의심되는 웹사이트 방문을 자제하는 등 보안 수칙을 지키는 것이 필수"라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