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카드가 솔직하고 자발적인 소통 플랫폼으로 일반적 사내 제안제도의 한계를 극복했다.
신한카드는 비효율적인 회사 업무에 대해 솔직하고 자발적인 의견이 상시 공유되고, 실행으로까지 이어지는 사내 소통 플랫폼 '신한카드 대자보'를 운영한다고 28일 밝혔다.
신한카드는 이를 통해 회사 문제를 특정 부서 및 개인에게만 맡기지 않고, 회사가 함께 해결해 나감으로써 사내 상호 신뢰가 제고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신한카드 대자보가 추진된 배경에는 차별화된 창의(Creative)·혁신적인 변화(Change)·막힘 없는 소통(Communication)·끊임없는 학습(Study)을 기반으로 고객과 직원 만족을 실현하겠다는 임영진 신한카드 사장의 3CS 경영철학이 투영됐다고 신한카드 측은 전했다.
신한카드 대자보는 별도 채널을 통해 익명으로 의견을 접수, 대자보 의견 원문이 전사 게시판에 공유된다. 직원의 자유로운 참여를 통해 해결책이 논의되고, 유관부서 회의와 설문 조사, 임원회의 상정 등을 통해 실질적인 개선까지 이어질 수 있도록 설계됐다.
이를 통해 기획·의사결정·실행까지 한 부서에서 진행됨으로써 나타나는 미흡한 부분과 이를 알고 있음에도 수면 위로 드러나지 않는 문제점, 사적인 자리에서 회사의 부족한 부분과 개선안이 논의되지만 공식적으로 문제 제기가 되지 못하는 측면들이 개선될 수 있었다.
지난해 3월 오픈된 신한카드 대자보는 지금까지 총 100여건이 접수돼 끝장 토론 등을 통해 30여건 문제가 해결 또는 처리 진행 중에 있다. 현안 중 하나로는 빅데이터 분석을 위한 용량문제 해결이 논의됐다. 지금까지 빅데이터 분석을 위한 시스템 공간이 부족해 분석 수요가 몰리는 월말마다 부서간 협조를 요청하거나, 공간 확보가 될 때까지 기다렸다가 작업이 이루어지는 비효율성이 존재했다. 이에 따라 신한카드는 대자보 공론화를 통해 디스크 용량 증설, 불필요한 데이터 자동삭제 프로세스 신설, 관리부서 명확화 등을 진행해 수년간 지속된 문제점을 해결했다.
이외에도 신한카드는 대자보를 통해 비효율적인 정보보호와 고객센터 운영 이슈, 휴가 등록·변경 프로세스 이슈 등을 해결했으며, 최근 대자보 운영 1주년을 맞이해 신한카드는 보다 다양한 현장 의견을 접수하고, 전 직원 공감투표 도입 등을 통해 대자보를 더욱 활성화 나간다는 전략이다.
신한카드 관계자는 "그 동안 삼삼오오 얘기됐던 문제들을 터놓고 얘기하니 문제가 술술 풀릴 뿐만 아니라 무엇보다 젊은 직원들 중심으로 호응도가 매우 높다"며, "향후에도 신한금융그룹의 싹(S.A.Q)과 신한카드 3CS 경영철학에 기반해 민첩하고 열린 조직문화가 구축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전했다.