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이스피싱(전화금융사기) 범죄가 늘어나면서 올해 상반기 피해액이 3000억원을 넘었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0%나 급증한 수치다.
17일 경찰청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보이스피싱 범죄 피해액은 3056억원에 달했다. 전년 동기(1801억원) 대비 70% 늘어난 수치다. 같은 기간 범죄 발생 건수 역시 지난해 같은 기간(1만6338건)보다 21% 증가한 1만9157건을 기록했다.
보이스피싱 피해 사례로는 '대출 빙자'가 가장 많았다.
신협이 공개한 올해 상반기 보이스피싱 예방 사례에 따르면 충북 매포신협의 50대 조합원 A씨는 창구 직원에게 저축은행에서 대출받아 신협계좌에 입금한 자금을 계좌이체해 줄 것을 요구했다.
직원은 A씨의 계좌가 발급받은 지 얼마 안됐다는 것에 이상함을 느끼고 상담을 통해 경위를 파악했다. 그 결과 시중은행 직원을 사칭한 보이스피싱 가해자가 A씨에게 저금리 대출 상품을 추천하며, 우선 저축은행에서 고금리 대출을 받은 후 이를 상환해 신용등급을 높이면 당사 대출을 받을 수 있다고 속인 것으로 드러났다. A씨로 하여금 인터넷을 통해 고금리 대출을 받도록 유도함으로써 중간에서 대출금을 가로채려 한 것.
검찰 등 공공기관을 사칭한 보이스피싱도 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전 구봉신협의 조합원 B씨는 창구 직원에게 5000만원 상당 계좌의 중도해지 및 송금을 요구했다. 직원은 B씨의 핸드폰에 원격조정 어플이 실행되고 있는 것을 확인한 후 보이스피싱임을 인지했다. 검찰을 사칭한 가해자가 금융 관련 범죄에 연루됐다며 B씨에게 접근한 후, 수사절차상 불법자금인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신협 등 모든 은행의 잔고를 특정 은행계좌로 옮기라고 했던 것. 직원은 해당 은행에 계좌 지급정지를 요청하고 이를 경찰에 신고했다.
신협 관계자는 "수사기관을 사칭한 뒤 악성 애플리케이션(응용프로그램)을 활용해 정보를 빼내거나, 저금리 대출상품 등을 미끼로 피해자를 노리는 범죄가 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신협의 보이스피싱 피해 예방 건수는 해마다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협의 보이스피싱 예방 건수는 지난 2017년 197건에서 지난해 625건으로 오른 데 이어, 올해 상반기에는 481건의 보이스피싱 피해를 예방했다. 예방 금액 또한 2017년 15억6000만원에서 지난해 52억7000만원으로 증가했으며, 올해 상반기에는 46만2000억원을 기록했다. 전체 보이스피싱 예방 실적 중에서는 지역 조합과 중앙회가 각각 20%와 80%의 실적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